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엊그제, VS.NET 2005 Beta1을 걷어내고, 다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으로 설치를 했습니다.

Beta1에 비해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라면.
디버깅이나 좀 쓰다 보면 텍스트들이 사라지는 현상들이 없어졌다는 것입니다. 골치 아픈 화면 출력 부분들이 해결이 되어서 반가웠는데요.

그런데... 반면, ^^; 상당히 잦은 다운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떨지 궁금하네요. 저만 그런 것인지... 아니면.... 다들 그런 것인지.

저 같은 경우, 문자열 검색 상자 띄울 때나, 인텔리 센스 등이 막 동작하려는 시점에 다운이 많이 됩니다. 공통적인 것은 그때마다 작업관리자에서 확인해 보면, DW20.exe 프로세스의 CPU 활용율이 100%를 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약 10초 정도 100%를 치다가 VS.NET 2005 IDE가 다운되면서 오류 보고를 하고는 재시작 메뉴를 띄우게 됩니다.

혹시나 해서, ^^
일단, DW20.exe가 실행되지 못하도록, DW202.exe로 이름 변경후에 VS.NET 2005 IDE를 구동시켰는데, 정상적으로 동작을 합니다. 이젠 거의 다운되는 현상도 사라졌고요. 딱히, 자신이 하는 일에 지장만 없다면 DW20.exe를 실행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경로는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DW\DW20.EXE"입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5-04-01 01시27분
[벼리] 구글 Applicaton Log 작성하는 어플같던데염 :)
[guest]
2005-04-01 01시35분
음... 구글 app log와 VS.NET 2005와 무슨 상관이 있는 건가요? 아시는지...? 벼리님의 답변에 이해가 안되는 것이 하나 있는데, 왜 MS가 구글 관련 프로그램을 Microsoft Shared 폴더에 넣어서 설치해 주었을까요?
techsharer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27정성태9/22/202218194Windows: 210. WSL에 systemd 도입
13126정성태9/15/202217995.NET Framework: 2049.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13125정성태9/14/202218285.NET Framework: 2048.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auto-default structs)
13124정성태9/13/202218994.NET Framework: 2047. Golang, Python, C#에서의 CRC32 사용
13123정성태9/8/202218684.NET Framework: 2046.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13122정성태8/26/202219582.NET Framework: 2045.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13121정성태8/23/202213908C/C++: 157. Golang - 구조체의 slice 필드를 Reflection을 이용해 변경하는 방법
13120정성태8/19/202219370Windows: 209. Windows NT Service에서 UI를 다루는 방법 [3]
13119정성태8/18/202218719.NET Framework: 2044.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참조 DLL이 보관된 공통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방법
13118정성태8/18/202214422.NET Framework: 2043. WPF Color의 기본 색 영역은 (sRGB가 아닌) scRGB [2]
13117정성태8/17/202219495.NET Framework: 2042.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File-local types)파일 다운로드1
13116정성태8/4/202220095.NET Framework: 2041. C# - Socket.Close 시 Socket.Receive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115정성태8/3/202221042.NET Framework: 2040. C# - ValueTask와 Task의 성능 비교 [1]파일 다운로드1
13114정성태8/2/202220409.NET Framework: 2039. C# - Task와 비교해 본 ValueTask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113정성태7/31/202220327.NET Framework: 2038.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13112정성태7/30/202221334.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1]파일 다운로드1
13111정성태7/29/202220611.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파일 다운로드1
13110정성태7/27/202219077.NET Framework: 2035.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파일 다운로드1
13109정성태7/27/202221650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1]
13108정성태7/26/202218552Linux: 53. container에 실행 중인 Golang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는 방법 [1]
13107정성태7/25/202217386Linux: 52. Debian/Ubuntu 계열의 docker container에서 자주 설치하게 되는 명령어
13106정성태7/24/202215825오류 유형: 819. 닷넷 6 프로젝트의 "Conditional compilation symbols" 기본값 오류
13105정성태7/23/202220021.NET Framework: 2034. .NET Core/5+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13104정성태7/23/202223843Linux: 51. WSL - init에서 systemd로 전환하는 방법
13103정성태7/22/202219081오류 유형: 818.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
13102정성태7/19/202218233.NET Framework: 2033. .NET Core/5+에서는 구할 수 없는 HttpRuntime.AppDomainAppId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