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385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242

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976

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563

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612

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722

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10997

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 https://www.sysnet.pe.kr/2/0/11061

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20

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 https://www.sysnet.pe.kr/2/0/12064

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 https://www.sysnet.pe.kr/2/0/12268

오류 유형: 662. ASP.NET Core와 500.19, 500.21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12356

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955

.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 https://www.sysnet.pe.kr/2/0/12982

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8

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 https://www.sysnet.pe.kr/2/0/13579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사실 500 번대의 오류는 대처하기가 매우 난감합니다. 이벤트 로그에도 이와 관련해서는 아무런 정보를 얻을 수가 없고, 이로 인한 오류 페이지 자체도 유용한 정보를 알려주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만난 오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iis_error_code_500_19_1.png
"
HTTP Error 500.19 - Internal Server Error

The Requested page cannot be accessed because the related configuration data for the page is invalid.
"


역시나 별다른 정보가 없습니다. ^^;

웹 검색을 좀 해봤는데요.

Troubleshooting HTTP 500.19 Errors in IIS 7
; http://blogs.iis.net/webtopics/archive/2010/03/08/troubleshooting-http-500-19-errors-in-iis-7.aspx

위의 글에서 3번째 시나리오가 딱 제 경우에 해당하더군요. 어쨌든 web.config 이 유효하지 않다는 것인데,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이 웹 사이트가 Windows Server 2008 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했다는 것입니다. R2로 마이그레이션 하면서 이런 상황이 나온 것인데요.

혹시나 싶어, IIS 관리자에서 Application Settings 를 클릭하니 다음과 같은 오류 대화창이 뜹니다.

iis_error_code_500_19_2.png

모든 정황이 web.config이 유효하지 않다고 가리키니... ^^ 원본 web.config을 복사해 두고, 하나씩 지워보았습니다.

아하~~~ 정말 문제가 있었군요. 기존 서버에서 "URL Rewrite" 기능을 쓰고 있었는데 신규 서버에서는 없어서 <system.webServer /> 에 포함된,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system.webServer>
        <rewrite>
            <rules>
                <rule name="auto redirect to /test" stopProcessing="true">
                    <match url="^\/?$" />
                    <action type="Redirect" url="https://{HTTP_HOST}/test" />
                </rule>
            </rules>
        </rewrite>
    </system.webServer>
</configuration>

<rewrite /> 설정을 해석할 수 없어 발생한 문제였던 것입니다.

결국 다음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으로 문제 해결 끝!

URL Rewrite
; http://www.iis.net/download/urlrewrit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61정성태7/9/202019474VS.NET IDE: 148. 윈도우 10에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리눅스 환경에서 실행하는 2가지 방법 - docker, WSL 2 [5]
12260정성태7/8/202017267.NET Framework: 926. C# - ETW를 이용한 ThreadPool 스레드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9정성태7/8/202016438오류 유형: 627. nvlddmkm.sys의 BAD_POOL_HEADER BSOD 문제 [1]
12258정성태7/8/202020298기타: 77. DataDog APM 간략 소개
12257정성태7/7/202016623.NET Framework: 925. C# - ETW를 이용한 Monitor Enter/Exit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6정성태7/7/202017710.NET Framework: 924. C# - Reflection으로 변경할 수 없는 readonly 정적 필드 [4]
12255정성태7/6/202018511.NET Framework: 923. C# -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Finalizer 실행 감시파일 다운로드1
12254정성태7/2/202017023오류 유형: 626.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12253정성태7/2/202019528.NET Framework: 922. C# - .NET ThreadPool의 Local/Global Queue파일 다운로드1
12252정성태7/2/202021297.NET Framework: 921. C# - I/O 스레드를 사용한 비동기 소켓 서버/클라이언트파일 다운로드2
12251정성태7/1/202020054.NET Framework: 920. C# - 파일의 비동기 처리 유무에 따른 스레드 상황 [1]파일 다운로드2
12250정성태6/30/202022196.NET Framework: 919. C# - 닷넷에서의 진정한 비동기 호출을 가능케 하는 I/O 스레드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9정성태6/29/202017699오류 유형: 625.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 설치 제거 시 Warning 26003 오류 발생
12248정성태6/29/202015503오류 유형: 624. SQL 서버 오류 - service-specific error code 17051
12247정성태6/29/202017466.NET Framework: 918. C# - 불린 형 상수를 반환값으로 포함하는 3항 연산자 사용 시 단축 표현 권장(IDE0075) [2]파일 다운로드1
12246정성태6/29/202018610.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12245정성태6/24/202019014.NET Framework: 916. C# - Task.Yield 사용법 (2) [2]파일 다운로드1
12244정성태6/24/202019063.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1]파일 다운로드1
12243정성태6/23/202015435VS.NET IDE: 147. Visual C++ 프로젝트 - .NET Core EXE를 "Debugger Type"으로 지원하는 기능 추가
12242정성태6/23/202017045오류 유형: 623. AADSTS90072 - User account '...' from identity provider 'live.com' does not exist in tenant 'Microsoft Services'
12241정성태6/23/202020210.NET Framework: 914. C# - Task.Yield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240정성태6/23/202021753오류 유형: 622.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12239정성태6/21/202019843Linux: 30. (윈도우라면 DLL에 속하는) .so 파일이 텍스트로 구성된 사례 [1]
12238정성태6/21/202018197.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12237정성태6/20/202017719.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12236정성태6/19/202018424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