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910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02

.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2

.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163

.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64

.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

.NET Framework: 39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6) - MDbg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34

.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43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처음 이 기능이 필요했을 때 매우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System.Diagnostics.StackTrace 타입에서 충분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다른 스레드"의 콜 스택을 얻을 때 발생했습니다. StackTrace의 생성자 목록에는 이에 대한 배려도 되어 있는데, 실제로 사용해 보면... 결과는 다소 당혹스럽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newThread = new Thread(Run);
    newThread.Start();

    System.Diagnostics.StackTrace trace = new System.Diagnostics.StackTrace(newThread, false);
}

private static void Run()
{
    Thread.Sleep(1000 * 10);
}

위의 코드를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은 예외를 만나게 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Threading.ThreadStateException: Thread in invalid state.
at System.Diagnostics.StackTrace.GetStackFramesInternal(StackFrameHelper sfh, Int32 iSkip, Exception e)
at System.Diagnostics.StackTrace.CaptureStackTrace(Int32 iSkip, Boolean fNeedFileInfo, Thread targetThread, Exception e)
at System.Diagnostics.StackTrace..ctor(Thread targetThread, Boolean needFileInfo)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Program.cs:line 21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을 이용해 보면, 다음의 라인에서 오류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ethodImplAttribute(MethodImplOptions.InternalCall)]
internal static extern void GetStackFramesInternal(StackFrameHelper sfh, int iSkip, Exception e);

private void CaptureStackTrace(int iSkip, bool fNeedFileInfo, Thread targetThread,
                               Exception e)
{
    m_iMethodsToSkip += iSkip; 
    StackFrameHelper StackF = new StackFrameHelper(fNeedFileInfo, targetThread); 

    GetStackFramesInternal (StackF, 0, e);  // 예외 발생

	// ... [생략]...
}

MethodImplOptions.InternalCall로 정의된 메서드라서 더 이상 추적해 볼 여지가 없습니다. 이제 ^^ 구글로 넘어가 봐야죠.

다행히, 이와 관련해서 "Rotor" 소스 코드를 찾을 수가 있었습니다.

Rotor Source code
; http://www.123aspx.com/rotor/RotorSrc.aspx?rot=42047
; https://github.com/SSCLI/sscli20_20060311/blob/master/clr/src/bcl/system/diagnostics/stacktrace.cs
; https://github.com/dotnet/coreclr/blob/release/2.2/src/vm/debugdebugger.cpp#L327-L800

중간에 보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확인됩니다.

public StackTrace(Thread targetThread, bool needFileInfo)
{    
    m_iNumOfFrames = 0;
    m_iMethodsToSkip = 0;

    if (targetThread != null)
    {
        if (targetThread != Thread.CurrentThread)
        {
            if (((targetThread.ThreadState & System.Threading.ThreadState.Suspended) != 0)
             && ((targetThread.ThreadState & System.Threading.ThreadState.SuspendRequested) != 0)
             && (targetThread.ThreadState != System.Threading.ThreadState.Stopped)
             && (targetThread.ThreadState != System.Threading.ThreadState.Unstarted))
            {
                throw new ThreadStateException (
                            Environment.GetResourceString("ThreadState_NeedSuspended"));                        
            }
        }
        else
            targetThread = null;
    }

    CaptureStackTrace (METHODS_TO_SKIP, needFileInfo, targetThread, null);

}

오호... 그러니까, "실행 상태"에 있다면 콜 스택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군요. 그래서, 최초의 StackTrace 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 보았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newThread = new Thread(Run);
    newThread.Start();

    newThread.Suspend();
    System.Diagnostics.StackTrace trace = new System.Diagnostics.StackTrace(newThread, false);
    newThread.Resume();
    Console.WriteLine(trace.ToString());
}

와~~~ ^^ 이제 예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출력 결과가 다소 실망스럽습니다.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_Context(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달랑, Run 메서드 프레임 하나.
이상하다 싶어서 중간에 newThread.Sleep(3000);을 한 번 더 주고 나니 정상적으로 아래와 같이 콜 스택이 출력되었습니다. (즉, 위의 콜 스택 출력 결과는 너무 빨리 시도를 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그것 자체도 정상적인 출력이었습니다.)


at System.Threading.Thread.SleepInternal(Int32 millisecondsTimeout)
at System.Threading.Thread.Sleep(Int32 millisecondsTimeout)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_Context(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이 외에, StackTrace.ToString의 결과를 사용자 정의하고 싶다면 다음의 코드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How do I make a thread dump in .NET ? (a la JVM thread dumps)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90236/how-do-i-make-a-thread-dump-in-net-a-la-jvm-thread-dumps

코드가 아닌, 툴을 이용하고 싶다면 다음의 방법이 좋겠고.

.NET production debugging 101
; http://www.tomergabel.com/NETProductionDebugging101.aspx

혹시나, StackTrace를 이용하여 부모 메서드에 따라 동작을 다르게 만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함정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Caveats about System.Diagnostics.StackTrac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jmstall/caveats-about-system-diagnostics-stacktrace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VS 2010 beta2)프로젝트입니다.

끝!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61정성태2/26/202017686오류 유형: 597. manifest -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
12160정성태2/26/202018187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12159정성태2/26/202015242오류 유형: 596. Visual Studio - The project needs to include ATL support
12158정성태2/25/202017810디버깅 기술: 165. C# - Marshal.GetIUnknownForObject/GetIDispatch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파일 다운로드1
12157정성태2/25/202017887디버깅 기술: 164. C# -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및 해결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56정성태2/25/202016436오류 유형: 595. LINK : warning LNK4098: defaultlib 'nafxcw.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12155정성태2/25/202015891오류 유형: 594. Warning NU1701 - This package may not be fully compatible with your project
12154정성태2/25/202015244오류 유형: 593. warning LNK4070: /OUT:...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12153정성태2/23/202019371.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18466.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19220.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19480.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18302.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8정성태2/19/202020712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정성태2/19/202018482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12146정성태2/18/202019252.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145정성태2/18/202019072.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2144정성태2/13/202019247.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143정성태2/13/202015892.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파일 다운로드1
12142정성태2/12/202018270.NET Framework: 889. C# 코드로 접근하는 MethodDesc, MethodTable파일 다운로드1
12141정성태2/10/202017265.NET Framework: 888. C# -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2140정성태2/10/202017762.NET Framework: 887. C#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2139정성태2/9/202019039.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12138정성태2/9/202023007.NET Framework: 88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6]파일 다운로드1
12137정성태2/9/202016316오류 유형: 592. [AhnLab] 경고 - 디버거 실행을 탐지했습니다.
12136정성태2/6/202017261Windows: 168.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