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답변] 클릭원스 -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2E4)

이 글은, 다음 글에서 댓글로 작성한 "정중희" 님의 상황에 대한 해결책입니다.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50

(요청하신 대로, 정중희 님 댓글의 IP 주소는 "..."로 처리를 했습니다.
그런데, 오히려 ^^ IP 주소를 노출시켜주셔서 문제를 찾을 수 있었군요.)

제가 한번 그 URL로 방문을 해보았는데, 실제로 오류가 나더군요. 클릭원스 모듈을 다운로드한 폴더에 가보니 다음과 같이 모듈이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clickonce_elevated_problem_1.png

뭔가... 좀 이상하지 않나요? ^^
위에서 EXE 파일에 '방패' 아이콘이 추가되어 있는데, 즉 권한 상승을 위한 설정이 강제로 되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재미있는 상황이군요. ^^

배경 설명을 먼저 해보면.

Vista가 나오면서, UAC 문제가 골치아프게 된 곳이 바로 "setup.exe" 파일이었습니다. 대부분의 setup 프로그램들이 관리자 권한을 필요로 하는데 사용자로 하여금 명시적으로 "run as an administrator" 메뉴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너무 현실성이 없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Vista(물론, Windows Server 2008도 포함해서.)에서는 대상 EXE 파일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UAC 권한 상승창을 자동으로 띄우도록 했습니다.

  • x86 응용 프로그램이고,
  • 실행 프로그램 이름에 "Setup", "install", "update", "patch"... 등등의 문자열이 포함되고,
  • manifest 파일에 requestedExecutionLevel 요소를 명시적으로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위의 3박자가 맞으면, Vista 운영체제는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UAC 권한 상승창을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눈치채셨겠지만, 이러한 조건들이 "정중희" 님의 상황과 일치하고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05의 경우, Vista 이전에 나온 개발 도구라서 app.manifest에서 requestedExecutionLevel을 명시적으로 포함시켜 주지 않고 있으며, 하필 "정중희" 님이 택한 실행 파일 이름이 "SetupSecurity"이고, 대상 플랫폼이 x86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위의 조건에 더해서, "클릭원스"는 UAC 권한 상승을 발생하는 exe를 무조건 실행하지 못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중희" 님의 상황에서는 Process.Start 코드를 통한 추가 코드 여부에 상관없이 그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대상 플랫폼이야 사용자 운영체제에 의존적이니 바꿀 수 없지만, 실행 파일명에서 "Setup" 글자를 빼거나 "manifest" 파일에 명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requestedExecutionLevel을 포함해서 배포해주면 됩니다.

==== app.manifest ====
<?xml version="1.0" encoding="utf-8"?>
<asmv1:assembly manifestVersion="1.0"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xmlns:asmv1="urn:schemas-microsoft-com:asm.v1" xmlns:asmv2="urn:schemas-microsoft-com:asm.v2"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trustInfo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2">
    <security>

      <requestedPrivileges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3">
        <requestedExecutionLevel level="asInvoker" uiAccess="false" />
      </requestedPrivileges>      
      
      <applicationRequestMinimum>
        <defaultAssemblyRequest permissionSetReference="Custom" />
        <PermissionSet class="System.Security.PermissionSet" version="1" Unrestricted="true" ID="Custom" SameSite="site" />
      </applicationRequestMinimum>
    </security>
  </trustInfo>
</asmv1:assembly>

아마도, Visual Studio 2008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셨다면,,, 이 정도 시간 낭비는 없으셨을 텐데... ^^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0-11-30 12시26분
[정중희] 친절하게 "정중희" 란 저의 이름을 여러번이나 호명하여 주셔서 영광입니다.
일목요연한 설명이 하나를 배우면 열을 배우고 싶은 열정을 주시네요.
"정성태"님의 도움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guest]
2010-12-03 02시31분
[저는 누구일까요?] 햐~~~ 짝짝짝
[guest]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06정성태8/24/20217558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12805정성태8/24/20218814.NET Framework: 11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04정성태8/24/20219515.NET Framework: 1103.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12803정성태8/23/20219273개발 환경 구성: 600. pip cache 디렉터리 옮기는 방법
12802정성태8/23/20219515.NET Framework: 1102.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1]
12801정성태8/23/20218992.NET Framework: 1101.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파일 다운로드1
12800정성태8/22/20219171개발 환경 구성: 599.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12799정성태8/22/20219280.NET Framework: 1100.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파일 다운로드1
12798정성태8/21/202110678개발 환경 구성: 598. PyCharm - 원격 프로세스를 디버그하는 방법
12797정성태8/21/20218324Windows: 197. TCP의 MSS(Maximum Segment Size) 크기는 고정된 것일까요?
12796정성태8/21/20218996.NET Framework: 1099.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795정성태8/20/20219623.NET Framework: 1098. .NET 6에 포함된 신규 BCL API - 스레드 관련
12794정성태8/20/20219058스크립트: 23. 파이썬 - W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및 PyCharm에서의 디버깅 방법 [1]
12793정성태8/20/20219786.NET Framework: 1097.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파일 다운로드1
12792정성태8/19/202110249.NET Framework: 1096.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파일 다운로드1
12791정성태8/19/20218478.NET Framework: 1095. C# COM 개체를 C++에서 사용하는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12790정성태8/18/202110872.NET Framework: 1094.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파일 다운로드1
12789정성태8/18/20219913개발 환경 구성: 597.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12788정성태8/17/20218321.NET Framework: 1093. C# - 인터페이스의 메서드가 다형성을 제공할까요? (virtual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87정성태8/17/20218596.NET Framework: 1092. (책 내용 수정) "4.5.1.4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와 다형성"
12786정성태8/16/202110111.NET Framework: 1091. C# - Python range 함수 구현 (2) INumber<T>를 이용한 개선 [1]파일 다운로드1
12785정성태8/16/20218474.NET Framework: 1090. .NET 6 Preview 7에 추가된 숫자 형식에 대한 제네릭 연산 지원 [1]파일 다운로드1
12784정성태8/15/20217827오류 유형: 757. 구글 메일 - 아웃룩에서 메일 전송 시 Sending' reported error (0x800CCC0F, 0x800CCC92)
12783정성태8/15/20217306.NET Framework: 1089. C# - Indexer에 Range 및 람다 식을 이용한 필터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2782정성태8/14/20217107오류 유형: 756. 파이썬 - 윈도우 환경에서 pytagcloud의 한글 출력 방법
12781정성태8/14/20219362오류 유형: 755. 파이썬 - konlpy 사용 시 JVM과 jpype1 관련 오류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