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MemoryStream에 관한 질문 입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459
글쓴 사람
후배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안녕하세요 선배님.

1. OpenFileDialog를 이용하여 a.png 파일의 경로 취득
2. 취득한 경로로 Image객체 취득
3. File.ReadAllBytes와 취득한 경로를 이용하여 byte[] 취득 -- a
4. MemoryStream과 Image객체를 이용하여 byte[] 취득 -- b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a,b라는 2개의 byte[]을 취득 하였습니다.
동일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취득한 것이기 때문에 2개의 배열의 길이는 같게 나올줄 알았지만
Console로 찍어보니 서로 길이가 다르게 나옵니다.
혹시 이와같은 증상의 이유와 더불어 동일한 byte[]를 취득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



아래 예제 코드는 실제 길이 값을 비교했던 코드 입니다.

        // 이미지 불러오기
        private void button_file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OpenFileDialog of = new OpenFileDialog();
            of.Filter = "png 파일(*.png)|*.png";
            if (of.ShowDialog() == DialogResult.OK) {
                // 선택한 파일의 크기: 113KB (116,090 바이트)
                // 선택한 파일을 Image로 변환
                System.Drawing.Image img = Image.FromFile(of.FileName);
                
                // byte배열로 변환시 크기 비교
                byte[] b1 = File.ReadAllBytes(of.FileName);
                byte[] b2 = imageToByteArray(img);
                Console.WriteLine(b1.Length); // 결과: 116,090
                Console.WriteLine(b2.Length); // 결과: 129,770
            }
        }

        // Image -> byte[]
        private byte[] imageToByteArray(System.Drawing.Image image) {
            System.IO.MemoryStream ms = null;
            byte[] data = null;
            try {
                ms = new MemoryStream();
                image.Save(ms, image.RawFormat);
                data = ms.ToArray();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e);
            } finally {
                if (ms != null) {
                    ms.Close();
                }
            }
            return data;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3/2016]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12-13 08시19분
테스트한 png 파일을 Image.Save로 저장한 PNG 파일로 테스트 해보세요. 그럼 동일하게 나올텐데요, PNG는 파일 포맷 규약일 뿐 구현하는 것은 누구나 임의대로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원본 데이터는 바뀔 일이 없겠지만, 저장 방식에 따라 크기는 다소 차이날 수 있습니다. (아마, 질문자 역시 PNG 포맷 보고 구현을 하게 되면, 테스트 한 PNG 파일을 다시 저장하는 경우 차이가 날 것입니다.)
정성태
2016-12-13 08시33분
[ryujh] 안녕하세요.

원인은 여러가지 일 수 있고 확인에 시간걸려서 뭐라고 할 수 없지만

우선 조치부터 하자면

ms = new MemoryStream(파일크기) 로 초기화 해보는 것은 어떨지요?

함수 수정하여 imageToByteArray 에 파일크기(또는 b1.Length)를 넘겨줘야 할 것입니다.
[guest]
2016-12-14 01시26분
@ryujh님, MemoryStream.GetBuffer를 호출하면 (부가적으로 할당된) 여유 공간까지 모두 반환하지만, ToArray를 호출하면 정확히 할당된 공간만 반환하기 때문에 그런 염려는 없습니다.
정성태
2016-12-14 05시51분
[후배] @정성태

이미지 처리기법에 대해 무지했습니다.
파일관리에 있어서 용량이 달라진다면 분명하게 서로 다른 파일이라고 얘기할 수 있지만,
이미지 파일의 경우 그렇지만은 않은가 보군요..
동일한 'a.png'파일을 포맷 변환 없이 똑같이 png파일로 저장함에 있어 저장 방식에 따라 크기가 차이가 날 수 있다는건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원본 데이터가 변하진 않으니 다행이군요!

답변 감사 합니다.^^
[guest]
2016-12-14 06시06분
[후배] @ryujh

정성태 님이 먼저 답변을 달아 주셨네요.^^;

답변 감사 합니다~~!!
[guest]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432정성태7/19/20068345    답변글 [답변]: UpdatePanel(Atlas)위의 SmartClient가 이벤트후 사라집니다. ㅜㅜ
433혁이7/20/20069247        답변글 [답변]: [답변]: UpdatePanel(Atlas)위의 SmartClient가 이벤트후 사라집니다. ㅜㅜ
434정성태7/20/20069723            답변글 [답변]: [답변]: [답변]: UpdatePanel(Atlas) 위의 SmartClient가 이벤트 후 사라집니다. ㅜㅜ [1]
429kwt7/12/20069012ActiveX 개발을 배우고 싶은데요 [3]
427이홍자7/11/20069344스마트 클라이언트 실행 시 그리드의 체크박스가 안보여요.. [1]
426정보문7/11/20069619액티브X 설치2 [1]
423이방은7/9/20068556리소스 임베디드 질문요.. [1]파일 다운로드1
422guest7/6/20068334COM+에서 풀링을 사용할 경우... [1]파일 다운로드1
424guest7/10/20069382    답변글 소스 코드 입니다. [1]
425guest7/11/20068904        답변글 다시 올립니다.파일 다운로드1
428정성태7/11/20068729            답변글 [답변]: 다시 올립니다.
421정보문7/6/20069178액티브X 설치 [1]
1354허재호11/12/20149585    답변글 [답변]: 액티브X 설치
418임대진7/4/20068598이럴적 있으세요?
419정성태7/4/20068673    답변글 [답변]: 이럴적 있으세요?
417이방은6/29/20068445[질문]2.0에서 웹리소스에 대해서 [2]
416박영일6/29/20068733CAS 설정여부 [1]
415김인학6/28/20069370스마트 클라이언트에서 웹서비스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1]
413김성호6/28/20069125IE프로그램문제... [2]
411이진형6/27/20068980어셈블리 네임 알아내기 [2]
414정성태6/28/20068579    답변글 [답변]: 어셈블리 네임 알아내기
410이재원6/26/20068751자바스크립트 스마트클라이언트 이벤트 호출 [3]
412이재원6/27/20068812    답변글 [답변]: 자바스크립트 스마트클라이언트 이벤트 호출
409정준명6/22/20069633윈폼 기반 스마트클라이언트 속도 문제에 대해서 의견을 구합니다. [2]
406이진형6/21/20069803처음에 스마트클라이언트 로딩하는 속도 [1]
4036/20/20068692Invoke 관련 문의 드립니다. [2]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