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36.1. 개발 환경 구성: 34 - 1. RAID 1 구성 이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78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RAID 구성을 한번도 해본적이 없었기 때문에,
검색을 숱하게 해보며 신중하게 결정을 내렸었습니다.

MSI P45 Neo3-FR V2 - RAID 1 구성 
; https://www.sysnet.pe.kr/2/0/677

관련 글들이 예전 것도 많아서, 보드에서 지원하는 RAID는 문제가 발생한 경우 어떻게 알 수 있는지 모호하다는 식으로 써진 글들도 있어서 나름 많이 망설이기도 했습니다. 어쨌든, 약 2달 정도 써보았는데요. 아직 충분히 써봤다고 할만한 기간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만족하고 있다고 자신있게 말할 정도는 된 것 같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텐데, RAID 1 구성 후 문제가 발생하면 "Intel(R) Matrix Stroage" 제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트레이에 드럼통 2개를 겹쳐놓은 듯한 모양의 아이콘이 뜨게 됩니다.

[그림 1: RAID 1 상태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해당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면 콘솔이 뜨게 되고, 다음과 같이 열심히 검증및 복원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2: RAID 1 문제 확인 중...]


이 오류가 발생한 것은 제가 구매한 하드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성능을 높여보려고 "Write-Back Cache" 설정을 해둔 상태에서 컴퓨터 전원이 순간적으로 끊겨서 발생한 것이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 문제가 발생했음을 잘 알려주고 있으며 스스로 복구도 잘 하고 있습니다.

위의 경험 이후로, "Write-Back cache" 설정을 꺼 두었습니다.

그 이후로, 이런 식의 진단 기능이 한번 더 발생을 했었습니다. 그 때에도 컴퓨터가 전원이 나갔었는데, 아래와 같은 식으로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검사를 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림 3: RAID 1 문제 확인 중...]


그러니까, 지금까지 딱 2번 위와 같은 검증 작업이 있었습니다.

어떠세요? 이 정도면, 메인 보드에서 무료로 제공해주는 RAID라 할지라도 쓸만하죠. 위와 같은 일을 겪고 나니 한층 더 믿음이 갑니다. ^^ 다음에는, 실제로 하드에 문제가 생기면 어떤 식으로 복원되는지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가능한 그런일이 없으면 좋겠지만. ^^ 그야말로 무소식이 희소식이겠군요.)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8정성태12/3/201128942개발 환경 구성: 135. 마이크로소프트 TFS 호스팅 서비스 - Preview [3]
1187정성태12/2/201133806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1186정성태12/1/201135933.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85정성태11/29/201125502.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파일 다운로드1
1184정성태11/29/201129253.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
1183정성태11/26/201124019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
1182정성태11/25/201160527.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81정성태11/24/201130610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1180정성태11/23/201140378.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79정성태11/22/201130851.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178정성태11/19/201127517.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77정성태11/18/201132701.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176정성태11/17/201132236.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3]파일 다운로드1
1175정성태11/16/201130194.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4정성태11/15/201129494.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4]
1173정성태11/14/201125403.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1]
1172정성태11/13/201122380.NET Framework: 267. windbg - GC Heap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
1171정성태11/12/201139352.NET Framework: 266.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4]파일 다운로드1
1170정성태11/10/201128726.NET Framework: 265. Named 동기화 개체 생성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
1169정성태11/10/201131832.NET Framework: 264. 다중 LAN 카드 환경에서 Dns.GetHostAddresses(local)가 반환해 주는 IP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4]
1168정성태11/6/201127876오류 유형: 139. TlbImp : error TI0000 : A single valid machine type compatible with the input type library must be specified
1167정성태11/5/201139701개발 환경 구성: 13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5]파일 다운로드4
1166정성태11/5/201125944.NET Framework: 263. byte[] pData = new byte[100000]로 인한 성능 차이? [1]파일 다운로드1
1165정성태11/3/201131104개발 환경 구성: 132.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2.0 버전의 MSBuild를 구동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64정성태11/1/201129062.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1163정성태10/31/201128668.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