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8. ODP.NET + OraMTS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14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63. ODP.NET 설치 없이 .NET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22

개발 환경 구성: 64. ODP.NET 설치 작업 없이 ASP.NET 응용 프로그램 배포
; https://www.sysnet.pe.kr/2/0/823

개발 환경 구성: 65.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64비트 Oracle Data Access Components 사용
; https://www.sysnet.pe.kr/2/0/825

개발 환경 구성: 66.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64비트 Oracle Data Access Components 사용 (2)
; https://www.sysnet.pe.kr/2/0/827

개발 환경 구성: 67. 환경 변수를 이용한 다중 ODAC 버전 테스트
; https://www.sysnet.pe.kr/2/0/828

개발 환경 구성: 68. ODP.NET + OraMTS 사용
; https://www.sysnet.pe.kr/2/0/829




ODP.NET + OraMTS 사용


마침, 질문을 하신 분이 있어서 TransactionScope를 이용한 트랜잭션 테스트를 마저 해보았습니다. 지난 글에서 odp.net20을 설치하는 편한 방법을 살펴봤는데요.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Oracle XE 사용
; https://www.sysnet.pe.kr/2/0/821

E:\...[압축해제폴더]>install.bat odp.net20 E:\oracle\odpnet20 odac

위와 같이 한 경우에는 ORAMTS 구성요소가 복사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명령을 다시 추가해주면,

E:\...[압축해제폴더]>install.bat oramts E:\oracle\odpnet20 true

다음과 같이 폴더 구성이 완료됩니다.

[그림 1: ODP.NET 20과 OraMTS가 설치된 폴더 구조]
odpnet_plus_oramts_1.png

이 상태에서 해당 폴더를 PATH 환경 변수에 전역적으로 등록하든가, 아니면 환경 변수를 이용한 다중 ODAC 버전 테스트에서 설명한 대로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 PATH 환경 변수에 등록해 주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정상적으로 OraMTS가 동작하는지 다음과 같은 코드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면 끝!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etOdpnetPath();

    string oradb = "user id=hr;password=hr; data source=xeservername";

    using (TransactionScope scope = new TransactionScope())
    using (OracleConnection conn = new OracleConnection(oradb))
    {
        conn.Open();

        Random random = new Random((int)DateTime.Now.Ticks);
        int regionId = random.Next(Int32.MaxValue);

        OracleCommand command = new OracleCommand();
        command.Connection = conn;
        command.Parameters.Add(new OracleParameter("REGION_ID", regionId));
        command.Parameters.Add(new OracleParameter("REGION_NAME", "test"));
        command.CommandText = "INSERT INTO Regions(REGION_ID, REGION_NAME) VALUES(:REGION_ID, :REGION_NAME)";
        command.ExecuteNonQuery();

        command = new OracleCommand();
        command.Connection = conn;
        command.Parameters.Clear();
        command.Parameters.Add(new OracleParameter("REGION_ID", regionId));
        command.CommandText = "DELETE FROM Regions WHERE REGION_ID = :REGION_ID";
        command.ExecuteNonQuery();

		scope.Complete();
    }
}

이 경우, MS DTC가 연동되기 때문에 코드 중간에 디버그 BP(Break Point)를 걸어두고 실행한 다음, "관리 도구" / "Component Serviices" 에서 다음과 같이 "Active" 수치가 1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2: MS DTC 동작 상태 확인]
odpnet_plus_oramts_2.png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78정성태11/14/201822749.NET Framework: 803. UWP 앱에서 한 컴퓨터(localhost, 127.0.0.1) 내에서의 소켓 연결
11777정성태11/13/201824595오류 유형: 502.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
11776정성태11/13/201822900.NET Framework: 802. Windows에 로그인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인지, 로컬 계정인지 알아내는 방법
11775정성태11/13/201823306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파일 다운로드1
11774정성태11/8/201823217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파일 다운로드1
11773정성태11/7/201823057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파일 다운로드1
11772정성태11/6/201823900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파일 다운로드1
11771정성태11/5/201822894사물인터넷: 56.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 두 번째 이야기 [1]
11770정성태11/5/201832894Graphics: 27.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 - OpenGL.Net 라이브러리 [3]파일 다운로드1
11769정성태11/5/201822063오류 유형: 501. 프로젝트 msbuild Publish 후 connectionStrings의 문자열이 $(ReplacableToken_...)로 바뀌는 문제
11768정성태11/2/201824717.NET Framework: 801.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
11767정성태11/1/201823967사물인터넷: 55.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66정성태10/31/201827257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11765정성태10/26/201822709개발 환경 구성: 420. Visual Studio Code - Arduino Board Manager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보드 선택
11764정성태10/26/201828552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2]
11763정성태10/25/201823851사물인터넷: 53.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s 통신
11762정성태10/25/201824413사물인터넷: 52.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61정성태10/25/201824125Graphics: 26. 임의 축을 기반으로 3D 벡터 회전파일 다운로드1
11760정성태10/24/201819674개발 환경 구성: 418. Azure - Runbook 내에서 또 다른 Runbook 스크립트를 실행
11759정성태10/24/201822455개발 환경 구성: 417. Azure - Run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서드를 위한 부가 Module 추가
11758정성태10/23/201825310.NET Framework: 800. C# - Azure REST API 사용을 위한 인증 획득 [3]파일 다운로드1
11757정성태10/19/201820938개발 환경 구성: 416. Visual Studio 2017을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및 디버깅)
11756정성태10/19/201825088오류 유형: 500. Visual Studio Code의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시 인텔리센스가 안 된다면?
11755정성태10/19/201826083오류 유형: 499. Visual Studio Code extension for Arduino - #include errors detected. [1]
11754정성태10/19/201822806개발 환경 구성: 415.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새 프로젝트
11753정성태10/19/201828700개발 환경 구성: 414.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