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데이터 바인딩된 트리에서 부모 노드 찾는 방법


이전 WinForm 시절에는 보통 TreeView를 사용할 때 해당 TreeViewItem을 직접 조작했기 때문에 부모 노드를 찾는 방법이 간단했습니다.

그런데, WPF로 오면서 데이터 바인딩을 하는 방식에서는 TreeViewItem의 직접적인 노출이 지양되어 SelectedItem을 구해도 바인딩된 타입만 나올 뿐 TreeViewItem을 구할 수 없습니다.

물론, 좀 까다롭긴 하지만 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Getting TreeViewItem's From Data Bound Items
; http://www.michaelbraude.com/2008/02/getting-treeviewitem-from-data-bound.html

WPF는 트리의 각 노드별로 ItemContainerGenerator를 가지고 있고 그 generator를 이용하면 해당 노드의 자식 TreeViewItem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다음과 같은 트리 구조가 있을 때,

Root0
   Child0
   Child1
   Child2

Root1

만약, Child1에 해당하는 TreeViewItem을 구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TreeViewItem을 구해올 수 있습니다.

TreeViewItem root0Item = this.treeView.ItemContainerGenerator.ContainerFromIndex(0) 
                           as TreeViewItem;

TreeViewItem child1Item = root0Item.ItemContainerGenerator.ContainerFromIndex(1)
                           as TreeViewItem;
        // 또는 ContainerFromItem를 사용하면 데이터 인스턴스로부터 TreeViewItem을 구함.

따라서, 데이터 바인딩된 인스턴스의 TreeViewItem을 구하고 싶다면, 최상단 트리로부터 재귀적으로 탐색을 하면서 찾아가야 합니다. 여간 귀찮은 작업이 아닐 수 없지요.




이제, 해당 인스턴스의 TreeViewItem을 구했다고 가정하고.
그렇다면 그 노드의 상위 노드를 구해야 한다면 또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시 재귀적으로 탐색을 하던가, 아니면 이전에 탐색을 했을 때 부모 노드까지 같이 저장해 두면 해결이 됩니다.

간혹, 아래와 VisualTreeHelper로 TreeViewItem의 부모 노드를 찾으려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그런 분들은 아래의 글에 달린 댓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Get a TreeViewItem’s Parent item
; http://quickduck.com/blog/2009/09/15/get-a-treeviewitems-parent-item/

즉, 운영체제별로, 그리고 그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테마에 따라서, 혹은 WPF Designer가 재작성한 스타일에 따라서 Visual Tree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TreeViewItem의 "한 단계"만 VisualTreeHelper.GetParent 하시면 안됩니다. 역시 그것도 상위로 계속 루프를 돌면서 인스턴스가 TreeViewItem이 나올 때까지 계속해야 합니다.




어쩄든, 결론은... ^^; 너무 복잡합니다. 그냥 데이터 바인딩만 시키면 알아서 자동으로 되면 좋지 않을까요?
이에 대한 해답은 예전의 글에서 이미 소개해 드린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WPF - TreeView 자동 스크롤 기능 해지
; https://www.sysnet.pe.kr/2/0/781

즉, 트리 스스로 TreeViewItem이 생성될 때마다 자신의 부모 노드를 기록해 놓는 것입니다.

public class ParentChildTreeView : TreeView
{
    public class ParentChildTreeViewItem : TreeViewItem
    {
        public ParentChildTreeViewItem()
            : base()
        {
        }

        protected override void PrepareContainerForItemOverride(DependencyObject element, object item)
        {
            base.PrepareContainerForItemOverride(element, item);

            ITreeViewParentLink support = item as ITreeViewParentLink;
            if (support == null)
            {
                return;
            }

            support.ParentItem = ItemsControl.ItemsControlFromItemContainer(element) as TreeViewItem;
        }

        protected override DependencyObject GetContainerForItemOverride()
        {
            return new ParentChildTreeViewItem();
        }
    }

    protected override DependencyObject GetContainerForItemOverride()
    {
        return new ParentChildTreeViewItem();
    }
}

이렇게 재정의된 ParentChildTreeView를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부모 노드를 구해올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treeView_SelectedItemChanged(object sender, RoutedPropertyChangedEventArgs<object> e)
{
    MyClassT myClass = e.NewValue as MyClassT;
    if (myClass.ParentData == null)
    {
        // 부모 노드가 없는 최상위 노드
        return;
    }

    // 부모 노드의 Name 속성을 출력
    Debug.WriteLine(myClass.ParentData.Name);
}

이를 활용하면, 일반적인 .NET Entity 클래스의 계층 구조를 표현할 때 WPF TreeView를 붙여줌으로써 자동적으로 부모/자식 관계를 해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첨부 파일은 위의 코드를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간단한 프로젝트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3-29 08시11분
[최병철] 아, WPF 의 트리뷰가 진입장벽이 이렇게 높을 줄은 몰랐습니다.

TreeViewItem root0Item = this.treeView.ItemContainerGenerator.ContainerFromIndex(0) as TreeViewItem;
// 이 코드가 아주 도움이 되었습니다.

아이템을 코드로 선택하는 것 조차도 어떨 때는 되고, 어떨 때는 null 을 반환했던 것이 바로 말씀하신 아래의 내용때문이었군요.

"WPF는 트리의 각 노드별로 ItemContainerGenerator 를 가지고 있고 그 generator를 이용하면 해당 노드의 자식 TreeViewItem을 구할 수 있습니다"


CotainerFromIndex 말고,
ContainerFromItem 함수를 호출할 때, rootitem 이외에는 왜 null 을 반환하는지 알게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아~ 후련해!
[gues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6정성태12/20/201921093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9051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467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410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615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2512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9673.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1591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1420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0454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8996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9795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9495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0970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7727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1283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3204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9650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28288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9708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9335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7649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0625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9573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8963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428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