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8.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07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보통 직접적으로 COM+를 호출할 때는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데요. COM+ 서버에서 또 다른 COM+ 서버를 호출할 때는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aspx 웹 페이지에서 호출한 COM+ 서버가, 또 다른 COM+ 서버인 "SecondEntLibServerApp.MySecondComponent"에 정의된 메서드를 호출하는 경우에 볼 수 있는 오류입니다. (모두 같은 서버에 있다고 가정합니다.)

Cannot load type 'SecondEntLibServerApp.MySecondComponent, SecondEntLibServerApp,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cc862a9be44088eb'.
Description: An unhandled exception occur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web request. Please review the stack trace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rror and where it originated in the code.

Exception Details: System.Runtime.Remoting.RemotingException: Cannot load type 'SecondEntLibServerApp.MySecondComponent, SecondEntLibServerApp,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cc862a9be44088eb'.

... [생략] ...

Stack Trace:

[RemotingException: Cannot load type 'SecondEntLibServerApp.MySecondComponent, SecondEntLibServerApp,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cc862a9be44088eb'.]
System.Runtime.Remoting.Proxies.RealProxy.HandleReturnMessage(IMessage reqMsg, IMessage retMsg) +168
... [생략] ...
EntLibServerApp.MyComponentServer.MethodChainTest(String connectionString) in C:\...\MyComponentServer.cs:32
Jennifer40.WebSiteTest.ComPlusServerTest.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in C:\...\ComPlusServerTest.aspx.cs:48
... [생략] ...



위의 콜 스택은 aspx 측에서 본 경우이고, 문제가 되는 첫 번째 COM+에서의 콜 스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System.Runtime.Remoting.RemotingException: Cannot load type SecondEntLibServerApp.MySecondComponent, SecondEntLibServerApp,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cc862a9be44088eb.
at System.Runtime.Remoting.RemotingServices.GetOrCreateProxy(Identity idObj, Object proxy, Boolean fRefine)
at System.Runtime.Remoting.RemotingServices.InternalUnmarshal(ObjRef objectRef, Object proxy, Boolean fRefine)
... [생략] ...




그런데,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은가 봅니다. 웹 검색을 해봤더니 다음과 같은 글이 하나 나왔는데, 그나마도 답이 없습니다.

System.Runtime.Remoting.RemotingException: Cannot load type
; http://www.dotnetmonster.com/Uwe/Forum.aspx/vs-net-general/5968/System-Runtime-Remoting-RemotingException-Cannot-load-type

위의 질문자도, 해당 COM+ 개체를 asp.net에서 직접 호출하면 정상적으로 활성화가 되는데 COM+ 개체에서 또 다른 COM+ 개체를 호출하면 오류가 발생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아무런 답변이 없습니다. (간단한 재현 예제코드도 올려져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uslogvw.exe로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Assembly Binder Log Entry  (2010-06-18 @ 오후 12:40:28) ***

The operation failed.
Bind result: hr = 0x80070002.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Assembly manager loaded from: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scorwks.dll
Running under executable  C:\Windows\System32\dllhost.exe
--- A detailed error log follows. 

=== Pre-bind state information ===
LOG: User = .\Tester
LOG: DisplayName = SecondEntLibServerApp,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cc862a9be44088eb
 (Fully-specified)
LOG: Appbase = file:///C:/Windows/System32/
LOG: Initial PrivatePath = NULL
LOG: Dynamic Base = NULL
LOG: Cache Base = NULL
LOG: AppName = dllhost.exe
Calling assembly : (Unknown).
===
LOG: This bind starts in default load context.
LOG: No application configuration file found.
LOG: Using machine configuration file from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config\machine.config.
LOG: GAC Lookup was unsuccessful.
LOG: Attempting download of new URL file:///C:/Windows/System32/SecondEntLibServerApp.DLL.
LOG: Attempting download of new URL file:///C:/Windows/System32/SecondEntLibServerApp/SecondEntLibServerApp.DLL.
LOG: Attempting download of new URL file:///C:/Windows/System32/SecondEntLibServerApp.EXE.
LOG: Attempting download of new URL file:///C:/Windows/System32/SecondEntLibServerApp/SecondEntLibServerApp.EXE.
LOG: All probing URLs attempted and failed.

엉뚱하게도 SecondEntLibServerApp.DLL 어셈블리를 dllhost.exe가 존재하는 "C:\Windows\System32" 폴더에서 찾고 있습니다. 아하~~~ 그렇다면 그 폴더에 복사해 주면 되겠군요.

그렇긴 하지만, ^^ 시스템 폴더에 사용자 파일을 복사하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고. 대신에 gacutil을 사용해서 GAC(Global Assembly Cache)에 등록해 주는 것이 더 올바른 사용법이겠지요.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32정성태1/11/201826341.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파일 다운로드2
11431정성태1/11/201824324.NET Framework: 725.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메서드(awaitable)처럼 구현한 사례 [9]
11430정성태1/10/201827778.NET Framework: 724.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429정성태1/9/201818489개발 환경 구성: 348. ASP.NET Core 2.1 Preview 버전 적용 방법
11428정성태1/6/201821263개발 환경 구성: 347. WinForm 프로젝트를 WPF 프로젝트 유형으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27정성태1/5/201819292오류 유형: 445. vcpkg 빌드 오류 - Starting the CLR failed with HRESULT 80040153
11426정성태1/5/201828965오류 유형: 444. curl로 호출할 때 발생하는 오류 정리
11425정성태1/4/201819588개발 환경 구성: 346.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2)
11424정성태1/4/201819163개발 환경 구성: 3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명령행에서 빌드하는 방법
11423정성태1/3/201837394VC++: 123. 내가 만든 코드보다 OpenCV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 [8]파일 다운로드2
11422정성태1/2/201827965.NET Framework: 723. C# - OpenCvSharp 사용 시 C/C++을 이용한 속도 향상 (for 루프 연산) [4]파일 다운로드1
11421정성태1/2/201819754오류 유형: 443. Visual Studio - nuget configuration is invalid
11420정성태12/30/201723949.NET Framework: 722.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음성인식(SpeechRecognizer)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419정성태12/23/201726066.NET Framework: 721. WebClient 타입의 ...Async 메서드 호출은 왜 await + 동기 호출 시 hang 현상이 발생할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418정성태12/23/201735856.NET Framework: 720.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 await 시 ConfigureAwait 호출 의미 [2]파일 다운로드1
11417정성태12/22/201721692.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2]
11416정성태12/21/201719341.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21034.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28215.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22483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25175.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23421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35703.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 [1]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41696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21323.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204.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