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말로 설명하기보다는 곧바로 현상을 보는 것이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은 트리뷰에서,

treeview_node_bold_text_truncated_1.png

선택된 노드에 대해 다음과 같이 Bold 속성을 주게 되면,

treeView.SelectedNode.NodeFont = boldFont;

treeview_node_bold_text_truncated_2.png

보는 바와 같이 '8' 자 이후부터 짤려버렸습니다. 딱히, 이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유를 설명하는 글은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단지, 아래의 글에서 우회적인 해결 방법에 대한 단서를 발견할 수 있을 뿐이었습니다.

Bold NodeFont causes text to appear truncated
; http://www.eggheadcafe.com/software/aspnet/32319704/bold-nodefont-causes-text-to-appear-truncated.aspx

직접해보면, 특정 노드의 폰트에 대한 Bold 속성을 주기 전에 트리 레벨에서 Bold를 적용하고 다시 해제하면 되었습니다.

즉, 코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 주면 됩니다.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reeView.Font = boldFont;
    treeView.SelectedNode.NodeFont = boldFont;
    treeView.Font = normalFont;
}

보면서도... 사실 왜 이것으로 해결이 되는지 납득이 잘 안 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1-17 11시21분
[홍시] 덕분에 문제를 해결했네요 도움 감사드립니다.
[guest]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75정성태3/6/200728920.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
474정성태3/5/200727042.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
473정성태3/4/200734331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
472정성태3/3/200733259디버깅 기술: 13. 예외 발생 시 Minidump 생성 - WinDBG [3]파일 다운로드1
471정성태3/1/200722337디버깅 기술: 12. Managed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469정성태2/28/200734146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3]파일 다운로드1
470정성태3/1/200725679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468정성태2/25/200735419COM 개체 관련: 20. 탭 브라우저의 윈도우 핸들 구하기 [3]
466정성태2/22/200727230Windows: 23. 롱혼 서버 코어 버전 [2]
465정성태2/21/200725953오류 유형: 29. TFS 관련 스케줄 작업 실패
464정성태2/25/200727622오류 유형: 28.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
463정성태2/21/200719680Team Foundation Server: 15. 포탈 사이트의 보고서 주소를 도메인 명으로 적용
462정성태2/13/200747635.NET Framework: 83. 라이브러리에 다국어 리소스 추가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461정성태2/13/200724766오류 유형: 27. DLinq 예제 오류 : error: 26 - Error Locating Server/Instance Specified
460정성태2/13/200725071.NET Framework: 82. Orcas 1월 CTP에서 Linq 소스 컴파일 방법
459정성태2/17/200729553오류 유형: 26.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3]
458정성태2/12/200725866.NET Framework: 81. LINQ 개발 환경 설정 [1]
457정성태2/8/200730104.NET Framework: 80. LINQ 관련 용어 정리 및 리소스 소개 [2]
456정성태2/6/200728625Windows: 22. 가상화에 대해서.
455정성태2/4/200723223오류 유형: 25. 원격 데스크톱 환경에서의 Virtual Server 관리 환경 제어
454정성태2/4/200720437오류 유형: 24. VPC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509손대성6/24/200722953    답변글 오류 유형: 24.1. [답변]: 오류 유형 : 23. VPC 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453정성태2/4/200728976개발 환경 구성: 21. 서버 측 SoapExtension을 클라이언트에 알리고 싶다
452정성태1/31/200728922VC++: 31. 비스타에서 VS.NET 2005로 COM 프로젝트 빌드시 오류 [2]
451정성태1/31/200728070Windows: 21. Preview Handler 소개
450정성태1/30/200736670VS.NET IDE: 43.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조절하는 방법 - Manifest 파일 이용파일 다운로드2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