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21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제니퍼를 이용하면 COM+ 개체를 사용하는 aspx(asmx,svc WCF...) 단의 호출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어떻게 되는지 한번 눈으로 확인을 해볼까요?

우선, 다음과 같이 각각 "라이브리러 활성화"로 등록된 COM+ 개체와 "서버 활성화"로 등록된 COM+ 개체를 호출한 코드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public partial class ComPlusServerTes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 라이브러리 활성화 COM+ 개체 호출
        using (MyComponentLibrary app = new MyComponentLibrary())
        {
            app.GetApp("test");
        }

        // 서버 활성화 - dllhost.exe에서 실행되는 COM+ 개체를 호출
        using (MyComponentServer app2 = new MyComponentServer())
        {
            app2.GetApp("test");
        }
    }
}

위의 코드가 실행되면 다음의 "[표 1]"과 같은 모니터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 1: COM+ 호출 모니터링 트레이스 결과 화면]
UUID: 7aa8ee96ef535b90(8838576600742321040)     서버 시간: 22:33:20 198(1276522400198)
에이전트: V12     애플리케이션: /ComPlusServerTest.aspx(1065885031)
클라이언트 아이디: 254d96e273d812dc(2687970451960369884)     클라이언트 IP: 192.168.0.202     사용자 아이디: 
호출 시간: 22:33:20 195     종료 시간: 22:33:20 211     응답 시간: 16
CPU 시간: 0     SQL 시간: 16     Fetch 시간: 0     TX 시간: 0

[0000][22:33:20 195][    0][    0] START
[0000][22:33:20 195][    0][    0] [native:1]
[0003][22:33:20 195][    0][    0] COMPLUS-CALL[EntLibLibraryApp.MyComponentLibrary..ctor]

... [GetApp 메서드 호출 동안 발생한 모니터링 출력... 생략(예를 들어 SQL 호출 트레이스)] ...

[0016][22:33:20 211][    0][    0] COMPLUS-CALL[EntLibLibraryApp.MyComponentLibrary.GetApp] [16 ms]
[0017][22:33:20 211][    0][    0] COMPLUS-CALL[EntLibLibraryApp.MyComponentLibrary._internalDeactivate]
[0018][22:33:20 211][    0][    0] COMPLUS-CALL[EntLibLibraryApp.MyComponentLibrary.Dispose]
[0035][22:33:20 211][    0][    0] TX-CALL[COM+.EntLibServerApp.MyComponentServer..ctor] [16 ms]
[0036][22:33:20 211][    0][    0] TX-CALL[COM+.EntLibServerApp.MyComponentServer.GetApp] [25 ms]
[0037][22:33:20 211][    0][    0] TX-CALL[COM+.EntLibServerApp.MyComponentServer.Dispose] [16 ms]
[0038][22:33:20 211][    0][    0] END

DLL 유형의 로컬 호출이 되는 것은 "COMPLUS-CALL"로 표현되었고, 원격 호출이 되는 것은 "TX-CALL[COM+...]"로 표현이 되어 확연히 구분이 됩니다.

보시는 것처럼, 라이브러리 및 서버 활성화를 하는 COM+ 메서드 개체는 생성 및 해제까지 모두 메서드 호출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MPLUS-CALL[EntLibLibraryApp.MyComponentLibrary..ctor]
COMPLUS-CALL[EntLibLibraryApp.MyComponentLibrary.GetApp] [16 ms]
COMPLUS-CALL[EntLibLibraryApp.MyComponentLibrary._internalDeactivate]
COMPLUS-CALL[EntLibLibraryApp.MyComponentLibrary.Dispose]

왜 Dispose가 필요할까요? COM+ 개체는 닷넷으로 만들어져 있다고 해도 기반 인프라가 native 시절의 COM이기 때문에 반드시 COM Interop을 거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Dispose를 명시적으로 해주지 않으면 native 자원이 새게 됩니다. (물론, 이후에 GC에 의해서 Dispose가 호출되긴 합니다.)

하지만, Dispose를 하지 않았을 때의 문제는 서버 활성화 COM+ 개체를 호출했을 때 더욱 심각해집니다.

TX-CALL[COM+.EntLibServerApp.MyComponentServer..ctor] [16 ms]
TX-CALL[COM+.EntLibServerApp.MyComponentServer.GetApp] [25 ms]
TX-CALL[COM+.EntLibServerApp.MyComponentServer.Dispose] [16 ms]

위와 같이, dllhost.exe라는 별도의 프로세스에서 활성화되는 서버 유형의 COM+ 개체 호출도 명백히 Dispose를 호출해 주어야만 dllhost.exe에서 호스팅되는 COM+ 자원이 정상적으로 해지될 수가 있습니다. 아마, COM+로 미들웨어를 구성하는 웹 사이트에서 겪는 대부분의 성능 문제가 위와 같이 COM+ 사용에 있어 Dispose를 호출하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텐데요. 재미있는 점은,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COM+ 개체 호출을 "메서드 호출" 정도로 가볍게 여기기 때문에 Dispose에 대해 소홀하다는 것입니다. 반면 WCF 등의 기술들처럼 명백히 원격 호출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은 상대적으로 더 세심하게 Close를 해주는 것과 비교하면, 호출을 쉽게 해주는 COM+의 배려가 오히려 독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러한 문제를 제니퍼로 잡아낼 수는 없을까요?

만약, 개발자가 아래와 같이 dispose를 명시적으로 호출하지 않는 aspx 웹 페이지를 만들어서 실행했다면,

public partial class ComPlusServerTes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MyComponentLibrary app = new MyComponentLibrary();
        app.GetApp("test");
    }
}

제니퍼의 X-View에는 아래와 같이 "빨간색" 점이 찍히게 되고,

jennifer_complus_res_leak_1.png

어떤 호출이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로 빨간색 점을 포함하는 영역을 드래그하면 아래와 같이 상세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jennifer_complus_res_leak_2.png

와~~~ 해당 호출에 대해서 "WARNING_RESOURCE_LEAK"이라고 경고가 나오고 그에 따른 웹 페이지의 경로를 "/ComplusServerTest.aspx"라고 일러주고 있습니다. 이제 개발자는 상세 화면의 프로파일링 결과에서 "Dispose"가 없는 부분을 확인하고 곧바로 해당 영역의 코드를 찾아서 Dispose 코드를 추가해 주면 됩니다.

jennifer_complus_res_leak_3.png

어떠세요? 이 정도면 COM+ 리소스 누수 문제로 고생하는 일이 확실히 줄어들 수 있겠죠! 아울러, 웹 사이트의 보다 나은 성능을 보장하면서!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25정성태10/14/201719370.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11324정성태10/13/201720964디버깅 기술: 101. windbg - "*** WARNING: Unable to verify checksum for" 경고 없애는 방법
11322정성태10/13/201718352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11321정성태10/11/201719872.NET Framework: 688. NGen 모듈과 .NET Profiler
11320정성태10/11/201720668.NET Framework: 687.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과 NGen의 "profiler-enhanced images" [1]
11319정성태10/11/201728214.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11318정성태10/7/201721015VS.NET IDE: 12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는 C# 콘솔 프로그램 제작 [1]
11317정성태10/4/201726152VC++: 120. std::copy 등의 함수 사용 시 _SCL_SECURE_NO_WARNINGS 에러 발생
11316정성태9/30/201724197디버깅 기술: 99. (닷넷) 프로세스(EXE)에 디버거가 연결되어 있는지 아는 방법 [4]
11315정성태9/29/201740246기타: 68.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구매하신 분들을 위한 C# 7.0/7.1 추가 문법 PDF [8]
11314정성태9/28/201722063디버깅 기술: 98.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닷넷 버전 확인하는 방법
11313정성태9/25/201719323디버깅 기술: 97. windbg - 메모리 덤프로부터 DateTime 형식의 값을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12정성태9/25/201722472.NET Framework: 685. C# - 구조체(값 형식)의 필드를 리플렉션을 이용해 값을 바꾸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11정성태9/20/201716848.NET Framework: 684. System.Diagnostics.Process 객체의 명시적인 해제 권장
11310정성태9/19/201720299.NET Framework: 683. WPF의 Window 객체를 생성했는데 GC 수집 대상이 안 되는 이유 [3]
11309정성태9/13/201718421개발 환경 구성: 335. Octave의 명령 창에서 실행한 결과를 복사하는 방법
11308정성태9/13/201719469VS.NET IDE: 121.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일부 텍스트 파일을 무조건 메모장으로만 여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07정성태9/13/201722023오류 유형: 421. System.Runtime.InteropServices.SEHException - 0x80004005
11306정성태9/12/201720135.NET Framework: 682. 아웃룩 사용자를 위한 중국어 스팸 필터 Add-in
11305정성태9/12/201721589개발 환경 구성: 334. 기존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를 이용해 Github의 신규 생성된 repo에 올리는 방법 [1]
11304정성태9/11/201718687개발 환경 구성: 333. 3ds Max를 Hyper-V VM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03정성태9/11/201721988개발 환경 구성: 332. Inno Setup 파일의 관리자 권한을 제거하는 방법
11302정성태9/11/201718268개발 환경 구성: 331. SQL Server Express를 위한 방화벽 설정
11301정성태9/11/201717130오류 유형: 420. SQL Server Express 연결 오류 - A network-related or instance-specific error occurred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SQL Server.
11300정성태9/10/201721002.NET Framework: 681. dotnet.exe - run, exec, build, restore, publish 차이점 [3]
11299정성태9/9/201719722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