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DDK: 5. NT Legacy 드라이버: 프로세스(EXE) 생성/제거 모니터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91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DDK: 3. NT Legacy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C#에서 Port 입출력
; https://www.sysnet.pe.kr/2/0/932

DDK: 5. NT Legacy 드라이버: 프로세스(EXE) 생성/제거 모니터링
; https://www.sysnet.pe.kr/2/0/937

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2904

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103

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12104




NT Legacy 드라이버: 프로세스(EXE) 생성/제거 모니터링

프로세스 생성/소멸에 대한 알림은 사용자 모드 프로그램에서도 쉽게 구현이 가능합니다. 일례로 WMI에서도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폴링 이벤트를 걸어둘 수도 있고, 그 외에 DLL 후킹을 하거나, Appinit_Dlls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역시 프로그램을 해봐야 좀 실력이 늘기 때문에, 실습 겸 해서 이에 대한 기능을 드라이버 단에서 구현을 해보았습니다. 다행히도 힌트는 다음의 책에서 얻을 수 있었는데요.

Windows 구조와 원리: OS를 관통하는 프로그래밍의 원리 
정덕영 저 | 한빛미디어 
; http://www.yes24.com/24/goods/1956142

187페이지에서 알려준 "PsSetCreateProcessNotifyRoutine"을 이용해서 프로세스(EXE) 생성 또는 제거 시마다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커널 드라이버를 제작해 보았습니다.

지난번, Port IO 예제보다 나름 한 단계 더 나아간 예제인데요. ^^ 다음과 같은 코드들이 더 추가되었습니다.

  • CreateFile 시마다 컨텍스트 정보를 보관할 수 있도록 FileObject 사용
  • LIST_ENTRY / ExAllocatePool / ExFreePool를 이용하여 내부 자료 저장
  • ObReferenceObjectByHandle / ObDereferenceObject 및 KeSetEvent를 이용하여 사용자 모드 프로그램에 이벤트 전달

그 외에, 프로젝트 빌드 스크립트를 변경했습니다. 실제 예제를 작성하다 보니, 지난번에 작성했던 빌드 스크립트들이 터무니 없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그래서, 이전에 써 놓았던 아래의 글을,

Device Driver 응용 프로그램의 빌드 스크립트
; https://www.sysnet.pe.kr/2/0/921

보완하는 내용을 실었습니다.

Device Driver 응용 프로그램의 빌드 스크립트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936

충분히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




코드를 잠깐 살펴보면, DriverEntry에서는 PsSetCreateProcessNotifyRoutine 호출과 FileObject 컨텍스트 정보를 연결해 두기 위한 LIST_ENTRY를 초기화합니다.

NTSTATUS DriverEntry(PDRIVER_OBJECT pDriverObject, PUNICODE_STRING pRegistryPath)
{
    PsSetCreateProcessNotifyRoutine(ProcessCreateCallback, FALSE); // IRQL: PASSIVE_LEVEL
    InitializeListHead(&g_processListHead); // IRQL: Any level

    ... [생략: 나머지 코드는 이전의 Port IO 예제와 유사]...

    return STATUS_SUCCESS;
}

DriverUnload에서는 당연히 이때 설정한 정보를 해제하고,

VOID DriverUnload( PDRIVER_OBJECT pDriverObject )
{
    PsSetCreateProcessNotifyRoutine(ProcessCreateCallback, TRUE);
    ... [생략]...
}

IRP_MJ_CREATE Dispatch 메서드에서는 FileObject 컨텍스트 정보에 KEVENT 개체와 생성/소멸되는 프로세스 정보를 연결 리스트로 보관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할당하고 초기화합니다.

NTSTATUS MajorCreate(IN PDEVICE_OBJECT pDeviceObject, IN PIRP pIrp)
{
    PIO_STACK_LOCATION pStack = ::IoGetCurrentIrpStackLocation(pIrp); // IRQL: Any level
    PFILE_OBJECT pFileObject = pStack->FileObject;

    pFileObject->FsContext = ExAllocatePool(NonPagedPool, sizeof(ProcessListEntry)); // IRQL: <= DISPATCH_LEVEL
    ProcessListEntry *pProcessEntry = (ProcessListEntry *)(pFileObject->FsContext);
    pProcessEntry->pEvent = NULL;
    ::InitializeListHead(&(pProcessEntry->listHead));

    InsertHeadList(&g_processListHead, pProcessEntry);  // IRQL: Any level

    ... [생략]...
    return STATUS_SUCCESS;
}

쌍을 이루는 IRP_MJ_CLOSE Dispatch 메서드에서는 Create에서 생성했던 문맥 정보와, 그 안에 보관되어 있던 프로세스 생성/소멸 정보에 할당된 메모리를 해제합니다.

NTSTATUS MajorClose(IN PDEVICE_OBJECT pDeviceObject, IN PIRP pIrp)
{
    PIO_STACK_LOCATION pStack = ::IoGetCurrentIrpStackLocation(pIrp);
    PFILE_OBJECT pFileObject = pStack->FileObject;

    ProcessListEntry *pProcessEntry = (ProcessListEntry *)(pFileObject->FsContext);

    if (pProcessEntry->pEvent != NULL) // 파일 문맥 정보에 담긴 이벤트 개체에 대한 참조 횟수를 감소
    {
        ObDereferenceObject(pProcessEntry->pEvent);  // IRQL: <= DISPATCH_LEVEL
        pProcessEntry->pEvent = NULL;
    }

    // 응용 프로그램이 가져가지 못해 보관된 프로세스 생성/소멸 정보를 삭제
    while (!IsListEmpty(&pProcessEntry->listHead))  // IRQL: Any level
    {
        ProcessItemListEntry *pItem = (ProcessItemListEntry *)::RemoveHeadList(&pProcessEntry->listHead);
        ExFreePool(pItem);  // IRQL: <= DISPATCH_LEVEL
    }

    RemoveEntryList(pProcessEntry);  // IRQL: Any level
    ExFreePool(pProcessEntry);

    ... [생략]...
    return ntStatus;
}

이제 프로세스 생성/소멸 시마다 불려지는 콜백 메서드의 구현입니다.

VOID ProcessCreateCallback(IN HANDLE parentId, IN HANDLE processId, IN BOOLEAN Create)
{
    PEPROCESS pParentProcess, pChildProcess;

    PsLookupProcessByProcessId(parentId, &pParentProcess);  // IRQL: <= APC_LEVEL
    PsLookupProcessByProcessId(processId, &pChildProcess);

    PLIST_ENTRY pListPtr, pListHead;
    pListPtr = pListHead = &g_processListHead;

    // CreateFile.FileObject마다 새롭게 전달된 프로세스 정보를 넣어둔다.
    while (pListPtr->Flink != pListHead)
    {
        pListPtr = pListPtr->Flink;

        int entrySize = sizeof(ProcessItemListEntry);
        ProcessItemListEntry *pItem = (ProcessItemListEntry *)ExAllocatePool(NonPagedPool, entrySize);
        ...[생략: 프로세스 정보 구조체의 내용을 채운다.]...
        RtlStringCbCopyA(pItem->ChildName, ..., pChildProcess + PSOFFSET_IMAGEFILENAME); // IRQL: PASSIVE_LEVEL

        ProcessListEntry *pEntry = (ProcessListEntry *)pListPtr;
        ::InsertHeadList(&pEntry->listHead, pItem);
    }

    // 이벤트 Set
    pListPtr = pListHead = &g_processListHead;
    while (pListPtr->Flink != pListHead)
    {
        pListPtr = pListPtr->Flink;

        ProcessListEntry *pEntry = (ProcessListEntry *)pListPtr;
        ::KeSetEvent(pEntry->pEvent, 0, FALSE);  // Wait == FALSE, IRQL <= DISPATCH_LEVEL
    }
}

IRP_MJ_DEVICE_CONTROL Dispatch 메서드에서는 IOCTL_SET_EVENT_HANDLE, IOCTL_GET_PROCESS_ENTRY 2가지의 명령어를 제공합니다. IOCTL_SET_EVENT_HANDLE에서는 사용자 모드의 Win32 EVENT 개체를 전달받아서 ObReferenceObjectByHandle 함수를 이용하여 커널모드로 변환하여, 이후에 ProcessCreateCallback 메서드가 불릴 때마다 사용자 모드 응용 프로그램에 이 사실을 알리기 위해 보관해 둡니다.

case IOCTL_SET_EVENT_HANDLE:
    {
        ProcessListEntry *pProcessEntry = (ProcessListEntry *)irpSp->FileObject->FsContext;

        HANDLE userEventHandle = *(HANDLE *)pIrp->AssociatedIrp.SystemBuffer;
        ntStatus = ObReferenceObjectByHandle(userEventHandle, EVENT_ALL_ACCESS, *ExEventObjectType, UserMode,
            (PVOID *)&(pProcessEntry->pEvent), NULL);  // IRQL: PASSIVE_LEVEL
    }
    pIrp->IoStatus.Information = 0;
    ntStatus = STATUS_SUCCESS;
    break;

IRP_MJ_DEVICE_CONTROL Dispatch 메서드 자체는 IRQL <= DISPATCH_LEVEL에서 호출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당연히 IOCTL_SET_EVENT_HANDLE 명령어가 사용자 모드에서 전달하는 것이므로, IRQL == PASSIVE_LEVEL에서만 호출 가능한 ObReferenceObjectByHandle 함수를 사용했습니다.

위와 같이 사용자 모드에서 Win32 EVENT 개체를 받아서, 이후에 프로세스 생성/소멸 시점이 되면 이벤트 개체를 Signal 상태로 만들어 사용자 모드의 대기 상태를 해제합니다.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은 다시 IOCTL_GET_PROCESS_ENTRY 명령어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생성/소멸 정보를 한 번에 하나씩 가져갈 수 있습니다.

case IOCTL_GET_PROCESS_ENTRY:
    {
        // 한 번 호출할 때마다 하나의 목록을 가져간다.
        ProcessListEntry *pProcessEntry = (ProcessListEntry *)irpSp->FileObject->FsContext;
        LIST_ENTRY *pList = (LIST_ENTRY *)&pProcessEntry->listHead;

        BOOLEAN isEmpty = IsListEmpty(pList);
        int entrySize = sizeof(ProcessItemListEntry) - sizeof(LIST_ENTRY);

        if (isEmpty == FALSE)
        {
            // 버퍼의 크기가 entrySize 크기보다 커야 함.
            if (outBufLength < entrySize)
            {
                ntStatus = STATUS_BUFFER_TOO_SMALL;
                pIrp->IoStatus.Information = 0;
            }
            else
            {
                ProcessItemListEntry *pItem = (ProcessItemListEntry *)::RemoveTailList(pList);  // IRQL: Any level 
                memcpy(ioBuffer, &pItem->cbSize, entrySize);
                pIrp->IoStatus.Information = entrySize;
                ::ExFreePool(pItem);
            }
        }
    }

개인적으로, 위에서 궁금한 점이 하나 있는데요. 보통 버퍼 용량이 모자라면 반환되는 ntStatus 값을 STATUS_BUFFER_TOO_SMALL로 설정하는 경우 Win32 응용 프로그램에서 GetLastError() 함수의 반환값으로 122(The data area passed to a system call is too small.) 오류 코드가 담깁니다. 그런데, 윈도우즈에서 제공되는 메서드들은 그런 경우에 out 파라미터로 필요한 버퍼 용량을 넘겨주게 되는데, 위에서 그 처리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pIrp->IoStatus.Information에 필요한 버퍼 바이트 용량을 채워서 반환해도 Win32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여전히 0 값만이 나오는데요... 음... 혹시 방법을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자, 이렇게 해서 커널 드라이버 구현은 완료되었고, C#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Port I/O 예제에서 했던 것처럼 손쉽게 Device Driver와 통신을 해서 프로세스 생성/소멸 정보를 받아보게 됩니다.

아래는 실제로 실행된 화면입니다.

process_event_ddk_sample_1.png

보시는 것처럼 탐색기에서 메모장을 실행한 후, 종료한 것입니다.




참고로, 이 예제에서는 어떠한 동기화 개체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공부가 목적이었기 때문에 너무 자세히 구현하려니 시간이 너무 소모되어서 그냥 동기화는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테스트는 Windows 2003 x86, Windows 2008 R2에서만 해봤는데 일단 잠시 동안의 테스트였지만 블루 스크린 없이 잘 실행이 되었습니다. ^^v

첨부된 파일은 C# 사용자 프로그램과 VC++ 드라이버 소스입니다. 혹시나 블루스크린이 뜰 만한 여지가 있는 곳을 발견하시면 지적을 부탁드립니다.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3-30 01시45분
유저 레벨과의 통신을 이벤트가 아닌 APC로 하는 방법을 아래의 글에서 소개해 놓았네요. ^^ 언제 시간 나면 한번 바꿔봐야겠습니다.

APC를 통해 커널레벨 코드에서 유저레벨 코드로 콜백 흉내내기
; http://blog.naver.com/gloryo/110105853413
; https://web.archive.org/web/20230404004205/https://blog.naver.com/gloryo/110105853413
정성태
2015-04-17 01시07분
정성태
2023-04-04 09시34분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82정성태12/4/201721855오류 유형: 436.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Connection Timeout Expired 예외 발생 시 "[Pre-Login] initialization=48; handshake=1944;" 값의 의미
11381정성태11/30/201718235.NET Framework: 702.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380정성태11/30/201718285디버깅 기술: 109. windbg - (x64에서의 인자 값 추적을 이용한) Thread.Abort 시 대상이 되는 스레드를 식별하는 방법
11379정성태11/30/201719014오류 유형: 435. System.Web.HttpException - Session state has created a session id, but cannot save it because the response was already flushed by the application.
11378정성태11/29/201720482.NET Framework: 701.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377정성태11/29/201719750.NET Framework: 700. CommonOpenFileDialog 사용 시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376정성태11/28/201724095VS.NET IDE: 123. Visual Studio 편집기의 \r\n (crlf) 개행을 \n으로 폴더 단위로 설정하는 방법
11375정성태11/28/201718919오류 유형: 434. Visual Studio로 ASP.NET 디버깅 중 System.Web.HttpException - Could not load type 오류
11374정성태11/27/201723996사물인터넷: 14.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1]
11373정성태11/27/201722990오류 유형: 433.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11372정성태11/25/201726035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19666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19549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1673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27257.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27322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18978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1232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3123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3079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19632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2416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2223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1696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26466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26926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