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87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02

.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2

.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163

.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64

.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

.NET Framework: 39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6) - MDbg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34

.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43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처음 이 기능이 필요했을 때 매우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System.Diagnostics.StackTrace 타입에서 충분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다른 스레드"의 콜 스택을 얻을 때 발생했습니다. StackTrace의 생성자 목록에는 이에 대한 배려도 되어 있는데, 실제로 사용해 보면... 결과는 다소 당혹스럽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newThread = new Thread(Run);
    newThread.Start();

    System.Diagnostics.StackTrace trace = new System.Diagnostics.StackTrace(newThread, false);
}

private static void Run()
{
    Thread.Sleep(1000 * 10);
}

위의 코드를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은 예외를 만나게 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Threading.ThreadStateException: Thread in invalid state.
at System.Diagnostics.StackTrace.GetStackFramesInternal(StackFrameHelper sfh, Int32 iSkip, Exception e)
at System.Diagnostics.StackTrace.CaptureStackTrace(Int32 iSkip, Boolean fNeedFileInfo, Thread targetThread, Exception e)
at System.Diagnostics.StackTrace..ctor(Thread targetThread, Boolean needFileInfo)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Program.cs:line 21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을 이용해 보면, 다음의 라인에서 오류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ethodImplAttribute(MethodImplOptions.InternalCall)]
internal static extern void GetStackFramesInternal(StackFrameHelper sfh, int iSkip, Exception e);

private void CaptureStackTrace(int iSkip, bool fNeedFileInfo, Thread targetThread,
                               Exception e)
{
    m_iMethodsToSkip += iSkip; 
    StackFrameHelper StackF = new StackFrameHelper(fNeedFileInfo, targetThread); 

    GetStackFramesInternal (StackF, 0, e);  // 예외 발생

	// ... [생략]...
}

MethodImplOptions.InternalCall로 정의된 메서드라서 더 이상 추적해 볼 여지가 없습니다. 이제 ^^ 구글로 넘어가 봐야죠.

다행히, 이와 관련해서 "Rotor" 소스 코드를 찾을 수가 있었습니다.

Rotor Source code
; http://www.123aspx.com/rotor/RotorSrc.aspx?rot=42047
; https://github.com/SSCLI/sscli20_20060311/blob/master/clr/src/bcl/system/diagnostics/stacktrace.cs
; https://github.com/dotnet/coreclr/blob/release/2.2/src/vm/debugdebugger.cpp#L327-L800

중간에 보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확인됩니다.

public StackTrace(Thread targetThread, bool needFileInfo)
{    
    m_iNumOfFrames = 0;
    m_iMethodsToSkip = 0;

    if (targetThread != null)
    {
        if (targetThread != Thread.CurrentThread)
        {
            if (((targetThread.ThreadState & System.Threading.ThreadState.Suspended) != 0)
             && ((targetThread.ThreadState & System.Threading.ThreadState.SuspendRequested) != 0)
             && (targetThread.ThreadState != System.Threading.ThreadState.Stopped)
             && (targetThread.ThreadState != System.Threading.ThreadState.Unstarted))
            {
                throw new ThreadStateException (
                            Environment.GetResourceString("ThreadState_NeedSuspended"));                        
            }
        }
        else
            targetThread = null;
    }

    CaptureStackTrace (METHODS_TO_SKIP, needFileInfo, targetThread, null);

}

오호... 그러니까, "실행 상태"에 있다면 콜 스택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군요. 그래서, 최초의 StackTrace 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 보았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newThread = new Thread(Run);
    newThread.Start();

    newThread.Suspend();
    System.Diagnostics.StackTrace trace = new System.Diagnostics.StackTrace(newThread, false);
    newThread.Resume();
    Console.WriteLine(trace.ToString());
}

와~~~ ^^ 이제 예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출력 결과가 다소 실망스럽습니다.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_Context(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달랑, Run 메서드 프레임 하나.
이상하다 싶어서 중간에 newThread.Sleep(3000);을 한 번 더 주고 나니 정상적으로 아래와 같이 콜 스택이 출력되었습니다. (즉, 위의 콜 스택 출력 결과는 너무 빨리 시도를 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그것 자체도 정상적인 출력이었습니다.)


at System.Threading.Thread.SleepInternal(Int32 millisecondsTimeout)
at System.Threading.Thread.Sleep(Int32 millisecondsTimeout)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_Context(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이 외에, StackTrace.ToString의 결과를 사용자 정의하고 싶다면 다음의 코드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How do I make a thread dump in .NET ? (a la JVM thread dumps)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90236/how-do-i-make-a-thread-dump-in-net-a-la-jvm-thread-dumps

코드가 아닌, 툴을 이용하고 싶다면 다음의 방법이 좋겠고.

.NET production debugging 101
; http://www.tomergabel.com/NETProductionDebugging101.aspx

혹시나, StackTrace를 이용하여 부모 메서드에 따라 동작을 다르게 만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함정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Caveats about System.Diagnostics.StackTrac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jmstall/caveats-about-system-diagnostics-stacktrace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VS 2010 beta2)프로젝트입니다.

끝!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94정성태6/30/200620075.NET Framework: 72. XSDObjectGen.EXE 기능 개선
293정성태6/29/200621951Team Foundation Server: 10. TFS 버전 컨트롤(TFVC)에 참여시킨 프로젝트의 로컬 경로를 옮기는 방법
290정성태6/26/200619314Team Foundation Server: 9.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 두 번째 이야기 [1]
291정성태6/26/200620567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1. [선행 작업]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 두번째 이야기 [1]
292정성태6/26/200620280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2. TF30177 오류 발생
307정성태8/3/200622138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3. Team Server 접근 이름을 바꾸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308정성태2/18/200721813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9.4. Team Server HTTPS 접근 완료. ^^ [1]
288정성태6/26/200636480오류 유형: 10. error MSB6006: "aspnet_merge.exe" exited with code 1
286정성태6/23/200624475웹: 4. 웹 사이트 식별자(Identifier) 값 변경
285정성태6/20/200624782오류 유형: 9. [TFS] Report 관련 서비스를 조회할 때 rsErrorImpersonatingUser 오류 메시지 발생 [1]
284정성태6/19/200622500VS.NET IDE: 40. FxCop - IDE 에서 제공해 주는 SuppressMessage 코드
283정성태1/19/200723748Team Foundation Server: 8. 소스 세이프에서 TFS SourceControl 로 마이그레이션 [2]
279정성태12/27/200629414개발 환경 구성: 3. VS.NET 원격 디버깅 [1]
280정성태6/12/20062853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1. VS.NET 2003 원격 디버깅 설정
281정성태8/11/20063008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2.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315정성태8/11/20063067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3.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 ASP.NET F5 디버깅
278정성태6/11/200627086오류 유형: 8. [Outlook] 0x8004011D 에러 - "Exchange over the Internet" 환경
276정성태6/7/200620387Team Foundation Server: 7. 외부 빌드 머신 구성
287정성태6/24/200617922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7.1. 외부 빌드 머신 구성 - 다른 블로그 자료
275정성태6/7/200625921디버깅 기술: 4. VC++ 8.0 원격 디버깅 구성 - Side-by-Side DLL 문제.
269정성태6/6/200623036Team Foundation Server: 6.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0정성태6/5/200620120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2956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22450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18673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6391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