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ytest.zip]    
(연관된 글이 8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63

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82

개발 환경 구성: 147. .keystore 파일에 저장된 개인키 추출 방법과 인증기관으로부터 온 공개키를 합친 pfx 파일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2

개발 환경 구성: 549. ssh-keygen으로 생성한 PKCS#1 개인키/공개키 파일을 각각 PKCS8/PEM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60

.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99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

How to create a self-signed certificate that can be used to sign MS-Office VBA projects (Excel/Word macros) on multiple computers
; http://www.source-code.biz/snippets/vbasic/3.htm

위의 글에서 잘 설명해 주고 있는데요.

일단, Visual Studio 2010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은 2개의 명령어는 아무 문제없이 실행됩니다.

makecert -n "CN=myserver" -r -sv mycert.pvk mycert.cer
cert2spc mycert.cer mycert.spc

그렇다면, pvk, cer, spc 파일은 얻어냈군요. 참고로, WCF 서비스 용으로 인증서를 만든다면 다음과 같이 Key Exchange 옵션을 주어야 합니다.

makecert -n "CN=myserver" -r -sky exchange -sv mycert.pvk mycert.cer

CN 이름은 보통 HTTPS URL의 도메인 이름을 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https://myserver/test.aspx"라고 접근하고 싶은 경우에는 반드시 "CN=myserver"라고 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웹 브라우저에서 인증서 경고가 나오게 됩니다.)

자,,, 이제 마지막으로 PFX 파일을 만들어야 하는데요.
다음의 경로에서 PVKIMPRT.exe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Office 2000 Tool: PVK Digital Certificate Files Importer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F9992C94-B129-46BC-B240-414BDFF679A7&displaylang=EN

참고로, 저 같은 경우 Windows 7 64비트에서 위의 프로그램을 설치했더니 비정상 종료가 되어서 "Windows XP 모드"에서 설치를 한 후 pvkimprt.exe를 빼왔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pfx 파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

pvkimprt -pfx mycert.spc mycert.pvk

중간에 개인키에 대한 암호를 묻는데 잘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나중에 "인증서 관리자"를 통해서 인증서 보관소에 넣을 때 물어보기 때문입니다.

pfx 파일을 인증서 보관소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합니다.

5.1 인증서 관리 - 내보내기/가져오기
  [가져오기 - PFX 인증서 파일을 대상 컴퓨터에 설치]
; https://www.sysnet.pe.kr/2/0/392

참고로, 보통 WCF나 웹 애플리케이션처럼 다른 사용자 계정(보통 NetworkService)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인증서를 등록할 때는 "Current User" 영역 보다는 "Local Computer" 영역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보통 "인증서 관리자"를 이용하게 되는데 자세한 방법은 다음의 글에서 참고합니다.

5.3 인증서 관리 - 인증서 MMC 관리자
; https://www.sysnet.pe.kr/2/0/395

아니... 이참에 윈도우즈의 "인증서 관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싶다면 다음의 글을 통째로 읽어보실 것을 권합니다. ^^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353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0-08-04 01시06분
첨부된 파일은 "CN=mytest", 비밀번호 "0000"으로 만들어진 .spc, .cer, .pfx, .pvk 파일입니다.
kevin2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68정성태10/15/20245378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3767정성태10/14/20244762오류 유형: 929. bpftrace 수행 시 "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BEGIN_trigger"
13766정성태10/14/20244546C/C++: 178. C++ - 파일에 대한 Text 모드의 "translated" 동작파일 다운로드1
13765정성태10/12/20245258오류 유형: 928. go build 시 "package maps is not in GOROOT" 오류
13764정성태10/11/20245621Linux: 85. Ubuntu - 원하는 golang 버전 설치
13763정성태10/11/20244975Linux: 84. WSL / Ubuntu 20.04 - bpftool 설치
13762정성태10/11/20245000Linux: 83. WSL / Ubuntu 22.04 - bpftool 설치
13761정성태10/11/20244906오류 유형: 927. WSL / Ubuntu - /usr/include/linux/types.h:5:10: fatal error: 'asm/types.h' file not found
13760정성태10/11/20245438Linux: 82. Ubuntu - clang 최신(stable) 버전 설치
13759정성태10/10/20246357C/C++: 177. C++ - 자유 함수(free function) 및 주소 지정 가능한 함수(addressable function) [6]
13758정성태10/8/20245564오류 유형: 926. dotnet tools를 sudo로 실행하는 경우 command not found
13757정성태10/8/20245505닷넷: 2306. Linux - dotnet tool의 설치 디렉터리가 PATH 환경변수에 자동 등록이 되는 이유
13756정성태10/8/20245611오류 유형: 925. ssh로 docker 접근을 할 때 "... malformed HTTP status code ..." 오류 발생
13755정성태10/7/20246004닷넷: 230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파일 다운로드1
13754정성태10/4/20245567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파일 다운로드1
13753정성태10/4/20245577Linux: 81. Linux - PATH 환경변수의 적용 규칙
13752정성태10/2/20246262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 [6]파일 다운로드1
13751정성태10/2/20245398C/C++: 176. C/C++ - ARM64로 포팅할 때 유의할 점
13750정성태10/1/20245280C/C++: 175. C++ - WinMain/wWinMain 호출 전의 CRT 초기화 단계
13749정성태9/30/20245533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748정성태9/29/20245742닷넷: 2301. C# - BigInteger 타입이 byte 배열로 직렬화하는 방식
13747정성태9/28/20245570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파일 다운로드1
13746정성태9/28/20245676오류 유형: 924. Python - LocalProtocolError("Illegal header value ...")
13745정성태9/28/20245542Linux: 80.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lldb)
13744정성태9/27/20245970닷넷: 2299.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파일 다운로드1
13743정성태9/26/20246416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