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63. WPF - TreeView 자동 스크롤 기능 해지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943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PF - TreeView 자동 스크롤 기능 해지


아래에서 보는 것처럼 트리 뷰 내의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그 문자열 길이가 트리 뷰 크기를 넘어가는 경우 자동으로 수평 스크롤 바가 이동하는 기능이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그림 1: 수평 스크롤 바 자동 스크롤]
treeview_horizontal_autoscroll_1.PNG

이 기능이 어찌 보면 사용자를 위한 배려일 수도 있는데요. 현실적인 기준으로, 사용을 하다 보면 이리저리 움직이는 수평 스크롤 기능 때문에 꽤나 심란하게 보입니다. 조금만 사용하다 보면 이 기능을 꺼야 겠다는 생각이 굴뚝같습니다. 즉,,, 선택을 해도 그냥 아래의 화면처럼 그대로 유지되었으면 좋겠다는 것이죠.

[그림 2: 수평 스크롤 바 자동 스크롤 기능 끄기]
treeview_horizontal_autoscroll_2.PNG

근데, 어떻게 하면 위와 같은 동작을 이끌어 낼 수 있을까요?

아쉽게도 "속성" 하나로 쉽게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저만 원하던 기능은 아니었던가 봅니다. 아래의 글에 적절한 구현 예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WPF ControlTemplate for scrolling TreeView Control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44926?sort=oldest

첨부 파일은 위의 소스코드를 테스트한 간단한 트리 뷰 예제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0-19 02시28분
[ㅁㅁ] <TreeView ScrollViewer.HorizontalScrollBarVisibility="Disabled"/> 가능
[guest]
2011-10-19 02시46분
Disabled를 시켜버리면 아예 없어지므로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위의 글에서는, 수평 스크롤을 유지하면서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수평 스크롤을 자동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51정성태3/5/202116809오류 유형: 702.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2)
12550정성태3/5/202116723오류 유형: 701. Live Share 1.0.3713.0 버전을 1.0.3884.0으로 업데이트 이후 ContactServiceModelPackage 오류 발생하는 문제
12549정성태3/4/202118536오류 유형: 700. VsixPublisher를 이용한 등록 시 다양한 오류 유형 해결책
12548정성태3/4/202119705개발 환경 구성: 546.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nuget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47정성태3/3/202120153오류 유형: 699.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2546정성태3/3/202120340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12545정성태3/2/202122877.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23249.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20726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22267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19993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21630.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21401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22056.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21114.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20459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19598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20514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8682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20772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19197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22287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21294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21595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21498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17979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