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C++ X64 빌드 오류: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COMDLL]_ProxyFileInfo


64비트 용 DLL을 만드는 데에는 보통 2가지 옵션을 조정해 주어야 합니다.

  • 프로젝트 속성창: Platform 설정을 X64로 변경
  • 프로젝트 속성창: Linker / Advanced - Target Machine 값을 "MachineX64 (/MACHINE:X64)"로 변경

그런데, COM 개체를 Proxy DLL과 병합하는 경우 - 즉, "_MERGE_PROXYSTUB" 전처리 상수가 정의된 프로젝트라면 64비트 용 DLL을 만들기 위해서 빌드해 보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림 1: X64 용 DLL 빌드 시 오류 발생]
x64_build_error_proxy_file_info_1.png

Error	2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Dotnet_ProxyFileInfo	dlldatax.obj	Dotnet
Error	3	error LNK1120: 1 unresolved externals	d:\...\bin\Debug\Dotnet.dll	Dotnet

출력 창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1>------ Build started: Project: Dotnet, Configuration: Debug X64 ------
1>  TestInfo.cpp
1>     Creating library d:\...\Debug\Dotnet64.lib and object d:\...\bin\Debug\Dotnet64.exp
1>Dotnet64.exp : warning LNK4070: /OUT:Dotnet.DLL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d:\...\bin\Debug\Dotnet64.dll'; ignoring directive
1>dlldatax.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Dotnet_ProxyFileInfo
1>d:\...\bin\Debug\Dotnet64.dll : fatal error LNK1120: 1 unresolved externals
========== Build: 0 succeeded, 1 failed, 0 up-to-date, 0 skipped ==========

오류 내용이 너무 일반적이어서 구글링을 해도 별다른 해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하는 수 없이, 프로젝트 속성창에서 모든 항목의 "Command Line" 란에 설정된 옵션을 뒤져 보았습니다. 오호... 그런데, "MIDL"에 다음과 같은 빌드 옵션이 있는 것을 찾아냈습니다.


/D "_DEBUG" /W1 /nologo /char signed /env win32 /Oicf /h "Dotnet_i.h" /iid "Dotnet_i.c" /proxy "Dotnet_p.c" /tlb "Debug\Dotnet.tlb" /robust




"win32"라... 분명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게다가 MIDL 빌드에서 Proxy DLL 측의 소스 코드도 자동 생성되는 것을 생각해 보면 문제의 소지가 있어 보입니다.

그래서, 바꿔야 하는 옵션이 바로 아래의 "MIDL" / "General" / "Target Environment" 값입니다.

[그림 2: MIDL 빌드 옵션 조정]
x64_build_error_proxy_file_info_2.png

"Microsoft Windows 32-bit (/env win32)" 값을 "Microsoft Windows 64-bit on x64 (/env x64)"로 바꿔주고 빌드하면 끝!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0정성태8/17/201128895.NET Framework: 236. SqlDbType - DateTime, DateTime2, DateTimeOffset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099정성태8/15/201128334오류 유형: 132. 어느 순간 갑자기 접속이 안 되는 TFS 서버
1098정성태8/15/201150357웹: 24. 네이버는 어떻게 로그인 처리를 할까요? [2]
1097정성태8/15/201121655.NET Framework: 235. 메서드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으로 클래스를 찾아내는 방법
1096정성태8/15/201125793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1095정성태8/14/201126213디버깅 기술: 41. Windbg - 비정상 종료된 닷넷 프로그램의 StackTrace에서 보이는 offset 값 의미
1094정성태8/14/201130612오류 유형: 131. Fiddler가 강제 종료된 경우, 웹 사이트 방문이 안되는 현상
1093정성태7/27/201124228오류 유형: 130. Unable to connect to the Microsoft Visual Studio Remote Debugging Monitor ... Access is denied.
1092정성태7/22/201126636Team Foundation Server: 46. 코드 이외의 파일에 대해 소스 제어에서 제외시키는 방법
1091정성태7/21/201125677개발 환경 구성: 128. WP7 Emulator 실행 시 audiodg.exe의 CPU 소모율 증가 [2]
1089정성태7/18/201131254.NET Framework: 234. 왜? Button 컨트롤에는 MouseDown/MouseUp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8정성태7/16/201124293.NET Framework: 233. Entity Framework 4.1 - 윈도우 폰 7에서의 CodeFirst 순환 참조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87정성태7/15/201127021.NET Framework: 232. Entity Framework 4.1 - CodeFirst 개체의 직렬화 시 순환 참조 해결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86정성태7/14/201128438.NET Framework: 231. Entity Framework 4.1 - CodeFirst 개체의 직렬화 시 순환 참조 해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정성태7/14/201128891.NET Framework: 230. Entity Framework 4.1 - Code First + WCF 서비스 시 EndpointNotFoundException 오류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84정성태7/11/201134175.NET Framework: 229. SQL 서버 - DB 테이블의 데이터 변경에 대한 알림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1083정성태7/11/201128220.NET Framework: 228. Entity Framework 4.1 - Code First + WCF 서비스 시 EndpointNotFoundException 오류
1082정성태7/10/201127785.NET Framework: 227. basicHttpBinding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081정성태7/9/201127106VC++: 53. Windows 7에서 gcc.exe 실행 시 Access denied 오류 [2]
1080정성태7/8/201125607웹: 23. Sysnet 웹 사이트의 HTML5 변환 기록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79정성태7/6/201130025오류 유형: 129. Hyper-V + Realtek 랜카드가 설치된 시스템의 BSOD 현상 [2]
1078정성태7/5/201137530VC++: 52.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2]
1077정성태6/24/201135163.NET Framework: 226. HttpWebRequest 타입의 HaveResponse 속성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76정성태6/23/201129320오류 유형: 128. SQL Express - User Instance 옵션을 사용한 경우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 유형 2가지
1075정성태6/21/201124924VS.NET IDE: 69. 윈폰 프로젝트에서 WCF 서비스 참조할 때 Reference.cs 파일이 비어있는 경우
1074정성태6/20/201125026.NET Framework: 225. 닷넷 네트워크 라이브러리의 트레이스 기능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