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시스템 종료시 block 함수 xp 지원가능한 방법 질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887
글쓴 사람
jaemin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안녕하세요. 개발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도움을 받고자.. 질문을 올립니다..

시스템 종료시 저희 프로그램에서 WM_QUERYENDSESSION 를 통해 로그 내용을 서버로 보내고 종료하도록 하고있습니다. 10초정도 시간이 걸려서 ShutdownBlockReasonCreate(), ShutdownBlockReasonDestroy() 함수를 사용하여 block 을 걸었는데요.. 이게 비스타 이후 부터 지원하는 함수더라구요..

7이상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데 xp 환경에서는

"프로시저 시작 지점 ShutdownBlockReasonDestroy을(를) DLL USER32.dll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네요..

프로시저라서 그런지

OutputDebugStringW를 타기 전에 프로그램이 죽어버리고 if 문으로 비스타 이상 분기 처리를 해도 프로그램이 죽어버립니다.

ShutdownBlockReasonCreate() 함수 외에 다른 함수로 대체할 수 있는 함수가 있는지..

아니면 해당 함수로 해결할 방법이 있는지 여쭤봅니다..

아래는 해당 예제 코드 입니다.

LRESULT CMFCApplication6Dlg::WindowProc(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case WM_QUERYENDSESSION:
    if (lParam & ENDSESSION_CRITICAL)
    {
      
    }
    else
    {
      if ((lParam & ENDSESSION_CLOSEAPP) || (lParam & ENDSESSION_LOGOFF))
      {
        OSVERSIONINFOEX osvi;
        ZeroMemory(&osvi, sizeof(OSVERSIONINFOEX));
        osvi.dwOSVersionInfoSize = sizeof(OSVERSIONINFOEX);
        if ( GetVersionEx((OSVERSIONINFO*)&osvi) == TRUE )
        {
          // 비스타 이상
          if (osvi.dwMajorVersion >= 6)
          {
            OutputDebugStringW(L"비스타 이상");
            ShutdownBlockReasonCreate(GetSafeHwnd(), L"test");
            ShutdownBlockReasonDestroy(GetSafeHwnd());
          }
          else
          {
            OutputDebugStringW(L"비스타 이전");
          }
        }
      }
    }
  }
  return CDialogEx::WindowProc(message, wParam, lParam);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0/2017]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4-20 02시02분
그와 같이 platform을 타는 API는 'Implicit linking' 해서 사용하면 DLL 로딩 시에 함수 유무를 검사하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이럴 때는 GetProcAddress를 이용한 'Explicit linking'을 해야 합니다.

아래의 글에 실린 예제 코드를 보면, QueryInterruptTimePrecise 함수가 윈도우 10부터 지원하는데 GetProcAddress를 이용해 어떻게 호출하는지 방법이 나옵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3) - QueryInterruptTimePrecise, QueryInterruptTime 함수
; http://www.sysnet.pe.kr/2/0/11066
정성태
2017-04-20 04시43분
[jaemin] 감사합니다~! GetProcAddress를 사용하여 해결되었습니다~!!!
[guest]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856heyh...7/6/201715658성태님 다른질문입니다. [4]
4855JP7/6/201716125Dispose 패턴 구현시 Finalize 재정의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2]
4854heyh...7/6/201715619
4853heyh...7/5/201715541성태님이 작성한대로 해봤습니다. [1]파일 다운로드1
4852김레오7/4/201718314서드파티 dll 디버깅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4851김현준7/3/201718589Datagridview VirtualMode 시 GC가 계속 호출되는 현상이 이해가 안갑니다. [2]
4850heyh...7/3/201717039성태님 밑에 질문드렸던 오류입니다. [1]파일 다운로드1
4849포플러7/2/201738467C#으로 만든 프로그램이 어느 순간 속도가 느려지거나 멈춤현상이 있습니다. [4]
4848윤진영7/2/201718847Microsoft Visual C++ 6.0 무설치 관련 [1]
4847heyh...6/30/201716771아무리 고민해도 답이 안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1]
4846heyh...6/28/201716471Clickonce에서 Clickonce로 변수 전달 [1]
4845heyh...6/26/201715842vb.net 에서 manifest 제거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4844san6/21/201715488part3 pdf파일로 보는데 눈아퍼요.... 활자로 보고싶어요 [2]
4843윤현수6/20/201715277socket통신에 관한 질문입니다. [1]
4842오세운6/7/201716248로그인폼 다시 질문드려요. [1]
4841popo6/7/201716339궁금한사항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1]
4840윤현수6/5/201716167datagridview에 바인딩시킨 dataset.table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2]파일 다운로드1
4839오세운6/2/201717235로그인폼 만들기 [1]
4838후배5/29/201718162PDF Reader 라이브러리.. [3]
4837KDP5/29/201717486c++ to C# 컨버팅 문의 [2]
4836popo5/26/201720440리플렉션 성능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4835guest5/25/201716312wpf Canvas 질문드립니다. [1]
4834부탁드립...5/19/201717286익스체인지 서버 구동중 인증서를 받는 과정에서오류가 납니다 [1]
4833안종윤5/18/201717594winform을 Web Browser에 붙일 수 있는지요? [1]
4832guest5/17/201716806c# UDP socket예제 실행방법 [3]
4831guest5/15/201719744WPF .net 3.5에서 TextBox 한글 문제 [3]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