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0 - Code Coverage 결과를 외부 XML 파일로 출력하는 명령행 도구 제작

Visual Studio 2010에서 Code Coverage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이 내부 "Code Coverage Results" 윈도우에서 그 결과를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how_to_export_code_coverage_result_1.png

위와 같은 결과물은 로컬 상에 "[파일명].coverage"라는 이름으로 저장되어 있긴 한데, 애석하게도 바이너리 형식이라서 임의로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물론, 위의 화면 자체에서 제공되는 "Export Results" 버튼을 이용해서 곧바로 XML 파일로 변환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자동화된 빌드 시스템에서 코드 커버리지 결과도 함께 연동하고 싶을 때는 이렇게 UI를 통해서 하는 것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즉, "명령행"에서 빌드 및 테스트 수행 결과로 생성된 .coverage 파일을 "Export Results"와 동일한 형식의 XML로 변환하는 것이 해결 과제입니다.




다행히, Visual Studio는 ".coverage" 파일을 코드로 다룰 수 있도록 허용해 주고 있는데요. 이에 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Is it possible to programmatically access code coverage data? 
; http://www.go4answers.com/Example/possible-programmatically-access-code-4285.aspx

위의 글에서는 "Visual Studio 2008"로 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Visual Studio 2010"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1.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dll"을 참조.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dll 파일은 기본적으로 참조 대화상자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0.0\Common7\IDE\PrivateAssemblies" 경로로 직접 찾아들어가야 합니다.

2.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Symbols.dll" 파일 추가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dll 파일과 동일한 폴더("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0.0\Common7\IDE\PrivateAssemblies")에 있는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Symbols.dll" 파일을 추가합니다. "참조"가 아니라 그냥 파일 추가를 하고 속성 창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해줍니다.

how_to_export_code_coverage_result_2.png

Build Action: None
Copy to Output Directory: Copy if newer


3. 코드 추가


Visual Studio 2010에서는 "Is it possible to programmatically access code coverage data?" 글에서 설명하고 있는 개체 모델이 다소 변경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딩을 해주어야 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
using System.IO;

namespace CodeCoverageExporter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args.Length != 4)
            {
                Console.WriteLine("[example]");
                Console.WriteLine("\tCodeCoverageExporter.exe [exepath] [sympath] [coveragefilepath] [outputfilepath]");
                return;
            }

            string binaryPath = args[0];
            string symPath = args[1];
            string coverageFilePath = args[2];
            string outputPath = args[3];

            List symPaths = new List();
            List binaryPaths = new List();
            symPaths.Add(symPath);
            binaryPaths.Add(binaryPath);

            CoverageInfo coverageInfo = CoverageInfo.CreateFromFile(
                coverageFilePath, binaryPaths, symPaths);

            string exportFilePath = Path.Combine(Environment.CurrentDirectory, outputPath);

            CoverageDS data = coverageInfo.BuildDataSet();
            data.WriteXml(exportFilePath);
            // 또는 결과 XML 파일을 VS IDE에서 읽어들여야 한다면 아래와 같이 실행.
            // data.WriteXml(exportFilePath, System.Data.XmlWriteMode.WriteSchema);
        }
    }
}

[exepath]와 [sympath]는 보통 단위 테스트 했을 때 나오는 "TestResults"의 "Out" 폴더인데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instr.pdb" 파일들이 놓인 경로를 가리켜야 합니다.

how_to_export_code_coverage_result_3.png

[coveragefilepath]는 코드 커버리지 결과를 담고 있는 "[파일명].coverage"의 경로입니다. 이 파일은 단위 테스트 했을 때 보통 "TestResults"의 "In" 폴더에 "data.coverage"라는 이름으로 놓이게 됩니다.

how_to_export_code_coverage_result_4.png

마지막으로 [outputfilepath]는 새로 출력될 XML 파일의 경로를 적어주면 됩니다.

이제 빌드하고, 적절한 테스트 환경을 구성해서 실행해 보면 "Visual Studio 2010"의 "Code Coverage Results" 화면에서 "Export Results" 했을 때와 동일한 형식의 xml 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압축 파일은 위의 소스 코드를 포함한 프로젝트입니다.




참고로, "Is it possible to programmatically access code coverage data?" 글에서도 나오고 있지만, 만약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Unhandled Exception: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CoverageAnalysisException: Unable to load DLL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Symbols.dll':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07E) ---> System.DllNotFoundException: Unable to load DLL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Symbols.dll':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07E)
at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Vsp.SymbolInterop.CreateSession()
at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Vsp.VspSymbolReader..ctor(StringsymbolSearchPath, String expectedPath, String actualPath, UInt32 imageSize, MissingFileCallback callback)
at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Vsp.VspSymbolReaderFactory.CreateReader()
at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CoverageInfo.BuildDataSet(Boolean summaryOnly, IEnumerable`1 tests, IEnumerable`1 modules)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CoverageInfo.BuildDataSet(Boolean summaryOnly, IEnumerable`1 tests, IEnumerable`1 modules)
at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Analysis.CoverageInfo.BuildDataSet()
at CodeCoverageExporter.Program.Main(String[] args) in D:\...\Program.cs:line 37


원인은, "Microsoft.VisualStudio.Coverage.Symbols.dll" 파일을 실행 파일과 동일한 폴더에 놓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0-09-08 10시44분
Developer Tool Manager (1.0.1.12) 버전에 추가했습니다. ^^ (Visual Studio 탭 - CodeCoverageExporter)
; http://www.sysnet.pe.kr/Default.aspx?mode=2&sub=0&detail=1&wid=-

kevin25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10정성태7/15/201817396Graphics: 5.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3)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 Texture
11609정성태7/15/201820429Graphics: 4.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2) - 고로 셰이딩(gouraud shading) + 퐁 모델(Phong model)
11608정성태7/15/201824978Graphics: 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 - 컬러 반전 및 상하/좌우 뒤집기
11607정성태7/14/201825312Graphics: 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
11606정성태7/13/201825945사물인터넷: 19. PC에 연결해 동작하는 자신만의 USB 장치 만들어 보기파일 다운로드1
11605정성태7/13/201821761사물인터넷: 18. New NodeMCU v3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내장 LED 및 입력 핀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04정성태7/12/201820890Math: 47. GeoGebra 기하 (24) - 정다각형파일 다운로드1
11603정성태7/12/201816932Math: 46. GeoGebra 기하 (23) - sqrt(n) 제곱근파일 다운로드1
11602정성태7/11/201817118Math: 45. GeoGebra 기하 (22) - 반전기하학의 원에 관한 반사변환파일 다운로드1
11601정성태7/11/201819875Math: 44. GeoGebra 기하 (21) - 반전기하학의 직선 및 원에 관한 반사변환파일 다운로드1
11600정성태7/10/201818329Math: 43. GeoGebra 기하 (20) - 세 점을 지나는 원파일 다운로드1
11599정성태7/10/201817643Math: 42. GeoGebra 기하 (19) - 두 원의 안과 밖으로 접하는 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98정성태7/10/201819536Windows: 147.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USB 디스크에 만드는 방법
11597정성태7/10/201821629사물인터넷: 17. Thinary Electronic - ATmega328PB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개발 환경 구성
11596정성태7/10/201819554기타: 72. 과거의 용어 설명 - OWIN
11595정성태7/10/201825323사물인터넷: 16. New NodeMCU v3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기본 개발 환경 구성
11594정성태7/8/201819707Math: 41. GeoGebra 기하 (18) - 원의 중심 및 접선파일 다운로드1
11593정성태7/8/201818735Math: 40. GeoGebra 기하 (17) - 각의 복사파일 다운로드1
11591정성태7/7/201818061Math: 39. GeoGebra 기하 (16) - 삼각형의 방심과 방접원파일 다운로드1
11590정성태7/7/201817626Math: 38. GeoGebra 기하 (15) - 삼각형의 수심파일 다운로드1
11589정성태7/7/201817906.NET Framework: 787. object로 형변환된 인스턴스를 원래의 타입 인자로 제네릭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588정성태7/7/201819362디버깅 기술: 116.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CPU 100% 현상 (3)
11587정성태7/5/201818976.NET Framework: 786. ASP.NET -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11586정성태7/5/201818151Math: 37. GeoGebra 기하 (14) - 삼각형의 무게 중심파일 다운로드1
11585정성태7/5/201818321Math: 36. GeoGebra 기하 (13) - 삼각형의 외심과 외접하는 원파일 다운로드1
11584정성태7/5/201818304Math: 35. GeoGebra 기하 (12) - 삼각형의 내심과 내접하는 원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