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질문] Windows Error Reporting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526
글쓴 사람
이창주 (changju.rhee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아래와 같은 이벤트 에러 로그가 있어 질문 올립니다.

ImageDelegateSample.exe 라는 프로그램은 제가 만든 것인데요. 프로그램이 랜덤하게 죽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미지 버퍼에 복사하는 코드에서 자꾸 AccessViolation이 발생하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이벤트 로그1 --

오류 버킷 , 유형 0
이벤트 이름: APPCRASH
응답: 사용할 수 없음
Cab ID: 0

문제 서명:
P1: ImageDelegateSample.exe
P2: 0.0.0.0
P3: 52e109aa
P4: ATL100.DLL
P5: 10.0.40219.325
P6: 4df2bce8
P7: c0000005
P8: 000000000000109d
P9:
P10:

첨부 파일:
C:\Users\user\AppData\Local\Temp\WER383A.tmp.WERInternalMetadata.xml
C:\Users\user\AppData\Local\Temp\WER4323.tmp.appcompat.txt
C:\Users\user\AppData\Local\Temp\WER4382.tmp.hdmp
C:\Users\user\AppData\Local\Temp\WER5EB1.tmp.mdmp

이 파일은 다음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Users\user\AppData\Local\Microsoft\Windows\WER\ReportQueue\AppCrash_ImageDelegateSam_40fcc6b3c772e8594950f7eed6a25231ad1e562_cab_0a93614c

분석 기호:
해결 방법 재확인: 0
보고서 ID: ae0c7bbc-84d8-11e3-aaf1-e0de2fe65149
보고서 상태: 4

이벤트 로그2 --

오류 있는 응용 프로그램 이름: ImageDelegateSample.exe, 버전: 0.0.0.0, 타임스탬프: 0x52e109aa
오류 있는 모듈 이름: ATL100.DLL, 버전: 10.0.40219.325, 타임스탬프: 0x4df2bce8
예외 코드: 0xc0000005
오류 오프셋: 0x000000000000109d
오류 있는 프로세스 ID: 0x10f0
오류 있는 응용 프로그램 시작 시간: 0x01cf1835e8c36de7
오류 있는 응용 프로그램 경로: C:\02 program\work\bin\ImageDelegateSample.exe
오류 있는 모듈 경로: C:\Windows\system32\ATL100.DLL
보고서 ID: ae0c7bbc-84d8-11e3-aaf1-e0de2fe65149

이벤트 로그3 --

응용 프로그램: ImageDelegateSample.exe
Framework 버전: v4.0.30319
설명: 처리되지 않은 예외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습니다.
예외 정보: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스택:
   위치: Cognex.VisionPro.CogImage8Grey.Copy(Cognex.VisionPro.CogImageCopyModeConstants)
   위치: ImageDelegateSample.ClientManager.CopyToCogBuffer(IntPtr)
   위치: ImageDelegateSample.ClientManager.HandleImage(ImageInfo ByRef)
   위치: Jai_FactoryDotNET.CCamera.HandleImage(ImageInfo ByRef)
   위치: Jai_FactoryDotNET.CCamera+StreamWork.StreamThread()
   위치: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Boolean)
   위치: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위치: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이벤트가 발생한 시스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운영 체제 버전
Windows 7 Pro K (64 bit)

?CPU 또는 프로세서
Intel(R) Xeon(R) CPU E5620 @ 2.40 GHz, 2.40 GHz (2개 프로세서)

?비디오 카드 (도: 그래픽 장치, 비디오 어댑터 또는 GPU)
NVidia GeForce GT 610

?시스템 메모리 (RAM)의 양
16 GB

?하드 디스크의 크기와 모델
1 TB

?모델을 사용 하고 문제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버전
VS2010 Pro에서 개발하였고, C#, .NET4.0

?바이러스 검색 프로그램이 나 사용 중인 맬웨어 검사의 버전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5/2014]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1-25 01시18분
콜스택에 이미 힌트가 나와 있고 소스코드는 이창주님이 가지고 있으므로 더 잘 아셔야 할 것 같은데요. 저는 이 정도의 정보로는 알 수 없습니다.
정성태
2014-01-26 02시31분
[이창주] 포스팅하셨던 글들을 주욱 보니...아래 글에 대한 정성태님의 답변을 보았습니다. 저두 64비트 OS에 VS2010으로 빌드 시 빌드 구성을 AnyCPU로 설정을 해서 빌드를 하는데요. 이게 문제가 아닐까 싶어 x64로 구성을 바꿔 빌드 해서 돌려 봤는데요. 아직까지는 죽지 않더라구요. 보통 12시간 이내에 프로그램이 죽었는데 말이죠... 개발한 프로그램을 32비트와 64비트 모두 사용을 하다보니 AnyCPU로 설정을 하게 되었는데... 이게 문제가 있을 줄이야...하고

http://www.sysnet.pe.kr/Default.aspx?mode=3&sub=0&pageno=0&detail=1&wid=996
http://blogs.msdn.com/b/rmbyers/archive/2009/06/08/anycpu-exes-are-usually-more-trouble-then-they-re-worth.aspx

[guest]
2014-01-26 10시53분
그 글은 이 문제와 상관이 없습니다. 지금 문제가 없으시다면 다른 방법으로 인해 수정되었거나, 아니면 운이 좋은 상태로 아직까지 살아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32비트/64비트가 문제였을 정도라면 그다지 시간이 걸리지 않고 곧바로 종료되었을 것입니다.
정성태
2014-02-03 03시10분
[이창주] 네, 그 문제가 아니었네요. 포스팅 하고 확인해 보니, 또 죽더군요. 포스팅 글 삭제가 안되어서 그냥 나뒀는데..역시나...
VS2010에선 아무튼 x64로 빌드하는게 맞겠지요 ?
[guest]
2014-02-03 01시08분
VS2010에서 빌드한다고 x64로 하라는 기준은 없습니다. 서버 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라면 x64가 좋겠고, 대상이 정해지지 않은 클라이언트에 배포하는 것이라면 x86으로 해도 좋습니다. x64 빌드는 개발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닙니다. ^^

지금 문제는, 랜덤하게 죽는다고 했는데요. 그렇다면 이를 x86으로 빌드해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충 콜스택을 보니 native와 연동하는 것 같은데요. 그 쪽에 전달하는 버퍼를 고정(pin)시키고 보내는 것 맞나요? 관리 코드에서 비관리 코드로 버퍼의 포인터를 전달할 때는 반드시 pinning을 해야 합니다.
정성태
2014-02-03 01시19분
[이창주] 관리코드에서 비관리코드로 버퍼의 포인터를 아래와 코드와 같이 pinning을 사용하여 전달하고 있습니다.
private void HandleImage(ref Jai_FactoryWrapper.ImageInfo ImageInfo)
        {
            try
            {
                if (recipe.CameraInfo[indexID].Use)
                {
                    byte[] byteArray = null;
                    if (ImageInfo.ImageBuffer != IntPtr.Zero && ImageInfo.ImageSize == int.Parse(myWidthNode.Value.ToString()) * int.Parse(myHeightNode.Value.ToString()))
                    {
                        byteArray = new byte[ImageInfo.ImageSize];
                        GCHandle pinnedArray = GCHandle.Alloc(byteArray, GCHandleType.Pinned);
                        IntPtr pointer = pinnedArray.AddrOfPinnedObject();
                        CopyMemory(pointer, ImageInfo.ImageBuffer, ImageInfo.ImageSize);
                        CopyToCogBuffer(pointer);
                        pinnedArray.Free();
                    }
                }
            }
            catch (Exception ex)
            {
                log.AddErrorLog(this.Name, MethodBase.GetCurrentMethod().Name, string.Format("Error Occured : MESASGE[{0}]\r\nSOURCE[{1}]\r\nTRACE[{2}]", ex.Message, ex.Source, ex.StackTrace));
            }
        }
[guest]
2014-02-03 01시23분
[이창주] 이벤트 로그를 보면 항상 오류있는 모듈 경로로 ATL100.dll 에서 Application Error 가 같이 발생하는 데요. 이것과는 정말 무관한 것인지 ?
[guest]
2014-02-04 01시54분
이 정도면 단순 질문답변으로 풀기에는 어려울 듯 싶군요. atl dll에서 오류가 나는 것은 atl의 잘못이 아니고, 대개의 경우 atl에서 export한 함수를 호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결국 콜스택에 자신의 코드가 있다면 그것을 의심하는 게 맞습니다.

암튼, 꼭 해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239장강현9/14/200514986SmartClient에서의 배포 문제에 대해 [2]
238이순원9/13/200510351디버깅 할때 native 옵션껐는데두 너무 느려요.. [1]
236코디9/12/200510320[질문]런타임 보안 배포 [1]
237코디9/13/200510852    답변글 [재질문]: [질문]런타임 보안 배포 [1]파일 다운로드1
235임은선9/9/200512925스마트 클라이언트 배포시 환경파일인 app.config는 어떻게 배포 해야하나요...? [2]
234임은선9/7/200511676스마트 클라이언트 보안문제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2]
233이한욱8/31/200519733가상 시리얼 포트(Virtual COM Port) 만들기 [1]
232정준명8/30/200511358[질문] HTTP 모듈/핸들러 또는 RewriteURL 관련입니다. [4]
231이진일8/30/200510482참조한 dll 들은 어떻게 배포하나요...? [1]
2303028/29/200511293[질문] 웹에서 Exchange Server 사용자 추가 [2]
229김재명8/26/200510962성태님의 홈페이지 J & J의경우 보안모듈을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1]
227임규진8/24/200510791리소스 파일에 그림 첨가하는 방법 좀 알려 주세요. [1]
226최인호8/19/200510819스마트 클라이언트 exe 버젼 실행시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 [1]
225코디8/17/200510991[질문]닷넷프레임워크 설치여부 [1]
224박준현8/17/200510598[질문]중첩 그리드라고 해야 할까요? [1]
223매커7/28/200510003강좌 잘 읽었습니다. [1]
222김지영7/27/200511479C#에서 oledb 사용하다가 에러 [2]
221박민우7/26/200512029스마트클라이언트에서의 DB접속 [1]
220테드7/22/200510952스마트 클라이언트에서 원치 않는 패킷 송수신 문제... [3]
219김종욱7/21/200511461안녕하세요... 툴밴드 콤보 박스에 대해.. [1]
2187/21/200510106스마트 클라이언트에 대한 질문 입니다. [1]파일 다운로드1
217왕초보7/21/200510706마소강좌의 AxForSmartClient 를 실행시키고 싶은데요... [1]
215궁금증6/23/200510199도대체 이게 무슨 에러 일까요... [1]
213궁금이6/18/200511879Winform 형태의 NTD에서 사용자 로그인 성공 여부 정보 유지하는 방법 [1]
212궁금이6/16/20059880ActiveX 컨트롤이 NTD에 이상이 없는지요? [1]
211류성태6/15/200510411smart client에 관하여....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