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63. ODP.NET 설치 없이 .NET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22

개발 환경 구성: 64. ODP.NET 설치 작업 없이 ASP.NET 응용 프로그램 배포
; https://www.sysnet.pe.kr/2/0/823

개발 환경 구성: 65.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64비트 Oracle Data Access Components 사용
; https://www.sysnet.pe.kr/2/0/825

개발 환경 구성: 66.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64비트 Oracle Data Access Components 사용 (2)
; https://www.sysnet.pe.kr/2/0/827

개발 환경 구성: 67. 환경 변수를 이용한 다중 ODAC 버전 테스트
; https://www.sysnet.pe.kr/2/0/828

개발 환경 구성: 68. ODP.NET + OraMTS 사용
; https://www.sysnet.pe.kr/2/0/829





ODP.NET 설치 작업 없이 ASP.NET 응용 프로그램 배포


ODP.NET 관련해서 계속해서 글을 남기게 되는군요.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Oracle XE 사용
; https://www.sysnet.pe.kr/2/0/821

ODP.NET 설치 없이 .NET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22

이쯤하면, ASP.NET에서도 ODP.NET 설치 없이 구동하는 방법을 알아봐야 할텐데요. 다행스럽게도, ASP.NET 역시 독립 실행형 부분과 동일하게 배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지난번에, 다음과 같은 6개의 DLL들이 EXE 파일과 같이 배포되어야 한다고 했는데요.

  • Oracle.DataAccess.dll
  • OraOps11w.dll
  • oci.dll
  • ociw32.dll
  • oraociei11.dll
  • msvcr71.dll

어차피 "Oracle.DataAccess.dll"이야 웹 프로젝트에서 참조 추가를 해야 하는 것이고, 나머지 DLL 들은 "파일 추가"로 해서 빌드 시에 bin 폴더에 복사가 되도록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됩니다.

[그림 1: 파일 배포 설정]
deploy_aspnet_with_odpnet_1.png

어찌되었든, 이런 배포의 자유로움으로 인해 ODP.NET이 닷넷 프로그래머들에게 한층 더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

첨부한 프로젝트는 위와 같은 설정이 반영된 ASP.NET 솔루션 폴더를 압축한 것입니다. "oraociei11.dll" 파일이 100MB가 넘기 때문에 그 파일만 제거하고 압축을 했기 때문에 해당 파일은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서 처리하면 되겠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01정성태4/15/202119557.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20386.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19885.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21581.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19396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18674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12595정성태4/12/202120192.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
12594정성태4/11/202119625.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파일 다운로드1
12593정성태4/10/202119540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12592정성태4/10/202119292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12591정성태4/9/202123652.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20151.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12589정성태4/8/202120146.NET Framework: 1032. C# - Environment.OSVersion의 문제점 및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 [1]
12588정성태4/7/202123241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12587정성태4/6/202124777개발 환경 구성: 564. Windows 10 - ClickOnce 배포처럼 사용할 수 있는 MSIX 설치 파일 [1]
12586정성태4/5/202121575오류 유형: 710. Windows - Restart-Computer / shutdown 명령어 수행 시 Access is denied(E_ACCESSDENIED)
12585정성태4/5/202119912개발 환경 구성: 563. 기본 생성된 kubeconfig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생성한 인증서로 구성하는 방법
12584정성태4/1/202121422개발 환경 구성: 562. kubeconfig 파일 없이 kubectl 옵션만으로 실행하는 방법
12583정성태3/29/202121204개발 환경 구성: 561. kubectl 수행 시 다른 k8s 클러스터로 접속하는 방법
12582정성태3/29/202121734오류 유형: 709. Visual C++ - 컴파일 에러 error C2059: syntax error: '__stdcall'
12581정성태3/28/202121425.NET Framework: 1031. WinForm/WPF에서 Console 창을 띄워 출력하는 방법 (2) - Output 디버깅 출력을 AllocConsole로 우회 [2]
12580정성태3/28/202119062오류 유형: 708.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Execution Timeout Expired.
12579정성태3/28/202120220오류 유형: 707. 중첩 가상화(Nested Virtualization) - The virtual machine could not be started because this platform does not support nested virtualization.
12578정성태3/27/202120532개발 환경 구성: 560. Docker Desktop for Windows 기반의 Kubernetes 구성 (2) - WSL 2 인스턴스에 kind가 구성한 k8s 서비스 위치
12577정성태3/26/202121442개발 환경 구성: 559. Docker Desktop for Windows 기반의 Kubernetes 구성 - WSL 2 인스턴스에 kind 도구로 k8s 클러스터 구성
12576정성태3/25/202120091개발 환경 구성: 558.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DockerDesktopVM 기반의 Kubernetes 구성 (2) - k8s 서비스 위치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