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아래와 같은 오류후 IIS가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759
글쓴 사람
임경훈 (handahan at empa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안녕하셨습니까?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기억하실지 모르겠네요... 제일은행 프로젝트에서 인연이 있었던 임경훈입니다. 같이 식사도 한 번 했었는데...
잘 지내시죠?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구축한 서버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고 IIS를 죽여버리더라구요...
원인을 찾을 수 가 없어서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권한설정같은게 이유일까 싶은데... 도무지 못찾겠네요... 현재는 하루에 한 번꼴로 IIS가 죽어서 초 긴장상태입니다.
바쁘시겠지만 의견좀 주십시오.
그럼 수고하세요..
-----------------------------------------------
이 COM+ 응용 프로그램이 불안정한 상태이거나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표시하는 상태가 발생했습니다. 어설션 오류: !m_fManagedObject

서버 응용 프로그램 ID: {A512A745-F73D-4923-B321-1424EB33A39F}
서버 응용 프로그램 인스턴스 ID:
{947BB4B3-1F79-44AF-B95D-7BA2E324C525}
서버 응용 프로그램 이름: MBN.NRCS.BIZ
심각한 오류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습니다.
COM+ 서비스 내부 정보:
파일: d:\nt\com\complus\src\comsvcs\jit\jit.cpp, 줄: 933
Comsvcs.dll 파일 버전: ENU 2001.12.4720.3959 shp

자세한 정보는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에 있는 도움말 및 지원 센터를 참조하십시오.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0/2012]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7-20 01시20분
넵. 물론입니다. 당연히 기억하지요. ^^

오류 메시지를 보니... 음... ^^ 초 긴장할 만한 문제가 맞을 것 같습니다. 일단, 오류만 봐서는 현재로서는 알아낼 수 있는 것이 없어 보이고요.

이런 경우는 dump 파일을 뜨는 것이 최선입니다. 해당 COM+ 가 IIS를 죽이는 정도라면, 혹시 COM+ 응용 프로그램이 Library 유형인가요? 그렇다면, w3wp.exe 프로세스가 비정상 종료할 때 덤프를 남기고요. 만약 COM+가 서버유형이라면, dllhost.exe 에 대해 덤프를 남기는 것이 좋습니다.

비정상 종료시에 덤프를 남기려면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 http://www.sysnet.pe.kr/2/0/996

덤프 파일을 구했으면, 이제 분석을 해야하는데요. 일단, 팀 내에서 windbg를 잘 아는 친구가 있다면 분석을 담당하게 하거나... 아니면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지원팀에 지원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덤프 파일을 구한후,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일단 임시적으로 서비스 안정화를 위해 COM+ 응용 프로그램을 '서버'유형으로 바꾸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서버 운영체제의 패치는 다 받으신 상태로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668정성태6/30/200716013    답변글 [답변]: 안녕하세요^^
663모름이6/19/200714307Microsoft.Framework 에서 OLE DB 사용하려면.. [1]
664모름이6/20/200715408    답변글 [추가질문]: 다른 OLE DB 를 사용하려면..
662조성택6/13/200715739C#에서 string클래스.. [1]
660신동열6/11/200717092ClickOnce 업데이트시 이전 버젼 제거오류 [1]
659한귀순6/11/200718183윈폼 프로그램 및 디자인. [2]
661한귀순6/12/200715539    답변글 [추가질문]: 윈폼 프로그램 및 디자인. [3]
657정해봉6/8/200726655요청 시간 초과 오류 [2]
655이방은5/28/200716895성태님 UML 도구 뭐 쓰십니까??? [1]
654임정훈5/23/200715613카드스페이스 관련질문
658정성태6/9/200716307    답변글 [답변]: 카드스페이스 관련질문 [1]
653사다수스5/22/200737327아래한글(HwpCtrl) ocx 메모리 릭 문제입니다. [4]파일 다운로드1
645송원석5/15/200718657ASP 의 ByVal 과 ByRef 특성
646정성태5/15/200718449    답변글 [답변]: ASP 의 ByVal 과 ByRef 특성
647송원석5/16/200718781        답변글 [답변]: [답변]: ASP 의 ByVal 과 ByRef 특성 [1]
648정성태5/16/200717442            답변글 [답변]: [답변]: [답변]: ASP의 ByVal과 ByRef 특성 [1]
649장윤태5/16/200716597                답변글 [답변]: [답변]: [답변]: [답변]: ASP 의 ByVal 과 ByRef 특성
650정성태5/16/200714925                    답변글 [답변]: [답변]: [답변]: [답변]: [답변]: ASP의 ByVal과 ByRef 특성 [2]
643해운대끓...5/15/200714017Singleton 패턴 테스트중 하나의 윈폼만 열기 오류파일 다운로드1
644정성태5/15/200715071    답변글 [답변]: Singleton 패턴 테스트중 하나의 윈폼만 열기 오류 [1]
642조성택5/10/200715842스레드와 WinINet? [1]
641한귀순5/8/200714555Code Obfuscate 에 관한 질문. ^^ [2]
640박희진5/7/200714420스마트 클라이언트에서 ActiveX 브라우저 컨트롤을 사용한 경우 javascript 문제 [1]
639김재영5/3/200721783webBrowser클래스에서 띄워지는 Javascript 오류 다이얼로그를 감지할 수 있습니까? [2]
638최민규4/29/200714986SmartPhone / PDA 등에서의 .NET Smartclient [1]
636라이프가드4/27/200715921Insert 오류입니다. CLOB ........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