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06. Hyper-V 가상 머신의 네트워크 끊김 현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228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Hyper-V 가상 머신의 네트워크 끊김 현상

잘 운영되고 있던 모든 테스트 VM들이 갑자기 동시에 네트워크 불안정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벤트 로그를 보니, 약 4분 정도 사이에 아래와 같은 로그가 4번 반복되어 나타났습니다. 즉, 4번 네트워크가 연결되었다 끊겼다를 반복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입니다.

Event Type: Warning
Event Source:   netvsc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5
Date:       9/3/2010
Time:       1:40:44 PM
User:       N/A
Computer:   TESTVPC
Description:
The miniport 'Microsoft Virtual Machine Bus Network Adapter' hung.

For more information, ... [생략] ...

Event Type: Information
Event Source:   netvsc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4
Date:       9/3/2010
Time:       1:40:44 PM
User:       N/A
Computer:   TESTVPC
Description:
The miniport 'Microsoft Virtual Machine Bus Network Adapter' reset.

For more information, ... [생략] ...

다행히, 검색해 보니 답이 딱 나오더군요. ^^

Network connectivity for a Windows Server 2003-based Hyper-V virtual machine is lost temporarily in Windows Server 2008 R2
; http://support.microsoft.com/default.aspx?scid=kb;EN-US;981836

그래서, 위의 링크를 통해서 KB981836 핫픽스를 요청해서 설치하면 해결이 됩니다.

그건 그렇고, 얼마 전에 공개되었던 다음의 핫픽스가 연관되어 생각나는데요.

Hyper-V Hotfix Rollup now Available
; http://blogs.msdn.com/b/virtual_pc_guy/archive/2010/08/30/hyper-v-hotfix-rollup-now-available.aspx

위의 핫픽스에 포함된 KB974909 역시 네트워크가 끊긴다는 문제 해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혹시나, Hyper-V 가상 머신에서 실 서비스를 운영하는 팀이라면 반드시 패치하시길 바랍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07정성태8/14/201027647개발 환경 구성: 81.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2)
906정성태8/13/201035130개발 환경 구성: 80.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1)
905정성태8/8/201039665Team Foundation Server: 39. 배치 파일로 팀 빌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904정성태8/8/201041499오류 유형: 101.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
903정성태8/6/201038495Team Foundation Server: 38.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4) - Branch
902정성태8/5/201031143Team Foundation Server: 37. TFS 2010의 소스 서버 수작업 구성
901정성태8/4/201030340Team Foundation Server: 36.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3) - Label
900정성태8/3/201033252Team Foundation Server: 35.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2) - Shelveset
899정성태8/2/201034824Team Foundation Server: 34.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1) - Changeset
898정성태7/31/201034774.NET Framework: 182. WCF의 InactivityTimeout [1]파일 다운로드1
897정성태7/26/201135464.NET Framework: 181. AssemblyVersion, AssemblyFileVersion, AssemblyInformationalVersion [4]
896정성태7/25/201042230.NET Framework: 180. C# Singleton 인스턴스 생성 [2]
895정성태7/25/201026551VS.NET IDE: 68. Visual Studio 2010 - .NET 1.1 원격 디버깅
894정성태7/25/201034313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893정성태7/25/201032939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892정성태7/9/201033975오류 유형: 98. 영문 윈도우에 한글 SQL Server 2008 R2 설치할 때 오류 [4]
891정성태7/8/201030842오류 유형: 97. MsiGetProductInfo failed to retrieve ProductVersion for package with Product Code = '{...}'. Error code: 1605. [2]
889정성태7/5/201032794.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1]
888정성태6/30/201030340오류 유형: 96.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887정성태6/23/201040108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2]
886정성태6/23/201028269제니퍼 .NET: 14. ASMX, WCF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85정성태6/20/201030298개발 환경 구성: 78.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884정성태6/20/201032902제니퍼 .NET: 13. COM+ 서버 모니터링 [2]
883정성태6/18/201034508개발 환경 구성: 77. Appinit_Dlls로 구현한 환경 변수 설정 DLL [5]파일 다운로드1
882정성태6/17/201037700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1]
881정성태6/14/201026843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