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어느 순간부터 Hyper-V 내의 가상 머신 콘솔에 연결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그림 1: Hyper-V 가상 머신 연결 오류] 다행히 해결 방법이 검색 1순위로 ^^ 공개되어 있습니다.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FIX* ; https://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en-US/961c2dd6-c34a-4b17-a10f-a3afdd9db3f0/quota-connection-will-not-be-made-because-credentials-may-not-be-sent-to-the-remote-computerquot?forum=virtualmachingmgrhyperv 내용인 즉, Hyper-V 관리자에서 "Hyper-V Settings" 메뉴를 선택하고, [그림 2: Hyper-V Settings 메뉴 선택] "User Credentials"의 "Use default credentials automatically (no prompt)" 선택값을 해제하고 "Delete Saved Credentials" 메뉴를 선택해서 기존 캐쉬된 인증 정보를 삭제하라는 것입니다. [그림 3: User Credentials 설정] 그런데, 저 같은 경우에는 "Use default credentials automatically (no prompt)" 선택값이 이미 해제된 상태였습니다. 재미있게도, 오히려 그 선택값을 "설정"하고 저장을 하니 접속 오류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최초 등록일: 6/30/2010] [최종 수정일: 6/13/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0정성태1/10/201328951Windows: 69. 작업표시줄의 터치 키보드(Touch Keyboard) 없애는 방법 [3]1399정성태1/9/201324567.NET Framework: 355. 닷넷 환경이 왜 C/C++보다 느릴까요? [8]1398정성태1/8/201324999오류 유형: 165. 새로 설치한 Visual Studio 2010의 Team Explorer 실행시 비정상 종료가 된다면?1397정성태1/3/201328430Windows: 68.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를 USB 하드에 적용하는 방법 [2]1396정성태12/27/201229634사물인터넷: 2. 넷두이노 - 4.2.0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11395정성태12/26/201220560.NET Framework: 354.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1394정성태12/25/201221976.NET Framework: 353. x86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1393정성태12/25/201222402.NET Framework: 352. x64에서 필수로 지정하도록 바뀐 STAThread 특성 [2]1392정성태12/21/201232335사물인터넷: 1. .NET Micro Framework - 넷두이노 플러스 [7]1391정성태12/21/201225765.NET Framework: 351. JavaScriptSerializer, DataContractJsonSerializer, Json.NET [3]11390정성태12/20/201223836.NET Framework: 350. String 데이터를 Stream으로 변환하는 방법 [2]1389정성태12/12/201222123.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11388정성태12/12/201223202.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11387정성태12/12/201228101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1386정성태12/12/201229853디버깅 기술: 5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네이티브 DLL을 추출하는 방법 [1]1385정성태12/12/201224866디버깅 기술: 52. Windbg - The version of SOS does not match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1384정성태12/12/201229723개발 환경 구성: 178.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1383정성태12/10/201225613개발 환경 구성: 177. 기업용 메신저를 위한 Office Communicator Server 2007 설치 [1]1382정성태12/8/201228485개발 환경 구성: 176. WebPagetest 서버 - 설치 및 테스트1381정성태12/5/201226990.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2]11380정성태11/28/201237040.NET Framework: 346. 닷넷 개발자에게 Node.js의 의미 [17]1379정성태11/26/201230158.NET Framework: 345. C# 부호(+, -)에 대한 비트 변환1378정성태11/22/201231543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1377정성태11/19/201224925.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1376정성태11/15/201230159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1375정성태11/15/201225931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