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결국, 그렇게 해서 3대의 VPC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그것 때문에, 제 노트북을 AD에 참여시키는 것은 무리이기 때문에.

참고로, Visual Studio 2005 Beta1 Refresh with Team System이 설치되었으면 AD에 참여하지 않은 컴퓨터가 팀서버에 접근하려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말 그대로, 권한 체크가 안 되니 AD에 참여시키라는 것이겠죠. ^^


detailed error log belows.
-----------------------------------
12-27-4337 10:11:54.584 | URL for eLead web service retrieved as "http://W2003TAD:8080/eLEAD/EleadWebService.asmx" from DVSIP | Completion time: 0 seconds
12-27-4337 10:11:54.724 | eLead web service proxy constructed | Completion time: 0.1402016 seconds
12-27-4337 10:11:54.754 | Templates for domain "w2003tad retrieved from eLead web service | Completion time: 0.0300432 seconds
12-27-4337 10:11:59.801 | Starting Project Creation for project "test" in domain "w2003tad"
12-27-4337 10:12:00.292 | Retrieved IAuthorizationService proxy | Completion time: 0.4907056 seconds
12-27-4337 10:12:00.402 | Project creation permissions retrieved | Completion time: 0.1101584 seconds
12-27-4337 10:12:00.633 | User information retrieved from GSS | Completion time: 0.2303312 seconds
12-27-4337 10:12:00.633 | No well formed MSF folder name to delete


---begin Exception entry---
Time: 12-27-4337 10:12:00.633
Event Description: Project Creation failed
Exeption Type: Microsoft.VisualStudio.ELead.Common.Exceptions.ELeadException
Exception Message: Failure retrieving user information
Stack Trace:

Server stack trace:
at Microsoft.VisualStudio.ELead.ProjectCreation.SecurityHelper.GetCurrentUserInfo(String domain, PcwLogger log, DvsipHandler dvsipHandler)
at Microsoft.VisualStudio.ELead.ProjectCreation.EngineStarter.TryCreateProject(Boolean& hasPermissions)
at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_PrivateProcessMessage(IntPtr md, Object[] args, Object server, Int32 methodPtr, Boolean fExecuteInContext, Object[]& outArgs)
at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PrivateProcessMessage(RuntimeMethodHandle md, Object[] args, Object server, Int32 methodPtr, Boolean fExecuteInContext, Object[]& outArgs)
at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AsyncProcessMessage(IMessage msg, IMessageSink replySink)

Exception rethrown at [0]:
at Microsoft.VisualStudio.ELead.ProjectCreation.SecurityHelper.GetCurrentUserInfo(String domain, PcwLogger log, DvsipHandler dvsipHandler)
at Microsoft.VisualStudio.ELead.ProjectCreation.EngineStarter.TryCreateProject(Boolean& hasPermissions)
at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_PrivateProcessMessage(IntPtr md, Object[] args, Object server, Int32 methodPtr, Boolean fExecuteInContext, Object[]& outArgs)
at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PrivateProcessMessage(RuntimeMethodHandle md, Object[] args, Object server, Int32 methodPtr, Boolean fExecuteInContext, Object[]& outArgs)
at System.Runtime.Remoting.Proxies.RealProxy.EndInvokeHelper(Message reqMsg, Boolean bProxyCase)
at System.Runtime.Remoting.Proxies.RemotingProxy.Invoke(Object NotUsed, MessageData& msgData)
at Microsoft.VisualStudio.ELead.ProjectCreation.TryCreateProjectDelegate.EndInvoke(Boolean& userHasPermissions, IAsyncResult result)
at Microsoft.VisualStudio.ELead.ProjectCreation.PortfolioProjectForm.CreateProjectCallback(IAsyncResult ar)
-- Inner Exception --
Exception Type: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Exception Message: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Stack Trace:
at Microsoft.VisualStudio.ELead.ProjectCreation.SecurityHelper.GetCurrentUserInfo(String domain, PcwLogger log, DvsipHandler dvsipHandler)
-- end Inner Exception --
--- end Exception entry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7정성태12/2/201133739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1186정성태12/1/201135802.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85정성태11/29/201125388.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파일 다운로드1
1184정성태11/29/201129145.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
1183정성태11/26/201123875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
1182정성태11/25/201160395.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81정성태11/24/201130516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1180정성태11/23/201140314.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79정성태11/22/201130762.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178정성태11/19/201127400.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77정성태11/18/201132554.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176정성태11/17/201132143.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3]파일 다운로드1
1175정성태11/16/201130063.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4정성태11/15/201129359.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4]
1173정성태11/14/201125267.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1]
1172정성태11/13/201122278.NET Framework: 267. windbg - GC Heap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
1171정성태11/12/201139233.NET Framework: 266.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4]파일 다운로드1
1170정성태11/10/201128605.NET Framework: 265. Named 동기화 개체 생성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
1169정성태11/10/201131713.NET Framework: 264. 다중 LAN 카드 환경에서 Dns.GetHostAddresses(local)가 반환해 주는 IP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4]
1168정성태11/6/201127760오류 유형: 139. TlbImp : error TI0000 : A single valid machine type compatible with the input type library must be specified
1167정성태11/5/201139540개발 환경 구성: 13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5]파일 다운로드4
1166정성태11/5/201125849.NET Framework: 263. byte[] pData = new byte[100000]로 인한 성능 차이? [1]파일 다운로드1
1165정성태11/3/201131009개발 환경 구성: 132.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2.0 버전의 MSBuild를 구동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64정성태11/1/201128985.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1163정성태10/31/201128581.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파일 다운로드1
1162정성태10/30/201128646.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