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의 닷넷 이야기
작은 글씨
큰 글씨
홈 주인
모아 놓은 자료
프로그래밍
질문/답변
사용자 관리
사용자
메뉴
아티클
외부 아티클
유용한 코드
온라인 기능
MathJax 입력기
최근 덧글
[정성태] Why is the name of the Microsoft Wi...
[정성태] 기존의 In-proc COM 개체를 surrogate 프로세스에...
[정성태] Announcing the Oracle Database Vect...
[정성태] 온라인에서 우연히 printf 계열의 format specifi...
[정성태] Hardware backwards compatibility ;...
[정성태] 10 Modern Commands for Your Termina...
[정성태] File-based App을 VSCode에서 쉽게 실행할 수 있...
[정성태] 저도 소켓은 꽤나 테스트를 하면서 진행을 하곤 합니다. 경험으로...
[정해성] 답변 감사합니다. 며칠 동안 검색도 해보고 GPT 에게도 물어봤...
[정성태] 1. 문서에도 나오지만 blocking 모드에서는 그런 경우가 ...
오늘 :
3
개 / 총 :
244
개
제가 직접 쓴 아티클을 모아두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No
Writer
Date
Cnt.
Title
File(s)
-
정성태
6/21/2012
10000
기부/후원
12410
정성태
11/12/2020
22512
디버깅 기술: 174. windbg - System.TypeLoadException 예외 분석 사례
12390
정성태
11/1/2020
24844
디버깅 기술: 173. windbg -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예외 분석 방법
12377
정성태
10/15/2020
24504
디버깅 기술: 172. windbg - 파일 열기 시점에 bp를 걸어 파일명 알아내는 방법(Managed/Unmanaged)
12342
정성태
9/24/2020
22188
디버깅 기술: 171. windbg - 인스턴스가 살아 있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12316
정성태
9/8/2020
21765
디버깅 기술: 170. WinDbg Preview 버전부터 닷넷 코어 3.0 이후의 메모리 덤프에 대해 sos.dll 자동 로드
12284
정성태
8/4/2020
20737
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12283
정성태
8/3/2020
23260
디버깅 기술: 168. windbg - 필터 드라이버 확인하는 확장 명령어(!fltkd)
[2]
12282
정성태
8/2/2020
19790
디버깅 기술: 167.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2)
12162
정성태
2/26/2020
27415
디버깅 기술: 166. C#에서 만든 COM 객체를 C/C++로 P/Invoke Interop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6]
2
12158
정성태
2/25/2020
21993
디버깅 기술: 165. C# - Marshal.GetIUnknownForObject/GetIDispatch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1
12157
정성태
2/25/2020
20940
디버깅 기술: 164. C# -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및 해결 방법
1
12148
정성태
2/19/2020
25533
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
정성태
2/19/2020
20881
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12133
정성태
2/5/2020
22587
디버깅 기술: 161.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12119
정성태
1/17/2020
23914
디버깅 기술: 160. Windbg 확장 DLL 만들기 (3) - C#으로 만드는 방법
12117
정성태
1/15/2020
22974
디버깅 기술: 159. C# - 디버깅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다른 디버거에서 연결하는 방법
1
12116
정성태
1/15/2020
24569
디버깅 기술: 158. Visual Studio로 디버깅 시 sos.dll 확장 명령어를 (비롯한 windbg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2115
정성태
1/14/2020
24577
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
1
12114
정성태
1/13/2020
25308
디버깅 기술: 156. C# - PDB 파일로부터 심벌(Symbol) 및 타입(Type) 정보 열거
[1]
3
12111
정성태
1/12/2020
24005
디버깅 기술: 155. C# - KernelMemoryIO 드라이버를 이용해 실행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DKOM: Direct Kernel Object Modification)
[16]
1
12110
정성태
1/11/2020
25124
디버깅 기술: 154. Patch Guard로 인해 블루 스크린(BSOD)가 발생하는 사례
[5]
1
12105
정성태
1/8/2020
20952
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2
정성태
1/6/2020
22175
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099
정성태
1/3/2020
24502
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7
정성태
1/2/2020
21677
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
정성태
12/30/2019
23107
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
2
[3]
4
5
6
7
8
9
10
제목
내용
작성자
전체
제니퍼 .NET
닷넷
COM 개체 관련
스크립트
VC++
VS.NET IDE
Windows
Team Foundation Server
디버깅 기술
오류 유형
개발 환경 구성
웹
기타
Linux
Java
DDK
Math
Phone
Graphics
사물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