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익명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efSharp 패키지를 사용해서 개발했거든요.

개발 컴퓨터에서 릴리즈해서 실행해보면 아주 잘 사용되는데,

어째서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시



"'CefSharp.Core.dll' 또는 여기에 종속되어 있는 파일이나 어셈블리 중 하나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라고 뜬 다음 뭔가 무지막지한 내용을 뿜어내더군요..ㅠㅠ



구글링해서

https://github.com/cefsharp/CefSharp/wiki/Frequently-asked-questions#Runtime_dependencies

이 자료를 찾아내긴 했는데...

c#과 비주얼 스튜디오를 접한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도통 뭘 어떻게 하란건지 감조차 잡히질 않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그리고 아래는 에러내용이에요 ㅠㅠ...





처리되지 않은 예외: System.Windows.Markup.XamlParseException: 지정된 바인딩 제약 조건과 일치하는 'cefShar.MainWindow' 형식에 대한 생성자 호출에서 예외가 throw되었습니다.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파일이나 어셈블리 'CefSharp.Core.dll' 또는 여기에 종속되어 있는 파일이나 어셈블리 중 하나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모듈을 찾을 수 없습니다.

   위치: cefShar.MainWindow.InitBrowder()

   --- 내부 예외 스택 추적의 끝 ---

   위치: System.Windows.Markup.XamlReader.RewrapException(Exception e, IXamlLineInfo lineInfo, Uri baseUri)

   위치: System.Windows.Markup.WpfXamlLoader.Load(XamlReader xamlReader, IXamlObjectWriterFactory writerFactory, Boolean skipJournaledProperties, Object rootObject, XamlObjectWriterSettings settings, Uri baseUri)

   위치: System.Windows.Markup.WpfXamlLoader.LoadBaml(XamlReader xamlReader, Boolean skipJournaledProperties, Object rootObject, XamlAccessLevel accessLevel, Uri baseUri)

   위치: System.Windows.Markup.XamlReader.LoadBaml(Stream stream, ParserContext parserContext, Object parent, Boolean closeStream)

   위치: System.Windows.Application.LoadBamlStreamWithSyncInfo(Stream stream, ParserContext pc)

   위치: System.Windows.Application.DoStartup()

   위치: System.Windows.Application.<.ctor>b__1_0(Object unused)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InternalRealCall(Delegate callback, Object args, Int32 numArgs)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TryCatchWhen(Object source, Delegate callback, Object args, Int32 numArgs, Delegate catchHandler)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Operation.InvokeImpl()

   위치: MS.Internal.CulturePreservingExecutionContext.CallbackWrapper(Object obj)

   위치: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위치: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위치: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위치: MS.Internal.CulturePreservingExecutionContext.Run(CulturePreserving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Operation.Invoke()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ProcessQueue()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WndProcHook(IntPtr hwnd, Int32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Boolean& handled)

   위치: MS.Win32.HwndWrapper.WndProc(IntPtr hwnd, Int32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Boolean& handled)

   위치: MS.Win32.HwndSubclass.DispatcherCallbackOperation(Object o)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InternalRealCall(Delegate callback, Object args, Int32 numArgs)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TryCatchWhen(Object source, Delegate callback, Object args, Int32 numArgs, Delegate catchHandler)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LegacyInvokeImpl(DispatcherPriority priority, TimeSpan timeout, Delegate method, Object args, Int32 numArgs)

   위치: MS.Win32.HwndSubclass.SubclassWndProc(IntPtr hwnd, Int32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위치: MS.Win32.UnsafeNativeMethods.DispatchMessage(MSG& msg)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PushFrameImpl(DispatcherFrame frame)

   위치: System.Windows.Application.RunDispatcher(Object ignore)

   위치: System.Windows.Application.RunInternal(Window window)

   위치: cefShar.App.Main()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4/2018]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5-04 04시09분
WPF로 만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exe)이 위치한 폴더에 "CefSharp.Core.dll" 파일이 없어서 나오는 오류입니다. 또는, CefSharp.Core.dll 파일이 참조하고 있는 다른 DLL이 없어서 발생할 수도 있고.
정성태
2018-05-04 04시12분
[익명] CefSharp과 관련된 dll 파일들은 다 같은 디렉토리에 있어요ㅠㅠ..
그냥 단순히 CefSharp 패키지를 사용해서 간단한 화면만 출력하는 코드로
디버깅, 릴리즈해서 그 결과물을 다른 컴퓨터에 옮겨서 실행하면
저 코드가 떠요..ㅠㅠ.. 아.... 왜그럴까요...ㅠㅠ 빠른 답변 고마워요...
[guest]
2018-05-04 04시21분
[작성자] 참고로 코드의 내용은
public partial class MainWindow : Window
    {
        public MainWindow()
        {
            InitializeComponent();
            InitBrowder();
        }

        public ChromiumWebBrowser browser;
        public void InitBrowder()
        {    
            Cef.Initialize(new CefSettings());
        }
    }

이것밖에 없습니다...
[guest]
2018-05-04 04시30분
알려주신 링크를 보니, 대상 PC에 VC++ 2013/2015 Redistributable Package들도 설치해야 합니다. 그에 대해서는 6번 FAQ를 참고해 사용하고 있는 CefSharp 버전에 따른 package를 선택하면 됩니다. 링크한 글의 4번도 적용해 보시고요. 3번은 ClickOnce 배포로 한 게 아니라면 무시해도 되고 2번의 경우에도 전부 동일한 DLL이 있다면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만약 그래도 안되면, 개발자 PC에서 WPF 프로그램을 CefSharp을 포함하지 않는 버전으로 실행해 보고 Process Explorer 등을 통해 로드된 DLL을 확인한 다음, CefSharp을 포함한 버전으로 실행 후 새롭게 로드된 DLL을 기록해 보세요. 그리고 그 새로운 DLL들이 문제가 되는 대상 PC에 있는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정성태
2018-05-04 05시40분
[정성태님] 찾았습니다.!!! 원인은 바로
Visual C++ 2013 Redistribution
이녀석이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돼있지 않아서였어요!

성태님 덕분에 알아냈어요ㅠㅠㅠ
정말 너무 고맙습니다.

이 문제로만 매달린 날은 2밖에 안됐는데
이렇게 빨리 해결하게 될줄이야 ㅠㅠ...
정성태님 너무나도 고맙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다른 분들도 이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면
Visual C++ 2013 Redistribution 이걸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한 다음에 실행 시켜보세요.

참고로 저의 개발 환경은
▶개발컴퓨터
윈도우 10, visual studio 2017
c# 플랫폼 : WPF
설치된 패키지 버전 : CefSharp.wpf x64


▶사용자 컴퓨터
vmware 2012,
윈도우 10 x64 입니다.

혹여라도 저와같은 문제로 삽질하실 분들도 있을 수도 있기때문에
자세한 사항을 적어놓습니다.

그리고 정성태님 다시한번 고맙다는 인사를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ㅠㅠ...
[gues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79왕초보7/1/201117937Apache + IIS Redirect [2]
9776/16/201122263웹컨트롤 어느거 쓰는게 좋나요 [1]
976박성준6/13/201117727VS2008 Add-in 구현 관련 질문 [4]
972김길6/6/201120017메모리 해제 예외 처리 관련.. [2]
971강동원5/29/201117548firebird install건 [1]
970임동찬5/18/201118341ASP.net 솔루션 디버깅 관련 [1]
969이성환5/4/201119962WMI 를 사용하지 않고 하드웨어 정보를 가져올 수 없을까요? [3]
968김동미4/28/201119422안녕하세요 다시 한번 문의를 드립니다.. [2]파일 다운로드1
967임동찬4/22/201122140C# using문 관련 [9]
964김동미4/18/201119753wcf IsOneWay 속성관련 문의 입니다..
965정성태4/18/201121128    답변글 [답변]: wcf IsOneWay 속성관련 문의 입니다..
966김동미4/19/201118970        답변글 [답변]: [답변]: wcf IsOneWay 속성관련 문의 입니다.. [1]
963최재훈4/12/201117341wcf inactivityTimeout 설정시 문의 사항이 있습니다. [2]
962임동찬4/8/201116958TFS 사용관련 [1]
961임동찬4/7/201117304XSD & XML & XmlCodeGenerator [2]
960임동찬4/5/201118831XML Schema Editor [4]
959immm3/24/201116610로그인 연동 어려운 건가요? [1]
958꼭지3/3/201118692Supporting compressed request in WCF 3.5 [5]
957임동찬2/21/201119193WCF channel faulted 관련 [2]
956윤용한2/18/201122632WaitHandle.WaitOne 과 Stopwatch에 관한 질문 [3]
955최광욱2/17/201119289TFS 에서 소스 영구 제거 방법 [1]
954한장우2/16/201117001atl activeX 질문이요~ [1]
952박용운2/16/201117830IE8.0에서 BHO [1]
953박용운2/16/201117849    답변글 [답변]: IE8.0에서 BHO
951임동찬2/11/201117897WCF Service Reference [1]
950이성환2/9/201119322Windows application 프로젝트를 참조 했을 때 생성되는 실행파일을 직접 실행 불가능하도록 하고 싶습니다. [6]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