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데이터 바인딩된 트리에서 부모 노드 찾는 방법


이전 WinForm 시절에는 보통 TreeView를 사용할 때 해당 TreeViewItem을 직접 조작했기 때문에 부모 노드를 찾는 방법이 간단했습니다.

그런데, WPF로 오면서 데이터 바인딩을 하는 방식에서는 TreeViewItem의 직접적인 노출이 지양되어 SelectedItem을 구해도 바인딩된 타입만 나올 뿐 TreeViewItem을 구할 수 없습니다.

물론, 좀 까다롭긴 하지만 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Getting TreeViewItem's From Data Bound Items
; http://www.michaelbraude.com/2008/02/getting-treeviewitem-from-data-bound.html

WPF는 트리의 각 노드별로 ItemContainerGenerator를 가지고 있고 그 generator를 이용하면 해당 노드의 자식 TreeViewItem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다음과 같은 트리 구조가 있을 때,

Root0
   Child0
   Child1
   Child2

Root1

만약, Child1에 해당하는 TreeViewItem을 구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TreeViewItem을 구해올 수 있습니다.

TreeViewItem root0Item = this.treeView.ItemContainerGenerator.ContainerFromIndex(0) 
                           as TreeViewItem;

TreeViewItem child1Item = root0Item.ItemContainerGenerator.ContainerFromIndex(1)
                           as TreeViewItem;
        // 또는 ContainerFromItem를 사용하면 데이터 인스턴스로부터 TreeViewItem을 구함.

따라서, 데이터 바인딩된 인스턴스의 TreeViewItem을 구하고 싶다면, 최상단 트리로부터 재귀적으로 탐색을 하면서 찾아가야 합니다. 여간 귀찮은 작업이 아닐 수 없지요.




이제, 해당 인스턴스의 TreeViewItem을 구했다고 가정하고.
그렇다면 그 노드의 상위 노드를 구해야 한다면 또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시 재귀적으로 탐색을 하던가, 아니면 이전에 탐색을 했을 때 부모 노드까지 같이 저장해 두면 해결이 됩니다.

간혹, 아래와 VisualTreeHelper로 TreeViewItem의 부모 노드를 찾으려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그런 분들은 아래의 글에 달린 댓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Get a TreeViewItem’s Parent item
; http://quickduck.com/blog/2009/09/15/get-a-treeviewitems-parent-item/

즉, 운영체제별로, 그리고 그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테마에 따라서, 혹은 WPF Designer가 재작성한 스타일에 따라서 Visual Tree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TreeViewItem의 "한 단계"만 VisualTreeHelper.GetParent 하시면 안됩니다. 역시 그것도 상위로 계속 루프를 돌면서 인스턴스가 TreeViewItem이 나올 때까지 계속해야 합니다.




어쩄든, 결론은... ^^; 너무 복잡합니다. 그냥 데이터 바인딩만 시키면 알아서 자동으로 되면 좋지 않을까요?
이에 대한 해답은 예전의 글에서 이미 소개해 드린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WPF - TreeView 자동 스크롤 기능 해지
; https://www.sysnet.pe.kr/2/0/781

즉, 트리 스스로 TreeViewItem이 생성될 때마다 자신의 부모 노드를 기록해 놓는 것입니다.

public class ParentChildTreeView : TreeView
{
    public class ParentChildTreeViewItem : TreeViewItem
    {
        public ParentChildTreeViewItem()
            : base()
        {
        }

        protected override void PrepareContainerForItemOverride(DependencyObject element, object item)
        {
            base.PrepareContainerForItemOverride(element, item);

            ITreeViewParentLink support = item as ITreeViewParentLink;
            if (support == null)
            {
                return;
            }

            support.ParentItem = ItemsControl.ItemsControlFromItemContainer(element) as TreeViewItem;
        }

        protected override DependencyObject GetContainerForItemOverride()
        {
            return new ParentChildTreeViewItem();
        }
    }

    protected override DependencyObject GetContainerForItemOverride()
    {
        return new ParentChildTreeViewItem();
    }
}

이렇게 재정의된 ParentChildTreeView를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부모 노드를 구해올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treeView_SelectedItemChanged(object sender, RoutedPropertyChangedEventArgs<object> e)
{
    MyClassT myClass = e.NewValue as MyClassT;
    if (myClass.ParentData == null)
    {
        // 부모 노드가 없는 최상위 노드
        return;
    }

    // 부모 노드의 Name 속성을 출력
    Debug.WriteLine(myClass.ParentData.Name);
}

이를 활용하면, 일반적인 .NET Entity 클래스의 계층 구조를 표현할 때 WPF TreeView를 붙여줌으로써 자동적으로 부모/자식 관계를 해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첨부 파일은 위의 코드를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간단한 프로젝트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3-29 08시11분
[최병철] 아, WPF 의 트리뷰가 진입장벽이 이렇게 높을 줄은 몰랐습니다.

TreeViewItem root0Item = this.treeView.ItemContainerGenerator.ContainerFromIndex(0) as TreeViewItem;
// 이 코드가 아주 도움이 되었습니다.

아이템을 코드로 선택하는 것 조차도 어떨 때는 되고, 어떨 때는 null 을 반환했던 것이 바로 말씀하신 아래의 내용때문이었군요.

"WPF는 트리의 각 노드별로 ItemContainerGenerator 를 가지고 있고 그 generator를 이용하면 해당 노드의 자식 TreeViewItem을 구할 수 있습니다"


CotainerFromIndex 말고,
ContainerFromItem 함수를 호출할 때, rootitem 이외에는 왜 null 을 반환하는지 알게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아~ 후련해!
[guest]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480정성태3/14/200722240.NET Framework: 86. GC(Garbage Collector)의 변화
479정성태3/14/200726284개발 환경 구성: 25. D820 - ReadyBoost 구동
478정성태3/14/200725580개발 환경 구성: 24. D820 고주파음 문제
477정성태3/14/200734861개발 환경 구성: 23.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4]
476정성태3/9/200730283개발 환경 구성: 22. D820 노트북 - 설치 및 BitLocker 구성 [1]
475정성태3/6/200724667.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
474정성태3/5/200722898.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
473정성태3/4/200729964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
472정성태3/3/200729064디버깅 기술: 13. 예외 발생 시 Minidump 생성 - WinDBG [3]파일 다운로드1
471정성태3/1/200718317디버깅 기술: 12. Managed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469정성태2/28/200729776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3]파일 다운로드1
470정성태3/1/200721128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468정성태2/25/200731071COM 개체 관련: 20. 탭 브라우저의 윈도우 핸들 구하기 [3]
466정성태2/22/200722738Windows: 23. 롱혼 서버 코어 버전 [2]
465정성태2/21/200721736오류 유형: 29. TFS 관련 스케줄 작업 실패
464정성태2/25/200722921오류 유형: 28.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
463정성태2/21/200715920Team Foundation Server: 15. 포탈 사이트의 보고서 주소를 도메인 명으로 적용
462정성태2/13/200743171.NET Framework: 83. 라이브러리에 다국어 리소스 추가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461정성태2/13/200720856오류 유형: 27. DLinq 예제 오류 : error: 26 - Error Locating Server/Instance Specified
460정성태2/13/200721120.NET Framework: 82. Orcas 1월 CTP에서 Linq 소스 컴파일 방법
459정성태2/17/200725131오류 유형: 26.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3]
458정성태2/12/200721597.NET Framework: 81. LINQ 개발 환경 설정 [1]
457정성태2/8/200726073.NET Framework: 80. LINQ 관련 용어 정리 및 리소스 소개 [2]
456정성태2/6/200724357Windows: 22. 가상화에 대해서.
455정성태2/4/200719264오류 유형: 25. 원격 데스크톱 환경에서의 Virtual Server 관리 환경 제어
454정성태2/4/200716657오류 유형: 24. VPC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