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COM+ 의 활성화 상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636
글쓴 사람
탑 (develtop at empa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이전 vb 로 작성되는 com+ 서비스용을 닷넷용으로 첨 해봅니다.

COM+ 로 소스를 작성 하였습니다.
그런데 객체를 사용하고 난 후 구성요소 서비스에서 계속 활성화 상태로 남아 있는데...
어떤 문제인지 ....

요지는...

아래와 같이 A, B 가 있다고 할적에 모두 COM+ 에 등록 되었습니다.

A 라는 COM 에서 B - oDAL - 를 호출하여 사용하고 난 후

Dispose 하고 Nothing 처리를 해 주었는데
구성요소 서비스에서 개체 상태를 살펴보면 A 라는 놈은 서비스 되고 난 후
0 로 되어 있는데 B 라는 놈은 1 로 계속 활성화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것을 계속 호출하면 A 라는 놈은 0로 즉시 되는데 B 라는 놈은 숫자가 계속 올라 갑니다.
이런 식이라면 .. 여러 사용자가 계속 호출할 경우 메모리가 오버 되지 않을 까 걱정 입니다

Try
            oDal = CreateObject(gaCert(9))
            fnkgb011nq = oDal.Connect(gaCert)
            If fnkgb011nq <> "" Then Throw New Exception(fnkgb011nq)

            ...................................

            fnkgb011nq = oDal.GetRecordset(sSql, vRtn)
            If fnkgb011nq <> "" Then Throw New Exception(fnkgb011nq)

        Catch oErr As Exception
            fnkgb011nq = My.Application.Info.AssemblyName & "." & "[fnkgb011nq]" & vbCrLf & oErr.Source & vbCrLf & oErr.Message
        Finally
  

            If Not IsNothing(oDAL) Then
                oDAL.Disconnect()
                oDAL.Dispose() ---> 데이타베이스 전담 com
                oDAL = Nothing
            End If

             Dispose()
        End Try

oDAL 을 작성시
--------
Option Strict Off
Option Explicit On

Imports Microsoft.VisualBasic
Imports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Imports System.EnterpriseServices


<System.Runtime.InteropServices.ProgId("PUB_Zaaex.CZaaxt"), _
    JustInTimeActivation(True), EventTrackingEnabled(True), _
    System.EnterpriseServices.TransactionAttribute(System.EnterpriseServices.TransactionOption.NotSupported)> _
Public Class CZaaxt
    Inherits ServicedComponent
-------------------
이렇게 해주었습니다.

-- 그리고 또 하나는 이전 vb 로 작성하고 com+ 에 등록했을때는 해당 클래스에 작성된 메소드들이 다 보였는데
닷넷으로 만들고 난 후에는 메소드들이 안보이는데 어떤 속성을 추가 해야 하는지요?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7/2005]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5-11-16 10시34분
Marshal.ReleaseComObject 메서드를 활용해 보십시오. 그리고, 테스트를 위해 메서드 하나 호출하지 않고, 생성 한 후 마로 release 했을 때와 비교해 가면서 하십시오.

그나저나... oDal 개체가 COM+ 등록된 거 맞나요? COM+ 는 상태 비저장 개체입니다. 지금 "탑" 님이 만드신 것은 무늬만 COM+ 일 뿐, 일반 COM 개체와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COM+ 로 올려놓게 되면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합니다.

참고로, .NET 에서는 Server 유형으로 COM+ 만드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AppDomain 고립의 안정성으로 인해 Library 유형으로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메서드들이 안 보인다고 하셨는데... public 으로 되어 있는 메서드들이 안보인다는 것인가요? 그럼, 문제겠지만... 이외의 private, protected 메서드들이 안 보이는 것은 당연합니다.
kevin25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8최세정4/28/201420641안녕하세요~php module 오류로 고민하다가 여기까지 왔네요..ㅜㅜ [2]
1252popo4/21/201420007바인딩 질문입니다. [2]
1251(non...4/20/201424158(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11]
1249홍용규4/17/201424375app.config 파일 관련 질문 있습니다. [2]
1246(non...3/30/201420142(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1]
1245POPO3/26/201419511Http 프로토콜 관련 질문 입니다. [1]
1244(non...3/26/201419166(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1]
1241(non...3/22/201422532(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4]
1240이석주3/21/201425428인터넷 익스플로러가 hang이 걸리는 현상 문의 [1]파일 다운로드1
1238(non...3/13/201419569(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
1237(non...3/11/201419445(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
1236(non...3/11/201420339(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
1235(non...3/10/201418827(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
1234(non...3/10/201423436(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3]
1233(non...3/9/201421160(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4]
1232(non...3/8/201419875(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
1231(non...3/7/201420809(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9]
1230POCO3/7/201421222쓰레드 안에서 DependencyProperty get, set시 또 다른 스레드 오류.. [1]
1229(non...3/6/201422474(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11]
1228POCO3/6/201420076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1]
1226김형진3/4/201430311안녕하세요 windows azure에 관해 질문했던 사람입니다. [2]
1224(non...3/3/201426069(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11]
1223sadf...3/3/201420082아래 질문에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1]
1222(non...3/2/201420175(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4]
1221(non...3/1/201420858(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
1220Until2/28/201419337질문드립니다.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