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TechNet Magazine - Windows Vista의 이벤트 관리를 위한 새로운 도구 ; (broken) http://ms.inposti.com/korea/technet/technetmag/issues/2006/11/EventManagement/default.aspx 위의 토픽을 통해서 대략 Vista와 롱혼에 포함된 이벤트 뷰어의 향상된 기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향상된 "Windows Eventing 6.0"에 대응되는 새로운 로깅 API가 있을 텐데요. 코드명이 "Crimson"이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어떻게 바뀌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저도 마찬가지일 텐데 ^^ 가능하면 C++보다는 C#으로 프로그램을 하면 좋겠지요. Crimson과 관련된 .NET 래퍼는 다음에서 소개되고 있습니다. Raise Crimson Events from Managed Code Part 1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daiken/raise-crimson-events-from-managed-code-part-1 Raise Crimson Events from .NET Part 2 - The Manifest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daiken/raise-crimson-events-from-net-part-2-the-manifest Raise Crimson Events from .NET Part 3 - The DLL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daiken/raise-crimson-events-from-net-part-3-the-dll Raise Crimson Events from .NET Part 4 & 5 - Wrapping the API ; http://blogs.msdn.com/daiken/archive/2005/10/10/479059.aspx 참고로, 위 토픽들은 2005년에 씌여진 것들이기 때문에 Vista RTM에서는 바뀌었을지도 모릅니다. ................ [내용 추가: 2007-01-19] 일단, 프로그램은 위와 같은 식으로 할 수 있겠고, 사용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토픽을 보면 되겠습니다. WinINet ETW Tracing Support in Windows Vista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wndp/wininet-etw-tracing-support-in-windows-vista Event Tracing in HTTP.sys: Part 1 - Capturing a Trace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wndp/event-tracing-in-http-sys-part-1-capturing-a-trace Event Tracing in HTTP.sys: Part 2 - Anatomy of an Event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wndp/event-tracing-in-http-sys-part-2-anatomy-of-an-event ............... WinINET이나, HTTP.sys와 같은 빈번한 입출력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라면... 웬만한 프로그램들은 "Crimson"을 이용해서 디버깅 로그를 찍는 것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실, 기존 Event API로는 사건 중심의 내용을 기록할 지언정, 디버깅 로그까지 보낸다는 것은 권장이 안되었죠.) 무엇보다도 마음에 드는 것은... 시스템 운영 중에 동적으로 이벤트/추적 로그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배려. [다음 글] Visual C++ : 7. ATL Server 공유 소스 프로젝트로 공개(계획)[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68. Dotfuscator Stack trace decoding tool [연관 글] .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최초 등록일: 1/19/2007] [최종 수정일: 6/24/2021]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9-02 09시25분 FTP and ETW Tracing ; http://blogs.iis.net/robert_mcmurray/archive/2008/08/29/ftp-and-etw-tracing.aspx kevin25 2013-09-23 11시23분 Introduction Tutorial: Logging ETW events in C#: System.Diagnostics.Tracing.EventSource; http://blogs.msdn.com/b/vancem/archive/2012/07/09/logging-your-own-etw-events-in-c-system-diagnostics-tracing-eventsource.aspx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4정성태1/16/201227141.NET : 122. msiexec.exe를 닷넷으로 만들어 보면!11153정성태1/2/201232820개발 환경 구성: 146. SYSTEM 권한으로 UI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1152정성태1/2/201223679.NET : 121. PAARC - Windows Phone PC Controller1151정성태11/30/201124952.NET : 120. Lua 스크립트와 닷넷의 연동1150정성태11/9/201124831VS.NET IDE : 61. Game Debugging in Visual Studio 111149정성태11/4/201124105.NET : 119. Project2NuGet1148정성태10/6/201125950Debug : 49. Visual Studio 11 - 커널 디버깅 #11147정성태9/17/201127955Windows 8: 1. Windows 8 단축키1146정성태9/1/201127678SDK : 20. SxSTrace 도구 및 Visual C++ DLL을 함께 배포하는 방법1145정성태7/5/201127010.NET : 118. Windows Phone 7에서의 DPAPI 사용1144정성태6/29/201134798.NET : 117. CSV 파일을 다루는 방법 [1]1143정성태6/23/201125844VS.NET IDE : 60. VS Load Test - 부하 조절1142정성태6/23/201126776SDK : 19. LastWriteTime 과 ChangeTime 의 구분 [2]1141정성태6/23/201125144.NET : 116. Entity Framework 4 - Lazy Loading, Eager Loading [1]1140정성태6/23/201124718개발 환경 구성: 145. Using the multiple NICs of your File Server running Windows Server 2008 (and 2008 R2)1139정성태6/22/201126092Visual C++ : 18. Visual C++ 2010에 포함된 Asynchronous Agents Library1138정성태6/12/201124434.NET : 115. HTML 5 Host Application Framework for WP7 "MANGO” 1137정성태3/30/201124193SDK : 18. 파일을 Guid로 식별하는 함수 - OpenFileById1136정성태3/30/201121791Web : 9. HTTPS 통신과 Keep-Alive 연결 설정1135정성태3/28/201122534Web : 8. IE 9 - 변경된 Accept 헤더 정책1134정성태3/28/201121830Debug : 48. Start Debugging with Windbg1133정성태3/27/201120799Debug : 47. x64 호출 규약에서의 인자 값 찾는 방법1132정성태3/27/201123516.NET 3.0 : 36. WCF - net.pipe 통신의 실제 Named Pipe 이름 구하는 방법1131정성태3/27/201122013개발 환경 구성: 144. Windows Server 2008 R2 설치 및 설정1130정성태3/1/201121658.NET : 114. Axum... 1129정성태2/14/201120716.NET : 113. Running .NET applications in-process using AppDomain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