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19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 https://www.sysnet.pe.kr/2/0/953

.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 https://www.sysnet.pe.kr/2/0/970

.NET Framework: 245. ASP.NET 서버 측 코드에서 페이스북 계정 연동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3

개발 환경 구성: 313. Nuget Facebook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ASP.NET 웹 폼과 로그인 연동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82

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55

개발 환경 구성: 482. Facebook OAuth 처리 시 상태 정보 전달 방법과 "유효한 OAuth 리디렉션 URI" 설정 규칙
; https://www.sysnet.pe.kr/2/0/12189

닷넷: 2201. C# - Facebook 연동 / 사용자 탈퇴 처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26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페이스북 계정을 웹 사이트와 연동하는 방법은 지난번에 알아봤고,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 https://www.sysnet.pe.kr/2/0/953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
; https://www.sysnet.pe.kr/2/0/959

이번에는 마침 Pomodoro Timer 유틸리티를 만들면서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연동을 해보았습니다.

재미있게도, 윈도우 연동을 위한 인증 방식은 사실상 제공되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아래의 Facebook 공식 사이트를 보면 알 수 있는데,

Desktop Application Authentication
; http://developers.facebook.com/docs/authentication/desktop

다름아닌, 웹 브라우저를 내장해서 Facebook 로그인 페이지에 접속해서 간접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그래도, 구현 자체는 매우 간단하니 나름 나쁘지는 않습니다. 순서를 한번 볼까요? ^^

1. 웹 브라우저 내장


폼에 웹 브라우저 컨트롤을 얹어놓습니다.

[그림 1 - 웹 브라우저 컨트롤]
facebook_desktop_auth_1.png

로그인이 필요한 시점에, 내장 웹 브라우저 영역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아래의 사이트로 방문합니다.

https://graph.facebook.com/oauth/authorize?
    client_id=[...페이스북 개발자 사이트로부터 받은 Application Id...]&
    redirect_uri=http://www.facebook.com/connect/login_success.html&
    type=user_agent&
    display=popup

2. 페이스북 로그인 연동


이 부분부터는 페이스북에서 알아서 처리를 해줍니다. 아래에서 보는 것처럼 내장 웹 브라우저 영역에 페이스북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페이지와 (최초로 로그인 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 허가 요청 페이지가 제공됩니다.

[그림 2 - 로그인 페이지 방문]
facebook_desktop_auth_2.png

[그림 3 - 허가 요청]
facebook_desktop_auth_3.png

정상적으로 사용자가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진행을 했다면 최종적으로 내장 웹 브라우저는 미리 "redirect_uri"로 지정해 두었던 "http://www.facebook.com/connect/login_success.html"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3. AccessToken 얻기


이제, 정상적으로 로그인 되었다는 신호를 "Desktop" 응용 프로그램 측에서 인지를 해야 하는데요. 의외로 방법이 무척 간단합니다. "System.Windows.Forms.WebBrowser" 개체의 "Navigating" 이벤트를 받아서 마지막 login_success.html의 파라미터로 넘어온 값을 받아오면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페이스북 개발자 사이트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

http://www.facebook.com/connect/login_success.html#
    access_token=...&
    expires_in=...

이 때문에, Navigating 이벤트에서 다음과 같이 URL을 해석하면 자연스럽게 access_token 및 그 값을 이용해서 페이스북의 다양한 Graph API를 호출할 수 있게 됩니다.

private void webBrowser1_Navigating(object sender, WebBrowserNavigatingEventArgs e)
{
    string text = e.Url.ToString();

    if (string.IsNullOrEmpty(text) == true)
    {
        return;
    }

    if (text.IndexOf("http://www.facebook.com/connect/login_success.html") == -1)
    {
        return;
    }

    string[] fbAccess = text.Split('#');
    if (fbAccess.Length < 2)
    {
        return;
    }

    string access_part = fbAccess[1];
    string[] token_part = access_part.Split('&');
    if (token_part.Length < 2)
    {
        return;
    }

    string[] access_token_tuple = token_part[0].Split('=');
    if (access_token_tuple.Length < 2)
    {
        return;
    }

    string access_token = access_token_tuple[1];
    if (string.IsNullOrEmpty(access_token) == false)
    {
        // ... Graph API 사용 ...
    }
}

첨부한 예제 코드에서 여러분들이 받은 "Application Id"만 치환한 후 실행해 보시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1-29 04시33분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12정성태1/28/202116449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
12511정성태1/27/202116176Windows: 187.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2510정성태1/27/202117027.NET Framework: 1020. .NET Core Kestrel 호스팅 - Razor 지원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9정성태1/27/202116905개발 환경 구성: 524. Jupyter Notebook에서 C#(F#, PowerShell) 언어 사용을 위한 환경 구성 [3]
12508정성태1/27/202116162개발 환경 구성: 523.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
12507정성태1/26/202116704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
12506정성태1/25/202119801.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 [1]
12505정성태1/23/202116526.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4정성태1/23/202118489.NET Framework: 1017.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1]
12503정성태1/21/202116888오류 유형: 696. C# - HttpClient: Requesting HTTP version 2.0 with version policy RequestVersionExact while HTTP/2 is not enabled.
12502정성태1/21/202117478.NET Framework: 1016. .NET Core HttpClient의 HTTP/2 지원파일 다운로드1
12501정성태1/21/202116438.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2500정성태1/21/202117241.NET Framework: 1014. ASP.NET Core(Kestrel)의 HTTP/2 지원 여부파일 다운로드1
12499정성태1/20/202118584.NET Framework: 1013.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1]파일 다운로드1
12498정성태1/20/202117013.NET Framework: 1012. .NET Core Kestrel 호스팅 - 비주얼 스튜디오의 Kestrel/IIS Express 프로파일 설정
12497정성태1/20/202119578.NET Framework: 1011. C# - OWIN Web API 예제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2
12496정성태1/19/202116931.NET Framework: 1010.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1]
12495정성태1/19/202119293웹: 40. IIS의 HTTP/2 지원 여부 - h2, h2c [1]
12494정성태1/19/202118554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2]
12493정성태1/18/202116611.NET Framework: 1009.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1) - HTTP 관련 [1]파일 다운로드1
12492정성태1/17/202115593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12491정성태1/16/202117616.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2490정성태1/15/202116743.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489정성태1/13/202118822.NET Framework: 1006. C# - DB에 저장한 텍스트의 (이모티콘을 비롯해) 유니코드 문자가 '?'로 보인다면? [1]
12488정성태1/13/202118111.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2487정성태1/13/202116511.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