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안녕하십니까.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아 여쭙고자 합니다ㅠ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254
글쓴 사람
김형지 (branchofvine at nate.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안녕하십니까.

프로그래밍에 문외한인데도 불구하고, 검색을 통해 이곳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바쁘시겠지만 꼭 좀 보아주십사 합니다ㅠ 염치 불구하고 부탁 드리겠습니다..


저는 현재 IBM사에서 제작한 SPSS Statistics v.22와 연동되는 프로그램인 SPSS AMOS v.22의 실행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것에 대한 해결을 여쭙고자 질문을 드리려 합니다.

(SPSS Statistics v.22 및 SPSS AMOS v.22는 각각 다음의 링크에서 다운이 가능합니다:

http://www14.software.ibm.com/webapp/download/search.jsp?pn=SPSS+Statistics

http://www14.software.ibm.com/webapp/download/search.jsp?pn=SPSS+Amos)


현재 노트북에서 Windows 7 Ultimate K 64-bit를 OS로 사용하고 있으며, .NET Framework의 버전은 4.5.1입니다.

CPU/RAM/Graphic card는 각각 Intel(R) Core(TM) i7-3621QM CPU @ 2.10 GHz에 8.00GB RAM, 그리고 NNIDIA GEFORCE GT 650M 2GB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식/데모버전에 관계없이, SPSS Statistics v.22는 잘 동작되지만,

SPSS AMOS v.22는 자꾸 에러가 납니다. SPSS AMOS graphics를 실행시에 다음과 같은 error message가 출력됩니다:



'bitmaps/cmd038_NewFile.png' 텍스트에서 'ImageSource'을(를) 만들지 못했습니다.

위치: System.Windows.Markup.WpfXamlLoader.Load(XamlREader xamlReader, IXmlObjectWriterFactory writerFactory, Boolean skipJournaledProperties, ObjectrootObject, SamlObjectWriterSettings settings, Uri baseUri)
위치: Syetem.Windows.Markup.WpfXamLoader.LoadBaml(XamlReaderxamlReader, Bolean skipJournaledProperties, Object rootObject, XamlAccessLevel accessLevel, Uri baseUri)
위치: System.Windows.Markup.XamlReader.LoadBaml(Stream stream, ParserContext parserContext, Object parent, Boolean closeStream)
위치: System.Windows.Application.LoadComponent(Object component, Uri resourceLocator)
위치: AmosGraphics.wpf_Mform.InitializeComponent()
위치: AmosGraphics.wp_Mform..ctor()
위치: AmosGraphics.x9ccc0bd066aa70e.x49979f67d7c59052()
위치: AmosGraphicsCLI.x54bb443dc45710c1.xc447809891322395(String[]x970384ad94068743)


간절히 해결을 받고 싶습니다ㅠ

아무쪼록 도와주시길 부탁드립니다ㅠ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6/2013]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11-06 01시05분
이 문제는 저보다는 IBM 측의 고객 지원 센터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설령 문제를 안다고 해도 이런 경우, 제조사가 아니면 고칠 수 없는 상황이 더 많습니다.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301질문합니...2/27/202015306소켓 대량 데이터 디자인 문의 [1]
5300nals...2/27/202016158vs2013에서 BinaryFormatter Serialize 후 vs2015에서 Deserialize시 예외 발생 [3]파일 다운로드1
5298질문2/26/202018184.lic 파일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9]
5297임한승2/26/202014040vs2013에서 BinaryFormatter Serialize 후 vs2015에서 Deserialize시 예외 발생 건 [1]파일 다운로드1
5295나그네2/25/202016780클라이언트 PC 정보 조회관련.. [2]
5294닷넷초보ㅠ2/25/202017217윈폼으로 socket통신프로그램 만든후 release로 디버깅한 실행파일을 다른컴퓨터에서 실행할때 반응이없어요 [1]
5293탱코2/21/202016978검색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검색을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1]
5292아부리2/19/202016188XingApiNet 관련 질문 [3]
5291지현명2/15/202018121JsonConvert.Serialize 하고 Deserialize 할때 간헐적으로 한글 깨짐 현상 문의 합니다. [3]
5290베도빈2/15/202017144직접 제작한 사용자 정의 콘트롤 DLL, 실행파일에 포함시켜 배포할 수 있을까요? [1]
5288김성배2/14/202017063c# 참조추가 기능에서 DirectX 참조가 보이지 않아요.. DircetX 11 은 설치 되어 있습니다. [1]
5287C# 초...2/14/202014943프로그램 실행 질문 드립니다. [4]파일 다운로드1
5286gongs2/3/202025577윈도우 배율 및 레이아웃에 대한 질문입니다. [3]
5285강성욱1/27/202017689작업관리자에 표시되는 스레드 개수와 프로그램 내 스레드 개수 일치 [1]
5284이상준1/15/202024473출력창에 '스레드가 종료되었습니다' 문구 문의 [2]파일 다운로드1
5282봉봉이 1/13/202019034소켓 비동기 ReceiveTimeOut 구현 [9]파일 다운로드1
5281봉봉이 1/13/202017979소켓 비동기 ReceiveTimeOut 구현 [2]
5280sdd1/8/202015443데이터 저장, 배치파일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4]
5279김창한12/27/201916729dsoframer ocx [3]
5278guest12/27/201915123CLR 스레드 풀 관련 질문 [1]
5277방문자12/26/201915282WindowsForm 질문드립니다. [3]
5276진우12/17/201918555c++/c# 에도 파이썬 가상환경 같은 기능 혹시 있는지 궁금합니다. [3]
5275송재필12/17/201916823아래 'c#8.0 프로그래밍 교제 예제 관련 문의 드립니다' 의 원인이 압축 파일의 문제인듯 합니다. [2]파일 다운로드1
5272정영훈12/13/201917938byte => string => byte 변환 문의드립니다. [5]파일 다운로드1
5270김세미12/3/201916612c#8.0 프로그래밍 교제 예제 관련 문의 드립니다. [4]
5269달려라라...12/2/201917450C# winform(framework) tabcontrol 에서 button 함수 관련 질문 [3]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