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880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5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91

.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95

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6

.NET Framework: 380. 프로세스 스스로 풀 덤프 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485

디버깅 기술: 81. try/catch로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고 싶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965

.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2049

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 https://www.sysnet.pe.kr/2/0/12051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sos나 psscor 같은 도구들이 나오면서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디버깅에서 windbg 위치가 다소 상향되었지요. ^^

개발자 PC에서 재현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 디버깅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windbg를 이용해서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연결해서 살펴보는 것이 최선일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그것이 "운영 서버"라면 차선책으로 "풀 덤프"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는, 저처럼 서툰 windbg 사용자라면 고객 앞에서 버벅거리는 것보다 회사에 와서 차근 차근히 검색도 해가면서 풀어보는 것이 더욱 현실적인 이유가 될 수 있겠고. ^^)

이번 글에서는, 바로 "풀 덤프"를 남기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가장 현실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4가지 정도만 살펴보겠습니다.

1. Windbg를 이용하는 방법

Windbg.exe를 실행하고 "File" / "Attah to a Process..." 메뉴를 선택해서 대상 프로세스에 디버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그 상태에서 명령행을 통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Full Dump"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dump /ma C:\temp\windbg_test.dmp

덤프를 뜨는 순간에 재미있는 현상을 하나 발견할 수 있는데요. Visual Studio로 기본 생성한 윈폼 프로젝트를 실행한 경우, Working Set 메모리 크기가 26KB 정도에 불과했는데 덤프를 뜨자마자 120,488KB로 증가했습니다.

2. ADPlus를 이용하는 방법


ADPlus는 "Debugging Tools for Windows"를 설치하면 Windbg와 함께 설치되는 유틸리티입니다. 사실, 덤프 과정을 보면 Windbg의 내부 덤프 기능을 공유해서 사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행 방법 및 예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C:\...[생략]...>adplus -hang -pn WindowsFormsApplication1.exe -o D:\dump
Starting ADPlus
********************************************************
*                                                      *
* ADPLus Flash V 7.01.002 02/27/2009                   *
*                                                      *
*   For ADPlus documentation see ADPlus.doc            *
*   New command line options:                          *
*     -pmn <procname> - process monitor                *
*        waits for a process to start                  *
*     -po <procname> - optional process                *
*        won't fail if this process isn't running      *
*     -mss <LocalCachePath>                            *
*        Sets Microsoft's symbol server                *
*     -r <quantity> <interval in seconds>              *
*        Runs -hang multiple times                     *
*                                                      *
*   ADPlusManager - an additional tool to facilitate   *
*   the use of ADPlus in distributed environments like *
*   computer clusters.                                 *
*   Learn about ADPlusManager in ADPlus.doc            *
*                                                      *
********************************************************

Attaching to 5628 - WindowsFormsApplication1 in Hang mode 02/05/2011 22:46:07
Logs and memory dumps will be placed in D:\dump\20110205_224607_Hang_Mode

위와 같이 실행한 경우, 출력 폴더로 설정된 "D:\dump\20110205_224607_Hang_Mode" 경로에 가보면 로그 파일이 생성되는데, 내부를 살펴보면 adplus가 결국 Windbg의 ".dump" 명령어와 동일하게 실행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0:000> *--- Configuring hang mode commands ---
0:000> .dump -u /ma /c HangMode ${AdpDumpDir}\FULLDUMP_HangMode_${AdpProcName}_.dmp
Creating D:\dump\20110204_210725_Hang_Mode\FULLDUMP_HangMode_WindowsFormsApplication1.exe__2b94_2011-02-04_21-07-25-956_1698.dmp - mini user dump
Dump successfully written


Windbg에 비해 ADPlus는 몇몇 상황에 대해 간단한 옵션으로 처리해주는 기능이 있어 사용이 더 편하긴 합니다. 예를 들어 예외가 발생한 시점에 덤프를 남기는 기능을 명령행 인자로 제공합니다.

물론, windbg로도 예외가 발생한 시점에 덤프를 남기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외 발생시 Minidump 생성 - WinDBG
; https://www.sysnet.pe.kr/2/0/472

ADPlus를 일종의 "Windbg 래퍼"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

3. Task Manager

운영 서버에,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도구를 설치한다는 것은 때로 부담일 수밖에 없습니다. 다행히 Windows Vista/7/2008/R2에서는 "작업 관리자"를 이용해서 덤프를 뜨는 것이 가능해졌는데, 방법도 무척 간단합니다. Task Manager를 실행하고 대상 프로세스를 선택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Create Dump File" 메뉴를 선택하면 됩니다.

how_to_take_a_dump_1.png

덤프파일이 생성되는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C:\Users\[로그인 사용자 계정\AppData\Local\Temp\[응용 프로그램 이름].DMP 

한 가지 주의해야 할 것은, 64비트 운영체제에서 32비트 프로세스를 덤프 뜰 때는 Task Manager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025-04-09 업데이트: 32비트 Task Manager를 실행해도 됩니다. 경로: "C:\Windows\SysWOW64\taskmgr.exe")

windbg - SOS does not support the current target architecture.
; https://www.sysnet.pe.kr/2/0/11262

4. Process Dump(ProcDump.exe)를 이용하는 방법


Sysinternals의 Process Dump도 나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상, Windows 2008 이후의 운영체제에서는 작업 관리자로 풀 덤프를 남기는 반면, Windows 2003에서는 "Process Dump"를 즐겨 사용합니다. 왜냐하면, "Debugging Tools for Windows"처럼 설치과정을 요하지도 않고 단 하나의 procdump.exe 파일만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함면에서는 거의 작업관리자 수준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덤프를 남기는 예입니다.

D:\Dump> procdump -ma windowsformsapplication1.exe D:\dump\procdump.dmp

ProcDump v3.01 - Writes process dump files
Copyright (C) 2009-2010 Mark Russinovich
Sysinternals - www.sysinternals.com

Writing dump file D:\Settings\desktop\current\dump\procdump.dmp...
Dump written.

// Process ID (예: 4572)로 덤프를 남기고 싶다면?
// D:\Dump> procdump -ma 4572

게다가, 가끔은 Task Manager로는 불가능한 덤프가 있는데요. 예를 들어 실행하자마자 예외가 발생해서 종료를 해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옵션을 구성해서 덤프를 남길 수 있습니다.

procdump -ma -t -w test.exe

어찌 보면, adplus.exe 못지 않은 덤프 도구가 바로 ProcDump입니다.




도구들을 사용하면서 한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면 Mini dump를 남기는 옵션이 다양하다는 점인데, 문제는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최소 크기의 미니 덤프 파일로는 거의 살펴볼 수 있는 것들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풀 덤프의 용량이 너무 크다고 해서 최소 크기의 미니 덤프를 고객에게 요청하면 거의 99%는 다시 풀 덤프를 요청하게 될 것입니다. (위의 글에서 설명한 4가지 도구의 옵션들은 모두 힙영역까지 포함한 덤프를 뜨게 됩니다.)

참고로, Visual Studio로도 풀 덤프를 뜰 수 있습니다. ^^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 https://www.sysnet.pe.kr/2/0/318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9/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4-06 10시23분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 http://www.sysnet.pe.kr/2/0/995
정성태
2013-10-14 01시08분
예: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예외를 발생시킬 때 덤프
    procdump -ma -e [pid]
정성태
2017-04-21 02시27분
프로세스 풀 덤프 시간을 줄여 주는 Process Reflection
; http://www.sysnet.pe.kr/2/0/10940
정성태
2017-06-13 12시30분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16정성태7/17/202115373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15정성태7/17/202122544오류 유형: 736. Windows - MySQL zip 파일 버전의 "mysqld --skip-grant-tables" 실행 시 비정상 종료 [1]
12714정성태7/16/202115930오류 유형: 735. VCRUNTIME140.dll, MSVCP140.dll, VCRUNTIME140.dll, VCRUNTIME140_1.dll이 없어 exe 실행이 안 되는 경우
12713정성태7/16/202117361.NET Framework: 1077.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규약을 따르게 만드는 Task.FromResult파일 다운로드1
12712정성태7/15/202116277개발 환경 구성: 579. Azure - 리눅스 호스팅의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1정성태7/15/202116258개발 환경 구성: 578. Azure - Java Web App Service를 위한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0정성태7/15/202118908개발 환경 구성: 577. MQTT - emqx.io 서비스 소개
12709정성태7/14/202114445Linux: 42.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에 대한 구동 시점의 docker run 명령어를 확인하는 방법
12708정성태7/14/202118707Linux: 41. 리눅스 환경에서 디스크 용량 부족 시 원인 분석 방법
12707정성태7/14/202185851오류 유형: 734.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12706정성태7/14/202117039.NET Framework: 107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705정성태7/13/202117485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2704정성태7/12/202116226개발 환경 구성: 576. Azure VM의 서비스를 Azure Web App Service에서만 접근하도록 NSG 설정을 제한하는 방법
12703정성태7/11/202121586개발 환경 구성: 575. Azure VM에 (ICMP) ping을 허용하는 방법
12702정성태7/11/202117374오류 유형: 733. TaskScheduler에 등록된 wacs.exe의 Let's Encrypt 인증서 업데이트 문제
12701정성태7/9/202116888.NET Framework: 1075. C# - ThreadPool의 스레드는 반환 시 ThreadStatic과 AsyncLocal 값이 초기화 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00정성태7/8/202117359.NET Framework: 1074. RuntimeType의 메모리 누수? [1]
12699정성태7/8/202115945VS.NET IDE: 167. Visual Studio 디버깅 중 GC Heap 상태를 보여주는 "Show Diagnostic Tools" 메뉴 사용법
12698정성태7/7/202120111오류 유형: 732. Windows 11 업데이트 시 3% 또는 0%에서 다운로드가 멈춘 경우
12697정성태7/7/202115177개발 환경 구성: 574. Windows 11 (Insider Preview) 설치하는 방법
12696정성태7/6/202116144VC++: 146. 운영체제의 스레드 문맥 교환(Context Switch)을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695정성태7/3/202116183VC++: 145. C 언어의 setjmp/longjmp 기능을 Thread Context를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94정성태7/2/202118143Java: 24. Azure - Spring Boot 앱을 Java SE(Embedded Web Server)로 호스팅 시 로그 파일 남기는 방법 [1]
12693정성태6/30/202115076오류 유형: 731. Azure Web App Site Extension - Failed to install web app extension [...]. {1}
12692정성태6/30/202115588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12691정성태6/30/202115744개발 환경 구성: 573. 테스트 용도이지만 테스트에 적합하지 않은 Azure D1 공유(shared) 요금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