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TechNet Magazine - Windows Vista의 이벤트 관리를 위한 새로운 도구 ; (broken) http://ms.inposti.com/korea/technet/technetmag/issues/2006/11/EventManagement/default.aspx 위의 토픽을 통해서 대략 Vista와 롱혼에 포함된 이벤트 뷰어의 향상된 기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향상된 "Windows Eventing 6.0"에 대응되는 새로운 로깅 API가 있을 텐데요. 코드명이 "Crimson"이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어떻게 바뀌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저도 마찬가지일 텐데 ^^ 가능하면 C++보다는 C#으로 프로그램을 하면 좋겠지요. Crimson과 관련된 .NET 래퍼는 다음에서 소개되고 있습니다. Raise Crimson Events from Managed Code Part 1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daiken/raise-crimson-events-from-managed-code-part-1 Raise Crimson Events from .NET Part 2 - The Manifest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daiken/raise-crimson-events-from-net-part-2-the-manifest Raise Crimson Events from .NET Part 3 - The DLL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daiken/raise-crimson-events-from-net-part-3-the-dll Raise Crimson Events from .NET Part 4 & 5 - Wrapping the API ; http://blogs.msdn.com/daiken/archive/2005/10/10/479059.aspx 참고로, 위 토픽들은 2005년에 씌여진 것들이기 때문에 Vista RTM에서는 바뀌었을지도 모릅니다. ................ [내용 추가: 2007-01-19] 일단, 프로그램은 위와 같은 식으로 할 수 있겠고, 사용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토픽을 보면 되겠습니다. WinINet ETW Tracing Support in Windows Vista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wndp/wininet-etw-tracing-support-in-windows-vista Event Tracing in HTTP.sys: Part 1 - Capturing a Trace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wndp/event-tracing-in-http-sys-part-1-capturing-a-trace Event Tracing in HTTP.sys: Part 2 - Anatomy of an Event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wndp/event-tracing-in-http-sys-part-2-anatomy-of-an-event ............... WinINET이나, HTTP.sys와 같은 빈번한 입출력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라면... 웬만한 프로그램들은 "Crimson"을 이용해서 디버깅 로그를 찍는 것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실, 기존 Event API로는 사건 중심의 내용을 기록할 지언정, 디버깅 로그까지 보낸다는 것은 권장이 안되었죠.) 무엇보다도 마음에 드는 것은... 시스템 운영 중에 동적으로 이벤트/추적 로그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배려. [다음 글] Visual C++ : 7. ATL Server 공유 소스 프로젝트로 공개(계획)[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68. Dotfuscator Stack trace decoding tool [연관 글] .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최초 등록일: 1/19/2007] [최종 수정일: 6/24/2021]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8-09-02 09시25분 FTP and ETW Tracing ; http://blogs.iis.net/robert_mcmurray/archive/2008/08/29/ftp-and-etw-tracing.aspx kevin25 2013-09-23 11시23분 Introduction Tutorial: Logging ETW events in C#: System.Diagnostics.Tracing.EventSource; http://blogs.msdn.com/b/vancem/archive/2012/07/09/logging-your-own-etw-events-in-c-system-diagnostics-tracing-eventsource.aspx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75정성태3/7/200711990Debug : 9. 실행 시 IL 코드 교체 프로파일러674정성태3/7/200712509.NET 3.5 : 6. Orcas 3월 CTP 에 포함된 LINQ to Entities 예제 문제 수정673정성태3/7/200712533VS.NET IDE : 22. XML 편집시 XSD 를 이용한 인텔리센스 제공672정성태3/7/200712767개발 환경 구성: 84. Vista에서 ClickOnce 배포 환경 설정671정성태3/6/200712917개발 환경 구성: 83. 지문 인식기 관련 프로그래밍 [1]670정성태3/6/200712356개발 환경 구성: 82. Virtual PC 2007의 Vista에 대한 사운드 지원669정성태3/6/200712395VS.NET IDE : 21. Orcas - 프로젝트 속성창 버그668정성태3/6/200712250개발 환경 구성: 81. 소프트웨어적으로 Raid 0, 1, 5 구성하는 방법667정성태3/6/200712265TFS : 86. Orcas에서 변화된 TFS Workspace 관리 방식 3가지666정성태3/2/200712305VS.NET IDE : 20. Orcas - 스크립트 디버깅 기능 향상665정성태3/1/200712804.NET 3.5 : 5. 새롭게 추가된 네트워킹 기능664정성태3/1/200712520VS.NET IDE : 19. Visual Studio Code Metrics663정성태3/1/200712703VS.NET IDE : 18. Orcas에 포함된 새로운 웹 폼 디자이너662정성태3/1/200713437Office : 1. Visio 로 UI 프로토타입 설계661정성태3/1/200712453TFS : 85. Visual Studio Team System Guidance660정성태2/27/200712013.NET : 54. EntLib 3.0 의 새로운 AppBlock - Policy Injection659정성태2/25/200713189개발 환경 구성: 80. 새로운 버전의 FxCop 을 빌드 과정에 포함658정성태2/25/200714012TFS : 84. FxCop 사용자 정의 룰을 위한 단위 테스트 설정657정성태2/23/200714017Vista : 39. 2초 내에 Resume이 되도록 환경 설정656정성태2/21/200714307Vista : 38. 개발자를 위한 UAC 관련 문서655정성태2/21/200714263개발 환경 구성: 79. MSSQL Reporting Service 구성654정성태2/21/200713776.NET 3.0 : 14. System.IdentityModel.Selectors.CardSpaceSelector 클래스 소개653정성태2/21/200713818TFS : 83. 팀 빌드 과정에 ClickOnce 빌드 포함652정성태2/19/200714243개발 환경 구성: 78. FastCGI를 이용하여 Ruby on Rails 를 IIS 에서 구동651정성태2/18/200713949Vista : 37. x64 - 바이오스 업데이트650정성태2/17/200712768TFS : 82. ASP.NET - Team Build 후에 파일 복사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