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70. PerformanceCounter의 RawValue/NextValue()에서 멈춤 현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62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PerformanceCounter의 RawValue/NextValue()에서 멈춤 현상


제법 힘겨운 현상이 하나 발생했습니다. ASP.NET 응용 프로그램에 성능 카운터(PerformanceCounter)를 이용하여 값을 얻어오는 코드를 넣어두었는데,

perfCounter = new PerformanceCounter(); // How expensive is it to create a Windows performance counter?
perfCounter.CategoryName = perfProviderName;
perfCounter.CounterName = s;
perfCounter.InstanceName = instanceName;

long value1 = perfCounter.RawValue; 
/*
또는
float value = perfCounters[i].NextValue();
*/

평상 시에는 정상적으로 값을 가져오다가, 작업자 프로세스(Worker Process)가 재시작(Recycle)되어 새로 시작된 프로세스에서 실행될 때는 RawValue / NextValue()에서 멈춤(hang)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약 4분 정도 스레드가 멈추는데... 꽤나 치명적이죠!

관련해서 해결책이 있는지 구글링을 해보았는데,

PerformanceCounter Constructor Horribly Slow
; http://www.pluralsight.com/community/blogs/craig/archive/2005/06/21/11596.aspx

위의 글은 PerformanceCounter의 생성자에서 대기 시간이 길다는 거였지만 나름 의미있는 정보가 있었습니다.


I can shed some light on these issues. PerformanceCounters use a machine wide memory mapped file to publish perf counter data. That file contains an object graph and various places we use as spinlocks.
The problem comes in when processes get killed unexpectedly. A process which dies while holding a spinlock won't release it, meaning the next process gets blocked. After spinning 10000 times, we assume some process died and continue on, so we won't block forever - 4 minutes on your machine. My guess is that IIS is terminating your app when it resets it



즉, asp.net에서 재시작하면 기존 프로세스에서 해제되지 않은 성능 카운터 리소스가 문제가 될수 있다는 것인데요. 위의 댓글에 보면 Whidbey 정식 버전에서는 고쳤다고 되어 있지만, 다시 이후의 댓글에 보면 현상이 여전하다고 합니다.

그다음 검색된 글에서는,

PerformanceCounter causes all application threads to hang 
; http://connect.microsoft.com/VisualStudio/feedback/ViewFeedback.aspx?FeedbackID=94605

지연 시간이 저 같은 경우에는 4분 정도였는데, 위의 글에서는 2분 정도라고 합니다. 어쨌든 해결책은 없군요.

더 이상의 검색은 포기하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PerformanceCounter를 세세하게 뜯어보기 시작했습니다. 오호... 그런데, InstanceLifetime이라는 속성이 있습니다.

// Summary:
//     Specifies the lifetime of a performance counter instance.
public enum PerformanceCounterInstanceLifetime
{
    // Summary:
    //     Remove the performance counter instance when no counters are using the process
    //     category.
    Global = 0,
    //
    // Summary:
    //     Remove the performance counter instance when the process is closed.
    Process = 1,
}

이 속성을 Process로 하면, ReadOnly 속성은 반드시 false로 해야 합니다. (사실, "쓰기" 작업이 필요없지만.) 그래서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하니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perfCounters = new PerformanceCounter();
perfCounters.CategoryName = perfProviderName;
perfCounters.InstanceName = instanceName;
perfCounters.CounterName = s;

perfCounters.InstanceLifetime = PerformanceCounterInstanceLifetime.Process;
perfCounters.ReadOnly = false;

정확한 내부 작업은 어떻게 된 것인지 확실치는 않지만, 이번엔 여기까지만!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08정성태6/17/201524519.NET Framework: 517. calli IL 호출이 DllImport 호출보다 빠를까요? [1]파일 다운로드1
10807정성태6/16/201526129.NET Framework: 516. Microsoft.AspNet.Membership.OpenAuth 사용 시 "Local Database Runtime error occurred" 오류
10806정성태6/16/201543087.NET Framework: 515. OpenAuth.VerifyAuthentication 호출 시 The remote server returned an error: (400) Bad Request
10805정성태6/15/201525212Java: 17. 자바의 재미있는 상수 처리 방식
10804정성태6/10/201525686.NET Framework: 514.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 (2)파일 다운로드1
10803정성태6/2/201527774.NET Framework: 513. UWP(Universal Windows Platform) 응용 프로그램의 새로운 라이브러리 버전 관리 해법 [2]
10802정성태6/2/201526228개발 환경 구성: 269.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zure VPN 구성 방법 [1]
10801정성태5/31/201531736.NET Framework: 512. async/await 사용 시 hang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 두 번째 이야기 [3]
10800정성태5/29/201527771개발 환경 구성: 268. 소개 - 프로세싱(https://processing.org/)
10799정성태5/29/201524767사물인터넷: 3. 책 소개 - 라즈베리 파이로 구현하는 사물 인터넷 프로젝트 [1]
10798정성태5/26/201525072기타: 53. 2015년 6월 10일 밤 10시 온라인 세미나 - 새로운 Windows 10 App을 개발하는 방법
10797정성태5/23/201524637VC++: 91. 자식 스레드에 자동 상속되는 TEB의 SubProcessTag 필드파일 다운로드1
10796정성태5/23/201535759오류 유형: 293.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실행 시 "Cannot find one or more components" 오류
10795정성태5/23/201533916오류 유형: 292. InstallUtil로 .NET 서비스 등록 시 오류 - Operation is not supported.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515). [3]
10794정성태5/22/201528633개발 환경 구성: 267.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네트워킹 기초 [1]
2925정성태5/14/201527641디버깅 기술: 73. PDB 기호 파일의 경로 구성 방식파일 다운로드1
2924정성태5/14/201531393VS.NET IDE: 100. 비주얼 스튜디오 원격 디버깅 시 'Unknown function' 콜스택이 나온다면?
2923정성태5/12/201590975기타: 52.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7]
2922정성태5/12/201526686오류 유형: 291. ssindex.cmd 실행 시 '...[tfs_collection_url]...' not found in srcsrv.ini 오류 발생
2921정성태5/9/201533549개발 환경 구성: 266. 인텔에서 구현한 최대 절전 모드 기능 - Intel® Rapid Start Technology
2920정성태5/9/201524489오류 유형: 290. 디스크 관리자의 파티션 축소 시, There is not enough space available on the disk(s) to complete this operation.
2919정성태5/9/201524518오류 유형: 289. Error: this template attempted to load component assembly 'NuGet.VisualStudio.Interop, ...'
2918정성태5/9/201543139Windows: 111.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3]
2917정성태5/9/201533761오류 유형: 288. .NET Framework 4.6이 설치된 경우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가 설치 안 되는 문제 [5]
2916정성태5/9/201534746오류 유형: 287. 레지스트리 권한 오류 - Cannot edit [Registry key name]: Error writing the value's new contents.
2915정성태5/9/201534697개발 환경 구성: 265. TrustedInstaller 권한으로 프로그램 실행시키는 방법 [1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