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Assembly.LoadFrom Assembly.Load 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442
글쓴 사람
이성환 (vactorman at naver.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안녕하세요. Assembly.Load를 사용하다가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상황은 이렇습니다.

A(콘솔), B(DLL), C(DLL), D(DLL) 총 4개의 project 가 있습니다. (모두 한 솔루션 안에 있습니다.)

A가 실행되는 project 이고, B는 A에서 호출하여 동작할 메서드를 가지고 있는 클래스 입니다.

C는 특정 값을 들고 있는 클래스이며, D는 공통적으로 형변환을 수행할 목적으로 만든 interface 입니다.

각 project는

A 가 B, D를 참조하고 있고,

B 는 C, D를 참조하고 있고,

C 는 D를 참조하고 있습니다. (C는 D를 상속 받았습니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A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B를 참조하고 있고, 형변환을 위해 D를 참조 하고 있으나 C의 존재는 모르는 상황입니다.
(C처럼 D를 상속받은 임의의 클래스가 더 추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는 C와 같은 임의의 클래스 모르며 C와 같이 dll 파일을 로드하여 D로 형변환하여 B에게 넘겨 주기면 하면 되는 상황입니다.

B는 실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C 타입을 알고 있으며 D 타입으로 넘어온 객체를 C 타입으로 형변환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합니다.

실제 A가 시작되면

C.dll을 Assembly.Load()를 이용해 Assembly 객체를 얻고 다시 여기서 GetType(클래스이름) 으로 Type 객체를 얻습니다.

이 Type 객체를 Activator.CreateInstance()으로 object로 얻어온 뒤 이 객체를 D로 형변환 합니다.

형변환된 D객체를 B에 넘기면, B에서는 D를 다시 C로 형변환 한 후 특정 동작을 수행합니다.
 
 
글로 설명하려니 엄청 복잡하네요.

여튼,

문제는 여기서 Assembly.Load() 를 이용해 C를 인스턴스 하면 이후 B에서 형변환할 때 실패 한다는 것입니다.

Break Point를 걸어서 형변환 여부를 확인해보면 Debug Watch 창에서는 모두 성공한 것으로 나옵니다.(is, as 모두 성공)

하지만 실제 코드가 수행되면 형변환은 실패합니다.

그래서 Assembly.Load() 대신 Assembly.LoadFrom()으로 C를 인스턴스 하면 형변환에 성공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진행됩니다.
(설명은 복잡한데 첨부한 예제를 보시면 바로 이해하실 거라 믿습니다. 언어의 한계가... ;ㅅ;)


제가 알기론

Assembly.LoadFrom()은 내부적으로 Assembly.Load()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물론 전달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Assembly 검색 수준이 달라지겠지만...)

결국 결과가 같은 동작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아니었나 봅니다.

왜 이런걸 까요?(미천한 영어 때문에 이런 주제로는 구글을 돌려도 잘 모르겠더군요...;ㅅ;)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3/2012]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5-23 09시58분
Load와 LoadFrom은 다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 아주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BindingContext - Load() vs. LoadFrom()
; http://dalbong2.net/entry/BindingContext-Load-vs-LoadFrom
정성태
2012-06-01 09시30분
[이성환] 잘 이해가 안 되지만...

결론은 LoadContext와 LoadFromContext의 차이인 것이군요.

AppDomain의 격리를 위해 로딩 방식이 다른 두 Context가 공유되지 않는다 정도로 이해했습니다.

몇 가지 어셈블리 로딩 시 주의해야할 점을 공부하게되었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__)\
[gues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3이지수10/6/201219156vbs [1]
1092김성수9/20/201220359안녕하세요? MS Windows server 2008 R2 에서 IIS7 의 SSL 설정시에 에러 해결좀 도와주세요 [1]
1089한상욱9/13/201220210azure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088김영대9/12/201222858DirectX.AudioVideoPlayBack 참조하여 wav 재생기를 제작하여 SmartClient 를 이용하여 aspx 페이지에 Embed 하는 과정의 질문 사항입니다. [2]
1087한우주9/10/201223430SSL 모든 웹페이지에 적용해야하나요? [2]
1086한우주9/4/201221143SSL 인증서 범용으로 사용하기 [3]
1085한우주9/4/201218986개발환경구성 18.3.1 에 대한 문의 [2]파일 다운로드1
1084김종하9/3/201219997team foundation express 2012에서 새 프로젝트 생성... [3]
1082김대경8/23/201218908windows2008 에서 ActiveX 사용 시 문제점. [3]
1091김대경9/20/201218980    답변글 [답변]: windows2008 에서 ActiveX 사용 시 문제점. [2]파일 다운로드1
1081Seon...8/20/201220945WCF 파일 업,다운로드 문제 [2]
1080배동선8/13/201220124정품 라이센스 인증 개발에 대해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4]
1079송준호8/11/201217906basicHttpBinding stream 전송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1078Ho S...8/10/201217031윈도우폰 지도 구현에서 ㅠㅠㅠ 질문드립니다. [1]파일 다운로드1
1077한우주8/6/201219704웹서비스 호출 후 세션 유지하기 [1]
1076이성환8/2/201220313dynamic 변수 할당은 도대체 어디에???? [1]
1073pass...7/24/201219670c# 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에 관련해서.. [3]
1072일반인7/23/201222336rss 만드는 방법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5]
1069임경훈7/20/201223702아래와 같은 오류후 IIS가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1]
1068신호철6/15/201221894ClassLibrary COM+ 등록 안되는 현상 [2]
1067김은주6/14/201232100소스세이프 사용시 pfx 파일 빌드 실패 [3]
1066너무초보6/3/201218507안녕하세요! 디렉토리 삭제 오류 질문 좀 드립니다. [4]
1065이성환5/23/201220442Assembly.LoadFrom Assembly.Load 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2]파일 다운로드1
1064푸우5/21/201219280GPU 디바이스 재시작시 WPF + .NET 3.5 기반 어플리케이션 UI 문제 [2]
1063발코더5/20/201219158귀신 곡할 상황 질문입니다. [3]
1062김규덕5/12/201219510ffmpeg 관련 조언 구합니다. [2]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