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비동기 소켓 close시 ObjectDisposedException 문제점 질문 있습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413
글쓴 사람
C#초보
홈페이지
첨부 파일
 

        Socket listenSocket;

        private void tcpip_conBtn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if (tcpip_conBtn.Text == "CONNECT")
            {
                tcpServer = new Server(10, 1024); // the maximum number of connectios , buffer size
                tcpServer.Initialize();
                tcpServer.Start(new IPEndPoint(IPAddress.Any, 5000));
                tcpip_textBox.Text += "TCP/IP SocketAsyncServer Start().... \r\n";
                tcpip_conBtn.Text = "DISCONNECT";
            }
            else
            {
                tcpip_conBtn.Text = "CONNECT";

                listenSocket .close();
              // tcpServer = null;
            }
        }


        public void Start(IPEndPoint localEndPoint)
        {
            // create the socket which listens for incoming connections
            listenSocket = new Socket(localEndPoint.AddressFamily,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listenSocket.Bind(localEndPoint);
            listenSocket.Listen(100);

            StartAccept(null);
        }


        public void StartAccept(SocketAsyncEventArgs acceptEventArg)
        {
            if (acceptEventArg == null)
            {
                acceptEventArg = new SocketAsyncEventArgs();
                acceptEventArg.Completed += new EventHandler<SocketAsyncEventArgs>(AcceptEventArg_Completed);
            }
            else
            {
                // socket must be cleared since the context object is being reused
                acceptEventArg.AcceptSocket = null;
            }

            m_maxNumberAcceptedClients.WaitOne();


            bool willRaiseEvent = listenSocket.AcceptAsync(acceptEventArg);

            if (!willRaiseEvent)
            {
                ProcessAccept(acceptEventArg);
            }

        }

        void AcceptEventArg_Completed(object sender, SocketAsyncEventArgs e)
        {
            ProcessAccept(e);
        }

  
버튼을 이용 연결 및 해제를 하려고 하는데요...
해제를 위해 버튼을 눌렀을때 소켓을 close() ( listen.close(); )하면..

StartAccept () 계속 호출 되는데요... 원래 이런건지요?? 아니면 소스가 잘못된건지요....
ObjectDisposedException 에러가 호출 되네요..
StartAccept () {
...
...
 bool willRaiseEvent = listenSocket.AcceptAsync(acceptEventArg); // 에러 부분...
...
...
...
}

조언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system.net.sockets.socketasynceventargs(v=vs.110).aspx
예제를 참고하면서 구현하고 있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8/2016]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12-30 06시31분
재현이 되는 최소한의 예제 프로젝트를 올려주세요.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431혁이7/19/200612162UpdatePanel(Atlas)위의 SmartClient가 이벤트후 사라집니다. ㅜㅜ파일 다운로드1
432정성태7/19/200612554    답변글 [답변]: UpdatePanel(Atlas)위의 SmartClient가 이벤트후 사라집니다. ㅜㅜ
433혁이7/20/200613351        답변글 [답변]: [답변]: UpdatePanel(Atlas)위의 SmartClient가 이벤트후 사라집니다. ㅜㅜ
434정성태7/20/200614109            답변글 [답변]: [답변]: [답변]: UpdatePanel(Atlas) 위의 SmartClient가 이벤트 후 사라집니다. ㅜㅜ [1]
429kwt7/12/200613415ActiveX 개발을 배우고 싶은데요 [3]
427이홍자7/11/200613714스마트 클라이언트 실행 시 그리드의 체크박스가 안보여요.. [1]
426정보문7/11/200614278액티브X 설치2 [1]
423이방은7/9/200613115리소스 임베디드 질문요.. [1]파일 다운로드1
422guest7/6/200612702COM+에서 풀링을 사용할 경우... [1]파일 다운로드1
424guest7/10/200613583    답변글 소스 코드 입니다. [1]
425guest7/11/200612978        답변글 다시 올립니다.파일 다운로드1
428정성태7/11/200612827            답변글 [답변]: 다시 올립니다.
421정보문7/6/200613380액티브X 설치 [1]
1354허재호11/12/201414022    답변글 [답변]: 액티브X 설치
418임대진7/4/200612588이럴적 있으세요?
419정성태7/4/200612743    답변글 [답변]: 이럴적 있으세요?
417이방은6/29/200612502[질문]2.0에서 웹리소스에 대해서 [2]
416박영일6/29/200612727CAS 설정여부 [1]
415김인학6/28/200613265스마트 클라이언트에서 웹서비스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1]
413김성호6/28/200612931IE프로그램문제... [2]
411이진형6/27/200613062어셈블리 네임 알아내기 [2]
414정성태6/28/200612312    답변글 [답변]: 어셈블리 네임 알아내기
410이재원6/26/200612489자바스크립트 스마트클라이언트 이벤트 호출 [3]
412이재원6/27/200612558    답변글 [답변]: 자바스크립트 스마트클라이언트 이벤트 호출
409정준명6/22/200613549윈폼 기반 스마트클라이언트 속도 문제에 대해서 의견을 구합니다. [2]
406이진형6/21/200613734처음에 스마트클라이언트 로딩하는 속도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