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DDK: 1. Visual Studio 2010 - Device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381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0 - Device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친숙한 Visual Studio 개발환경을 떠나지 않고 ^^ "Hello World" 예제를 만들어 볼까요?
저도 밑바닥부터는 "스스로" 알 수는 없으니, 방법을 찾아보았는데 다음의 글이 눈에 띄었습니다. ^^

How to Configure Visual Studio 2008 for Compiling Drivers
;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31865/How-to-Configure-Visual-Studio-2008-for-Compiling

정확한 해결 방법이 될 것 같죠? ^^




일단, 기본적인 단계는 위의 글을 따르긴 했는데, Visual Studio 2010이기 때문에 나름대로 변경된 것이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08이라면, 위의 글에 나온 순서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또한, x64 빌드를 기준으로 설정이 되었습니다.

1. Visual Studio 2010 설치

2. WDK 설치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displaylang=en&FamilyID=36a2630f-5d56-43b5-b996-7633f2ec14ff

3. "Win32 Project" 유형의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 Applicaiton type - Windows application
; Additional Options: Empty project

4. 솔루션의 "Configuration Manager"를 통해서 'x64' 플랫폼을 추가

vs2010_dd_sample_1.png

5. "Configuration Properties" / "General"
; Target Extension: .sys

vs2010_dd_sample_2.png

6. "Configuration Properties" / "VC++ Directories"에 DDK의 include, lib, bin 폴더를 추가
; Executable Directories: D:\WinDDK\7600.16385.1\bin;$(ExecutablePath)
; Include Directories: D:\WinDDK\7600.16385.1\inc\ddk;D:\WinDDK\7600.16385.1\inc\api;D:\WinDDK\7600.16385.1\inc\crt
; Library Directories: D:\WinDDK\7600.16385.1\lib\win7\amd64

vs2010_dd_sample_3.png

7. "Configuration Properties"에서 "Configuration" 설정을 "All Configurations"로 바꾼 후,
1. C/C++ - General - Debug Information Format = Program Database (/Zi)
2. C/C++ - Preprocessor - Preprocessor Definitions = _AMD64_
3. C/C++ - Code Generation - Enable C++ Exceptions = No
4. C/C++ - Code Generation - Basic Runtime Checks = Default
5. C/C++ - Code Generation - Buffer Security Check = No (/GS-)
6. C/C++ - Advanced - Calling Convention = __stdcall (/Gz)
7. C/C++ - Advanced - Compile As = Compile as C Code (/TC) [if you are going to use plain C]
8. Linker - General - Enable Incremental Linking = [빈 문자열]
9. Linker - Input - Additional Dependencies = ntoskrnl.lib;hal.lib (상속 받지 않음을 체크)
10. Linker - Input - Ignore All Default Libraries = Yes (/NODEFAULTLIB)
11. Linker - Manifest File - Generate Manifest = No
12. Linker - System - SubSystem = Native (/SUBSYSTEM:NATIVE)
13. Linker - System - Driver = Driver (/DRIVER)
14. Linker - Advanced - Entry Point = DriverEntry
15. Linker - Advanced - Base Address = 0x10000
16-1. Linker - Advanced - Randomized Base Address = [빈 문자열]
16-2. Linker - Advanced - Data Execution Prevention (DEP) = [빈 문자열]

vs2010_dd_sample_4.png

6. 예제 코드 작성으로 마무리

#include <ntddk.h>

VOID DriverUnload( PDRIVER_OBJECT pDriverObject )
{
    DbgPrint("Driver Unload\n" );
}

NTSTATUS DriverEntry(PDRIVER_OBJECT pDriverObject, PUNICODE_STRING pRegistryPath)
{
    DbgPrint("DriverEntry\n");

    pDriverObject->DriverUnload = DriverUnload;

    return STATUS_SUCCESS;
}

7. 빌드!




사실, 코딩을 Visual Studio 2010이라는 편집기를 이용하고 컴파일만 하는 것에 의미가 있을 뿐 "F5 디버깅"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차피 별도의 배포 스크립트는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설령 된다고 해도, Blue Screen이 자신의 개발 PC에서 뜨는 것이 유쾌하지는 않죠.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0-06 12시45분
[홍반장] 자료 잘 보고 갑니다.
항상 퍼가기만 하는데요. 저도 이제는 퍼주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guest]
2015-05-06 11시32분
간단한 리눅스 커널 모듈 예제 및 빌드 방법
; http://kkamagui.tistory.com/882
정성태
2023-01-19 10시38분
Lord Of The Ring0 - Part 1 | Introduction
; https://idov31.github.io/2022/07/14/lord-of-the-ring0-p1.html

Lord Of The Ring0 - Part 2 | A tale of routines, IOCTLs and IRPs
; https://idov31.github.io/2022/08/04/lord-of-the-ring0-p2.html

Lord Of The Ring0 - Part 3 | Sailing to the land of the user (and debugging the ship)
; https://idov31.github.io/2022/10/30/lord-of-the-ring0-p3.html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15정성태7/13/201432600기타: 47.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 [3]
1714정성태7/11/201422323VS.NET IDE: 92. Visual Studio 2013을 지원하는 IL Support 확장 도구
1713정성태7/11/201446148Windows: 98.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ckage Cache" 폴더 이동 [1]
1712정성태7/10/201435027.NET Framework: 450. 영문 윈도우에서 C# 콘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 출력 방법 [3]
1711정성태7/10/201439743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1]
1710정성태7/8/201432491개발 환경 구성: 230.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파일 다운로드2
1709정성태7/8/201428990VS.NET IDE: 91. Visual Studio에서 32/64비트 IIS Express 실행하는 방법
1708정성태7/7/201426342VS.NET IDE: 90. Visual Studio - 사용자 정의 정적 분석 규칙 만드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07정성태7/4/201424316.NET Framework: 449. C#에서 C++로 VARIANT 넘겨주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6정성태7/3/201422695.NET Framework: 448. .NET SmartClient 컨트롤을 윈도우 8/2012에서 활성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5정성태7/2/201437789VC++: 78. 보이어-무어(Boyer-Moore) 알고리즘이 정말 빠를까? [6]파일 다운로드1
1704정성태7/2/201424077.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1703정성태7/2/201424970.NET Framework: 446. Assembly.Load를 이용해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02정성태6/23/201424930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파일 다운로드1
1701정성태6/23/201437346개발 환경 구성: 229. .NET Reflector + Reflexil 도구를 이용해 DLL 코드 변경 [4]
1700정성태6/23/201423771VS.NET IDE: 89. Visual Studio에서 기본 제공되는 성능 프로파일 [2]
1699정성태6/22/201425647Phone: 10.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2]파일 다운로드1
1698정성태6/22/201427511.NET Framework: 445. [부연 설명] 쉬운 C# 코드를 어럽게 이해하기 [2]
1697정성태6/22/201423408VS.NET IDE: 88. Visual Studio에서 직접 컴파일하는 IL 언어 확장 도구 - IL Support
1696정성태6/22/201422715.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1695정성태6/21/201421736개발 환경 구성: 228. PowerShell ISE에서 (입력 기능이 있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
1694정성태6/21/201423732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1693정성태6/20/201424329개발 환경 구성: 226.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
1692정성태6/19/201434592오류 유형: 231. Visual Studio 2013 한글 버전 설치 오류 - The form specified for the subject is not one supported or known by the specified trust provider
1691정성태6/18/201430300개발 환경 구성: 225. 유닉스 계열의 tail 명령어가 제공되는 PowerShell [1]
1690정성태6/18/201432909개발 환경 구성: 224. DirectShow 예제 구하는 방법 [3]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