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18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

보통, IIS 6까지는 Metabase를 접근해서 관련 정보를 얻어올 수가 있는데요. 이때 이용하는 것은 DirectoryEntry 타입입니다.

string rootPath = string.Format("IIS://{0}/W3SVC", Environment.MachineName);
DirectoryEntry root = new DirectoryEntry(rootPath);

애석하게도, 이렇게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배포하면 IIS 7 / 7.5가 설치된 Windows Server 2008 / R2에서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0x80005000): Unknown error (0x80005000)

"Unknown error"로 알려져 있다 보니, 다양한 상황에서 나올 수 있겠지만 아래와 같이 콜스택이 가리키는 위치가 Bind라면?

************** Exception Text **************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0x80005000): Unknown error (0x80005000)
   at System.DirectoryServices.DirectoryEntry.Bind(Boolean throwIfFail)
   at System.DirectoryServices.DirectoryEntry.Bind()
   at System.DirectoryServices.DirectoryEntry.get_IsContainer()
   at System.DirectoryServices.DirectoryEntries.ChildEnumerator..ctor(DirectoryEntry container)
   at MyApp.MainForm.MainForm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at System.Windows.Forms.Form.OnLoad(EventArgs e)
   ...[생략]...
   at System.Windows.Forms.NativeWindow.Callback(IntPtr hWnd, Int32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생략]...

아마도 대부분은 Windows Server 2008 제품군에서 기본적으로 설치가 안 된 "IIS 6 Metabase Compatibility" 구성 요소 때문일 것입니다. 물론, "Server Manager" / "Web Server (IIS)" / "Add Role Services"를 통해 "IIS 6 Metabase Compatibility" 구성 요소를 설치해 주면 이 문제는 해결됩니다.

하지만, 좀 더 매끄럽게 해결하고 싶다면 Microsoft.Web.Administration.ServerManager 타입을 이용해야 합니다. 사실, 구현은 더욱 간단하고 명확해졌습니다. 일례로 개인적으로 껄끄러웠던 처리 중의 하나가 Web Site 하위에 생성된 Virtual Application을 나열하는 것인데, IIS 6 메타베이스에서는 Web Site 하위에 생성된 폴더와 Virtual Directory를 재귀호출로 찾아내려가야 하는 식이었는데요. ServerManager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컬렉션으로 간단하게 나열을 해줍니다.

ServerManager svr = new ServerManager();

foreach (Site site in svr.Sites) // IIS에 등록된 Web Site
{
    foreach (Microsoft.Web.Administration.Application app in site.Applications)
    {
        // Web Site에 등록된 모든 Virtual Application 열람
    }
}




아쉬운 점이 있다면, 현재 IIS 6은 분명히 건재하고 있고 이를 지원하던 기존 응용 프로그램들의 마이그레이션이 애매하다는 정도입니다. 왜냐하면, IIS 7+ 자체에는 메타베이스가 없기 때문에 기존에 쓰던 내용들의 개념이 1:1로 매핑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Metabase Key인데요. 가령 "/LM/W3SVC/1/ROOT"와 같은 키 값은 새로운 applicationHost.config 기반의 IIS 7+에는 없기 때문에 ServerManager를 통해서는 해당 값을 알아낼 수 없습니다.

공식 문서상으로는 없는데, 일단 "IIS 6 Metabase Compatibility" 설치 후 매핑이 되는 것을 보면 공개되지 않은 매핑 규칙이 있다고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다음과 같은 정도의 규칙이 있더군요.

Microsoft.Web.Administration.Id == [Site ID]
Microsoft.Web.Administration.Application.Path == "/[Virtual Application 경로]"


이를 기반으로 무조건 "/LM/W3SVC/[Site ID]/" + Microsoft.Web.Administration.Application.Path 연산을 하면 그나마 메타베이스 키로 매핑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는 첨부한 프로젝트를 실행한 화면입니다. 왼쪽 트리는 DirectoryEntry 기반으로 조회한 값이고, 오른쪽 트리는 ServerManager로 조회한 것입니다. (물론, Windows 2003에서 실행하면 오른쪽 트리는 비어있게 됩니다.)

iis_metabase_dependency_1.png

... 참고로, UAC 환경에서는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야 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32정성태1/11/201826397.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파일 다운로드2
11431정성태1/11/201824369.NET Framework: 725.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메서드(awaitable)처럼 구현한 사례 [9]
11430정성태1/10/201827812.NET Framework: 724.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429정성태1/9/201818520개발 환경 구성: 348. ASP.NET Core 2.1 Preview 버전 적용 방법
11428정성태1/6/201821293개발 환경 구성: 347. WinForm 프로젝트를 WPF 프로젝트 유형으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27정성태1/5/201819321오류 유형: 445. vcpkg 빌드 오류 - Starting the CLR failed with HRESULT 80040153
11426정성태1/5/201828984오류 유형: 444. curl로 호출할 때 발생하는 오류 정리
11425정성태1/4/201819629개발 환경 구성: 346.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2)
11424정성태1/4/201819178개발 환경 구성: 345.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명령행에서 빌드하는 방법
11423정성태1/3/201837412VC++: 123. 내가 만든 코드보다 OpenCV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 [8]파일 다운로드2
11422정성태1/2/201827968.NET Framework: 723. C# - OpenCvSharp 사용 시 C/C++을 이용한 속도 향상 (for 루프 연산) [4]파일 다운로드1
11421정성태1/2/201819774오류 유형: 443. Visual Studio - nuget configuration is invalid
11420정성태12/30/201723972.NET Framework: 722.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음성인식(SpeechRecognizer)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419정성태12/23/201726091.NET Framework: 721. WebClient 타입의 ...Async 메서드 호출은 왜 await + 동기 호출 시 hang 현상이 발생할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418정성태12/23/201735865.NET Framework: 720. 비동기 메서드 내에서 await 시 ConfigureAwait 호출 의미 [2]파일 다운로드1
11417정성태12/22/201721711.NET Framework: 719. Task를 포함하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2]
11416정성태12/21/201719360.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21051.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28231.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22495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25188.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23423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35710.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 [1]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41727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21342.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225.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