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98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C++/CLI 소스 코드를 빌드하는 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1>------ Build started: Project: ClassLib, Configuration: Release x64 ------
1>  TestHash.cpp
1>d:\...[생략]...\TestHash.h(41): error C2353: exception specification is not allowed
1>d:\...[생략]...\TestHash.h(40): error C4368: cannot define 'test2' as a member of managed 'ClassLib::TestHash':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2>------ Build started: Project: ConsoleApplication1, Configuration: Release x64 ------
2>  ConsoleApplication1 -> D:\...[생략]...\ConsoleApplication1.exe
========== Build: 1 succeeded, 1 failed, 0 up-to-date, 0 skipped ==========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해결책은 다음을 참고하시고.

Some Notes about Mixed Types
; http://blogs.msdn.com/b/branbray/archive/2005/07/20/441099.aspx

간단하게 현재 상황을 풀어보면,
여러분들의 관리 클래스(ref class) 내에서 다음과 같이 C++ 고유의(unmanaged) 타입을 정의했을 때 발생합니다.

#include "CMyCppType.h"

namespace ClassLib 
{
    public ref class TestClass
    {
    private:
        CMyCppType test;
    };
}

해결 방법은, C++ 타입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포인터 참조로 변경해야 합니다. (또는, C++ 타입을 관리 타입으로 변경하거나.)

#include "CMyCppType.h"

namespace ClassLib 
{
    public ref class TestClass
    {
        public:
            TestClass()
            {
                test = new CMyCppType();
            }

            ~TestClass()
            {
                delete test;
            }

        private:
            CMyCppType *test;
    };
}

오랜만에, C++/CLI를 만졌더니 하는 것마다 오류가 발생하는군요. ^^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46정성태3/3/20218729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12545정성태3/2/202111492.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11708.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10048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12384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9615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9927.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9858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10261.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11294.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10251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9418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9903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9615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10120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9116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13357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10336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9743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9918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7753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7464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8612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8669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10214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10146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