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요즘, ... VC++ 프로그램에서 .NET CLR을 호스팅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여러 가지 상황을 만나게 되는데요. 그 중에 한 예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

일단, 정상적으로 Default Domain까지 받아오고 이후에 어셈블리를 로드시킨 후 그 안에 정의된 타입을 정상적으로 생성을 시켰습니다.
그다음은 당연히 그 타입의 인터페이스 포인터로 메서드를 호출하게 되겠지요.

그런데, 이게 웬일입니까?
분명히 메서드 호출은 되었는데, 예외도 발생하지 않았고, ... 아무런 동작 없이 메서드에서 리턴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 unmanaged C++
MessageBox( "LoadTarget before" );
m_pHostLib->LoadTarget();
MessageBox( "LoadTarget after" );

MessageBox( "TestMethod before" );
m_pHostLib->TestMethod();
MessageBox( "TestMethod after" );

==== managed C#
public void LoadTarget()
{
   MessageBox.Show( "LoadTarget Called" );
   // 여러 가지 작업
}

public void TestMethod()
{
   MessageBox.Show( "TestMethod Called" );
}

코드는 대략 위와 같았는데요. 메시지 박스가 뜨는 것을 보면,

LoadTarget before
LoadTarget after
TestMethod before
TestMethod Called
TestMethod after

와 같은 순으로 팝업이 됩니다. 즉, TestMethod는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었고, LoadTarget은 아무 한 일 없이 바로 리턴을 한 것입니다. 그렇다고 C++ 코드에서 예외를 발생한 것도 아니고요. 예외조차도 그냥 먹어버린 거죠. 도대체... 뭐가 문제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자, 이제 문제 해결을 위해 접근을 달리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C#의 메서드를 IDispatch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접근해 보자는 것이었죠.
그래서, 다음과 같이 호출을 변경시켰습니다.

DISPID dispID;
OLECHAR FAR* szMember = L"LoadTarget";

HRESULT hr = obj->GetIDsOfNames( IID_NULL, &szMember, 1, LOCALE_USER_DEFAULT, &dispID );
hr = obj->Invoke( dispID, IID_NULL, LOCALE_USER_DEFAULT,
    DISPATCH_METHOD, NULL, NULL, NULL, NULL );
if ( hr == S_OK )
{
    ::MessageBox( NULL, "LoadTarget", NULL, MB_OK );
} else {
      /// Win32 API FormatMessage를 이용하여 hr 값에 따른 오류 텍스트를 출력.
      // 물론, VS.NET 2003 도구 메뉴에서 제공되는 "오류 조회" 기능을 이용해도 된다.
}

물론, 운이 좋게도 hr != S_OK였고, 그래서 해당 hr 값에 따른 오류 텍스트를 반환 받았는데. ^^;
"예외가 발생하였습니다"
라는 문자열이 반환되더군요.

^^; 절망적이었습니다. 아니... 누군 지금 예외가 발생한지 몰라서 그러고 있었나!

음... 잠시 마음을 가다듬고... EXCEPINFO 인자를 넣어보았습니다.

EXCEPINFO excepInfo;
를 추가하고, 메서드 호출을 다음과 같이 변경했습니다.
HRESULT hr = obj->GetIDsOfNames( IID_NULL, &szMember, 1, LOCALE_USER_DEFAULT, &dispID );
hr = obj->Invoke( dispID, IID_NULL, LOCALE_USER_DEFAULT,
    DISPATCH_METHOD, NULL, NULL, &exepInfo, NULL );
if ( hr == S_OK )
{
    ::MessageBox( NULL, "LoadTarget", NULL, MB_OK );
} else {
    MessageBox( NULL, excepInfo.bstrDescription, NULL, MB_OK );
}

휴... 이제서야 제대로 된 오류 메시지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무슨무슨 어셈블리를 발견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었지요. 실제로 LoadTarget 메서드에서는 어떤 어셈블리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사용을 했는 데, 그 부분이 문제가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해당 어셈블리를 복사하고 다시 호출을 했더니 정상적으로 호출이 되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알 수 있는 것이... CLR의 JIT 컴파일러가 메서드 단위로 컴파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지요. LoadTarget은 문제가 발생하고, TestMethod는 정상적으로 호출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 메서드 호출에 앞서 TestMethod를 JIT 컴파일하는 중에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행이 되었으나, LoadTarget의 경우에는 사용해야 하는 외부 어셈블리를 찾을 수 없어서 JIT 컴파일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이었습니다.

문제는,,, 그 오류를 CLR이 먹었다는 것인데요. 차라리 그 부분에서 CLR 오류 메시지 박스를 C# 프로그램에서처럼 띄워 주었더라면 좀 더 쉽게 해결이 가능했었는데 말이죠.

암튼... ^^; 험난한 디버깅이었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5정성태9/4/201134455Java: 1. 닷넷 개발자가 처음 실습해 본 서블릿
1114정성태9/4/201139048Math: 2. "Zhang Suen 알고리즘(세선화, Thinning/Skeletonization)"의 C# 버전 [4]파일 다운로드1
1113정성태9/2/201138627개발 환경 구성: 129. Hyper-V에 CentOS 설치하기
1112정성태9/2/201155188Linux: 1. 리눅스 <-> 윈도우 원격 접속 프로그램 사용 [3]
1111정성태8/29/201129034제니퍼 .NET: 16. 적용 사례 (1) - DB Connection Pooling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성능 저하를 알려주다. [1]
1110정성태8/26/201131006오류 유형: 136. RDP 접속이 불연속적으로 끊기는 문제
1109정성태8/26/201133805오류 유형: 135. 어느 순간 Active Directory 접속이 안되는 문제
1108정성태8/22/201133875오류 유형: 134. OLE/COM Object Viewer - DllRegisterServer in IVIEWERS.DLL failed. [1]
1107정성태8/21/201133274디버깅 기술: 43. Windows Form의 Load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예외가 Visual Studio에서 잡히지 않는 문제
1106정성태8/20/201131973웹: 26. FailedRequestTracing 설정으로 인한 iisexpress.exe 비정상 종료 문제
1105정성태8/19/201131207.NET Framework: 238. Web Site Model 프로젝트에서 Trace.WriteLine 출력이 dbgview.exe에서 확인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04정성태8/19/201131876웹: 25. WebDev보다 IIS Express가 더 나은 점 - 다중 가상 디렉터리 매핑 [1]
1103정성태8/19/201137997오류 유형: 133. WCF 포트 바인딩 실패 오류 - TCP error(10013) [1]
1102정성태8/19/201134368Math: 1. 방탈출3 - Room 10의 '중복가능한 조합' 문제를 위한 C# 프로그래밍 [2]파일 다운로드1
1101정성태8/19/201134436.NET Framework: 237. WCF AJAX 서비스와 JavaScript 간의 DateTime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100정성태8/17/201133446.NET Framework: 236. SqlDbType - DateTime, DateTime2, DateTimeOffset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099정성태8/15/201132086오류 유형: 132. 어느 순간 갑자기 접속이 안 되는 TFS 서버
1098정성태8/15/201154455웹: 24. 네이버는 어떻게 로그인 처리를 할까요? [2]
1097정성태8/15/201125384.NET Framework: 235. 메서드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으로 클래스를 찾아내는 방법
1096정성태8/15/201129499디버깅 기술: 42. Watson Bucket 정보를 이용한 CLR 응용 프로그램 예외 분석 - (2)
1095정성태8/14/201129928디버깅 기술: 41. Windbg - 비정상 종료된 닷넷 프로그램의 StackTrace에서 보이는 offset 값 의미
1094정성태8/14/201134578오류 유형: 131. Fiddler가 강제 종료된 경우, 웹 사이트 방문이 안되는 현상
1093정성태7/27/201127938오류 유형: 130. Unable to connect to the Microsoft Visual Studio Remote Debugging Monitor ... Access is denied.
1092정성태7/22/201130668Team Foundation Server: 46. 코드 이외의 파일에 대해 소스 제어에서 제외시키는 방법
1091정성태7/21/201129640개발 환경 구성: 128. WP7 Emulator 실행 시 audiodg.exe의 CPU 소모율 증가 [2]
1089정성태7/18/201135294.NET Framework: 234. 왜? Button 컨트롤에는 MouseDown/MouseUp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까요?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