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41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C++/CLI 소스 코드를 빌드하는 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1>------ Build started: Project: ClassLib, Configuration: Release x64 ------
1>  TestHash.cpp
1>d:\...[생략]...\TestHash.h(41): error C2353: exception specification is not allowed
1>d:\...[생략]...\TestHash.h(40): error C4368: cannot define 'test2' as a member of managed 'ClassLib::TestHash':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2>------ Build started: Project: ConsoleApplication1, Configuration: Release x64 ------
2>  ConsoleApplication1 -> D:\...[생략]...\ConsoleApplication1.exe
========== Build: 1 succeeded, 1 failed, 0 up-to-date, 0 skipped ==========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해결책은 다음을 참고하시고.

Some Notes about Mixed Types
; http://blogs.msdn.com/b/branbray/archive/2005/07/20/441099.aspx

간단하게 현재 상황을 풀어보면,
여러분들의 관리 클래스(ref class) 내에서 다음과 같이 C++ 고유의(unmanaged) 타입을 정의했을 때 발생합니다.

#include "CMyCppType.h"

namespace ClassLib 
{
    public ref class TestClass
    {
    private:
        CMyCppType test;
    };
}

해결 방법은, C++ 타입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포인터 참조로 변경해야 합니다. (또는, C++ 타입을 관리 타입으로 변경하거나.)

#include "CMyCppType.h"

namespace ClassLib 
{
    public ref class TestClass
    {
        public:
            TestClass()
            {
                test = new CMyCppType();
            }

            ~TestClass()
            {
                delete test;
            }

        private:
            CMyCppType *test;
    };
}

오랜만에, C++/CLI를 만졌더니 하는 것마다 오류가 발생하는군요.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2정성태10/30/201128653.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1정성태10/29/201125283.NET Framework: 259. Type.GetMethod - System.Reflection.AmbiguousMatch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159정성태10/28/201129065.NET Framework: 258. Roslyn 맛보기 - SyntaxTree 조작 [2]
1158정성태10/24/201127872.NET Framework: 257. Roslyn 맛보기 - Roslyn Symbol / Binding API파일 다운로드1
1157정성태10/23/201132566.NET Framework: 256. Roslyn 맛보기 - Syntax Analysis (Roslyn Syntax API) [2]
1156정성태10/23/201131289.NET Framework: 255. Roslyn 맛보기 - Roslyn Services APIs를 이용한 Code Issue 및 Code Action 기능 소개 [1]
1155정성태10/22/201129118.NET Framework: 254.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2)
1154정성태10/22/201135915.NET Framework: 253.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1)
1153정성태10/21/201145092.NET Framework: 252. Roslyn 맛보기 - C# 소스 코드를 스크립트처럼 다루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52정성태10/20/201126108.NET Framework: 251. string.GetHashCode는 hash 값을 cache 할까?
1151정성태10/18/201125410Java: 13. 자바도 64비트에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150정성태10/18/201132786.NET Framework: 250. WPF - ComboBox의 SelectionChagned 이벤트파일 다운로드1
1149정성태10/16/201128322.NET Framework: 249. WPF - d:DesignHeight 값을 구할 수 있을까?
1148정성태10/14/201133893Java: 12. 자바에서 LINQ 사용? [7]
1147정성태10/13/201130113.NET Framework: 248. 닷넷에서 지원되는 문자열 인코딩 이름 목록
1146정성태10/12/201136019.NET Framework: 247. LINQ에서의 Max 기능 구현 [10]파일 다운로드1
1144정성태10/10/201131742.NET Framework: 246. WCF - 서버 측에서의 유효한 Timeout 설정파일 다운로드1
1143정성태10/9/201136993.NET Framework: 245. ASP.NET 서버 측 코드에서 페이스북 계정 연동하는 방법
1142정성태10/8/201137716.NET Framework: 244. 윈도우 폼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메모리 leak이 발생할까? [2]파일 다운로드1
1141정성태10/7/201136341.NET Framework: 243. DataTable에 대해서 Dispose 메서드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까? [4]파일 다운로드1
1140정성태10/6/201129577.NET Framework: 242. 닷넷 개발자 입장에서 이해해 보는 자바의 서블릿, JSP
1138정성태10/1/201148740Java: 11. 웹 로직에서 MS-SQL 서버 연결 [2]
1137정성태9/30/201132634Java: 10. 닷넷 개발자가 설치해 본 Oracle WebLogic Server - 설치 및 기본 도메인 구성
1136정성태9/29/201128378개발 환경 구성: 131. Visual Studio - ASP.NET의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매크로 함수 [2]파일 다운로드1
1135정성태9/29/201125505오류 유형: 138. TF10216: Team Foundation services are currently unavailable
1134정성태9/27/201133115.NET Framework: 241. C# 5.0에 새로 추가된 Caller Info 특성 [5]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