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1. batch 파일에서 실행한 exe에서 batch 실행 문맥의 환경 변수 설정
; https://www.sysnet.pe.kr/2/0/238

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 https://www.sysnet.pe.kr/2/0/958

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 https://www.sysnet.pe.kr/2/0/989

개발 환경 구성: 144. 윈도우에서도 유닉스처럼 명령행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5

개발 환경 구성: 166. DOS - ping 결과에서 평균 응답 시간값 추출하기
; https://www.sysnet.pe.kr/2/0/1340

개발 환경 구성: 215. DOS batch - 하나의 .bat 파일에서 다중 .bat 파일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629

개발 환경 구성: 242. 배치 파일에서 Thread.Sleep 효과를 주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68

개발 환경 구성: 328. Visual Studio(devenv.exe)를 배치 파일(.bat)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3

스크립트: 13. 윈도우 배치(Batch) 스크립트에서 날짜/시간 문자열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42

스크립트: 16. cmd.exe의 for 문에서는 ERRORLEVEL이 설정되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039

스크립트: 66.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685

Windows: 276. 명령행에서 원격 서비스를 동기/비동기로 시작/중지
; https://www.sysnet.pe.kr/2/0/13861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제목짓기 정말 어렵군요. ^^;

그냥 설명해 보면, 보통 다음과 같은 배치 파일들이 있을 때,

==== one.bat ====
@ECHO OFF 
echo ONE Batch
two.bat
echo ONE Complete

==== two.bat ==== 
@ECHO OFF
echo TWO Batch
echo TWO Complete

아마도 원래 의도했던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겠죠!

D:\...>one.bat
ONE Batch
TWO Batch
TWO Complete
ONE Complete
D:\...>

그런데, 배치 파일의 제어가 one.bat에서 two.bat로 완전히 넘어가버려서 two.bat 실행을 완료한 이후 one.bat로 돌아가지 않고 아래와 같이 바로 종료해 버립니다.

D:\...>one.bat
ONE Batch
TWO Batch
TWO Complete
D:\...>

바로 이런 경우, 원하는 결과를 얻으려면 다음과 같이 cmd.exe의 힘을 빌어야 합니다.

==== one.bat ====
@ECHO OFF
echo ONE Batch
cmd.exe /C two.bat
echo ONE Complete

이렇게 cmd.exe에 "/C" 옵션을 주면, 새로운 cmd.exe 명령어 쉘이 실행되고 그 내부에서 지정된 two.bat 파일을 실행한 후 부모 프로세스로 제어가 돌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의도했던 데로 one.bat의 남은 부분이 계속 실행됩니다. 또한, "/K" 옵션을 주어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대상 batch 파일에서 직접 exit 명령을 주어야 합니다.

==== one.bat ====
@ECHO OFF
echo ONE Batch
cmd.exe /K two.bat
echo ONE Complete

==== two.bat ==== 
@ECHO OFF
echo TWO Batch
echo TWO Complete
exit

자... 이제 슬슬 "반환값" 처리에 대해서 궁금해지는데요. 배치 파일에서 exit 구문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결이 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는 무조건 "Error..."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 one.bat ====
@ECHO OFF
echo ONE Batch
cmd.exe /C two.bat

if %ERRORLEVEL% == 0 ( goto NoError
) ELSE (
 echo Error...
)

:NoError
echo ONE Complete

==== two.bat ==== 
@ECHO OFF
echo TWO Batch
echo TWO Complete
exit 1

만약, "exit 0" 또는 그냥 "exit"로 두거나 "/C" 옵션으로 실행했으므로 명시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0이 적용되어 "goto NoError" 문이 실행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0-12-07 04시56분
[ryujh] cmd.exe 로 two.bat 호출 대신 call two.bat 로도 할 수 있더군요.
이 때 two.bat 에서는 exit /b 1 으로 하면 됩니다.
[guest]
2010-12-07 06시02분
오~~~ 정말 call과 exit /b의 조합도 가능하네요. ^^ 정보 감사합니다.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260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23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386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09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77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28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47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48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74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50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56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83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01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36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66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19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692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480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21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06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05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491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81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63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61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34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