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608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8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91

.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95

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6

.NET Framework: 380. 프로세스 스스로 풀 덤프 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485

디버깅 기술: 81. try/catch로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고 싶다면?
; https://www.sysnet.pe.kr/2/0/10965

.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2049

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 https://www.sysnet.pe.kr/2/0/12051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지난번에, '도구'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법을 알아봤지요.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91

도구가 아무리 훌륭해도 역시나 코드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내장하는 것만 못합니다. 일례로, 위의 글에서 살펴본 4가지 방법 모두 자신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스스로 풀 덤프를 남기길 원할 때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Debugging Tools for Windows"를 설치하는 것도 부담이고 재배포가 안되는 Process Dump, 외부 제어 기능이 없는 Task Manager까지... 자신의 응용 프로그램 내부에서 불러다 사용하기에는 하나같이 매끄럽지 않습니다.

다행인 점은, 코드를 이용한 풀 덤프를 남기는 방법이 dbghelp.dll의 도움으로 그다지 어렵지 않다는 것입니다.

MiniDumpWriteDump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minidumpapiset/nf-minidumpapiset-minidumpwritedump

단지 제약이라면 dbghelp.dll이 버전 5.1 이상이어야 한다는 점인데요. 그다지 문제라고 할 수 없는 것이, "Debugging Tools for Windows"에 포함된 dbghelp.dll 6.x 파일이 재배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redist.txt에 보면 다음과 같이 친절하게 ^^ 안내되어 있습니다.

===================
dbghelp.dll
===================
 
(1) You may redistribute dbghelp.dll version 6.12.2.633

C#에서도 P/Invoke를 이용해서 쉽게 가져다 쓸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How to write out a minidump from try/catch in C#?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is/clr/thread/321f8960-ccbb-49d0-b285-3d2bbf3d20d9




위의 코드에 대한 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원하는 프로세스 ID에 대해 다음과 같이 System.Diagnostics.Process를 통해 얻어지는 Handle 값을 전달해주면 됩니다.

Process targetProcess = Process.GetProcessById(processId);
using (FileStream stream = new FileStream(dumpFilePath, FileMode.Create))
{
    Boolean res = MiniDumpWriteDump(
        targetProcess.Handle,
                        processId,
                        stream.SafeFileHandle.DangerousGetHandle(),
                        MiniDumpType.WithFullMemory,
                        IntPtr.Zero,
                        IntPtr.Zero,
                        IntPtr.Zero);

    int dumpError = res ? 0 : Marshal.GetLastWin32Error();
    Console.WriteLine(dumpError);
}

그런데, 실제로 해보면 MiniDumpWriteDump API 호출이 FALSE를 반환하고 Marshal.GetLastWin32Error()에서 다음의 값을 반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0x8007012B (-2147024597)
Only part of a ReadProcessMemory or WriteProcessMemory request was completed. 

이에 대해 검색을 해보면 아래와 같은 답변을 찾을 수 있는데,

PROCESS_QUERY_INFORMATION and PROCESS_VM_READ 
; http://forums.whirlpool.net.au/archive/1223530

you might also have to enable SeDebugPrivilege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598615/creating-a-minidump-of-a-running-process

원인은, "덤프를 뜨려는 프로세스" 측에 "SE_DEBUG_NAME" 특권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니, C#에서의 특권 설정에 관해 설명한 다음의 글에 있는 코드를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C# - How to enable SeDebugPrivilege?
; http://rongchaua.net/blog/c-how-to-enable-sedebugprivilege/

위의 방법까지 했는데도 여전히 0x8007012b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이 부분에서 무척 헤맸었는데요. ^^ 다음의 글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windbg dump command fails with error 0x8007012b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842569/windbg-dump-command-fails-with-error-0x8007012b

즉, x64 운영체제에 한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요. "덤프를 뜨는 측의 프로세스"가 32비트이면 "덤프를 뜰 수 있는 대상 프로세스"는 역시 32비트로 제한됩니다. 마찬가지로 이것은 64비트 프로세스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MiniDumpWriteDump로 덤프를 뜨기 전에 대상 프로세스의 플랫폼 타입을 알아보고 그에 맞는 덤프 프로세스를 구동시켜야 합니다. 이는, 다음의 IsWow64Process Win32 API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CallingConvention = CallingConvention.Winapi)]
[return: MarshalAs(UnmanagedType.Bool)]
public static extern bool IsWow64Process([In] IntPtr processHandle,
        [Out, MarshalAs(UnmanagedType.Bool)] out bool wow64Process);

마지막으로, ^^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여전히 덤프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프로세스에 한해서 그런 일이 발생하는데요. 가만히 살펴보면, Vista/7 이상의 운영체제에서 시스템 권한의 프로세스들에 대해 덤프를 뜨려 할 때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이 때문에 모든 프로세스에 대해 자유롭게 덤프를 뜨고 싶다면 "덤프를 뜨는 측의 프로세스"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야 합니다. 이 부분은 예전에 알려드린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950

최종적으로 이런 모든 사항을 적용하여 간단하게 덤프를 뜨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았습니다. ^^

MinidumpWriter
; https://www.sysnet.pe.kr/temp/app/dumpwriter/MinidumpWriter.application

sysnet_dumpwriter_1.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10-22 01시57분
[권진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링크가 깨졌네요~
http://www.sysnet.pe.kr/temp/app/dumpwriter/MinidumpWriter.application
[guest]
2013-08-26 04시05분
@권진영님... ^^ 이제야 링크를 복원했습니다. 대신 경로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http://sysnet.blob.core.windows.net/temp/app/dumpwriter/MinidumpWriter.application
정성태
2017-11-01 06시52분
[guest] 덤프는 오류가 발생하고 나서 뜨는게 맞는것이지요?

덤프를 뜨기 위해 visual studio에서 debug모드로 실행하는 상태여야 하는지요?

덤프 파일은 어떤툴로 확인해봐야 정확한 오류점을 알 수 있을까요?
[guest]
2020-08-12 10시56분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30정성태1/7/200727443웹: 6. IIS 7 마이그레이션 정리 - Sysnet
427정성태12/30/200618178Team Foundation Server: 14. VS.NET IDE에 통합된 TFS Annotate [1]
425정성태12/29/200622101Windows: 11. Vista IIS 7(Integrated mode)에서의 ASP.NET F5 디버깅 방법
424정성태12/29/200620186기타: 16. 첫걸음 [2]
426정성태12/30/200618602    답변글 기타: 16.1. 예외 발생
420정성태12/27/200623321Windows: 10. Internet Explorer 7.0 호환성 백서 (Word 문서, 1.92MB) [7]파일 다운로드1
419정성태12/25/200625001Windows: 9. VS.NET 2005 원격 디버깅 구성
418정성태12/25/200633062웹: 5. IIS 7에서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 사용 시 주의점 [2]
417정성태12/24/200625575Windows: 8. VS.NET 2005에서의 웹 애플리케이션 디버깅 설정
416정성태1/31/200725589오류 유형: 23. MSI 설치 시 로그 파일 생성하는 레지스트리 설정 [3]
415정성태12/31/200629348개발 환경 구성: 20. 인증서 오류 체크 목록
413정성태12/20/200626299VC++: 26. volatile 키워드 [1]파일 다운로드1
412정성태12/17/200630085오류 유형: 22. VS.NET 2005 SP1 설치 도중 오류 [9]
411정성태12/16/200619116오류 유형: 21.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2) - KB919156 패치 이후 TFS 접근 문제
410정성태12/16/200620473오류 유형: 20.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1) - KB919156 패치
408정성태12/10/200622638Windows: 7. USB 드라이브 내용 암호화
407정성태12/10/200620246오류 유형: 19. Vista 에서의 VS.NET 2005 로 개발한 어셈블리에 대한 서명 확인 오류
406정성태12/10/200624997Windows: 6. IE 7 검색 공급자 - 영한 사전
403정성태12/6/200632125Windows: 5. Vista 와 웹 인증 등록 서비스의 문제 [5]
402정성태12/11/200623104Windows: 4. Vista 설치 후기 [1]
409정성태12/11/200627133    답변글 Windows: 4.1. Vista 설치 후기 - 두 번째 이야기 [3]
396정성태2/13/200729833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393정성태11/8/200619364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371정성태10/23/200618510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370정성태11/12/200622440.NET Framework: 75. Windows CardSpace 이야기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5정성태10/25/200624402    답변글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