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c# dll을 C++에서 사용 시 event 호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6983
글쓴 사람
박종윤 (lowwind at naver.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1.해당 솔루션은 VS2013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솔루션 안에 C++ 프로젝트와 C# dll 프로젝트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3.첨부된 솔루션은 해당 게시판에 답변된 예제 소스에서 일부 수정하여 문제 재현 하였습니다.


 질문.

 - 기본 예제는 C 소스에서 COM(C#으로 구현)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하면서 이벤트가 발생하게 하는건데요. 그렇게 하면은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발생합니다.

 - 실 사용을 위해 comserver dll 에서 C#으로 작성된 tcp 통신 용 dll 을 참조하여 메세지 수신시 델리게이트를 통해 전달 받으며,
 전달 받을 시 해당 소스의 evt.EmptyEvent(); 를 호출하려 하였습니다만 이 경우에는 C++에서 이벤트가 수신되지 않으며 오류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 실 사용을 위한 코드는 외부 dll 및 불 필요한 부분이 많아 재현 가능한 최소한의 소스로 만들어 첨부했습니다.
 아마도 스레드 문제인듯 하여 재현 소스는 스레드에서 이벤트 호출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실력이 미천하여 일주일 째 고민 중입니다. 모쪼록 답변 부탁드립니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30/2018]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8-30 09시02분
주석 처리해 두었던 m_server->TestEvent();로 하면 잘 호출이 되나요? 만약 그렇다면 스레드 문제가 맞습니다. STA/MTA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마샬링도 필요합니다. 꼭 필요한 게 아니면 COM을 쓰지 마시고 다음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http://www.sysnet.pe.kr/2/0/11052

정성태
2018-08-30 09시14분
그래도 굳이 하셔야겠다면, CoInitialize호출을 CoInitializeEx(nullptr, COINIT_MULTITHREADED);로 바꿔보세요.
정성태
2018-08-30 09시42분
[박종윤] 정말 감사합니다!!
두번째 말씀주신 방법으로 해결되었습니다. 첫번째 방법도 시도해 보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손님]
2018-08-30 10시22분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C# COM 서버에 구독한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 http://www.sysnet.pe.kr/2/0/11679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142ca...4/9/20199283C#으로 만든 DLL 배포하기 [10]
5141하늘...4/5/20195135Axinterop 래퍼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7]
5140게스트4/1/20195085안녕하세요. 초보 개발자입니다. SD리더기에서 SD카드를 꽂으면 발생하는 이벤트 문의 [2]
5139김이현3/28/20197959C#에서 CRON 같은 스케줄러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3]
5138김지원3/22/20195678유니티 쉐이더에서 오로지 포워드 애드 패스로만 만들 수 있을까요? [1]
5137세퉁3/22/20195998wpf 쓰레드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4]
5136KGY3/13/20194362안녕하세요 닷넷코어 콘솔 프로그램 관련 질문입니다. [1]
5135러쎌3/13/20194965ASP.NET 공부 관련해서 문의를 드립니다. [1]
5134이정호3/12/20194352SampleProfiler 예제를 이용한 Class 객체의 접근 문의 [1]파일 다운로드1
5133ㅇㅇ3/12/20195199멀티코어사용 방법에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3]
5132존기미3/3/20195496Physical Disk Access문의 [1]
5131강용규2/25/20194549c# 개발자입니다. 타이머 질문드립니다. [1]
5130노인...2/25/20198115C#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는 파일 읽고 쓰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2]
5129진우2/23/20196672닷넷 32비트 기반에서 메모리 부족으로 프로그램이 죽는경우 문의 [2]
5128게스트2/23/20195133안녕하세요. 초보개발자입니다. [3]파일 다운로드1
5127c#2/20/20194368책에 예제 문의드립니다. [2]
5125게스트2/19/20194485delegate를 활용한 event 를 적절히 불러오고 싶습니다. [2]
5124정근화2/12/20194273윈도우 서버2003 환경 오류 [2]
5123김주현2/8/20194341MS LUIS 에 대한 소개 하실 계획이 있으신가요? [1]
5122ja...2/1/20195459Clickonce 배포 후 Command 실행 [2]파일 다운로드1
5121엔벌이1/31/20195371C# DataGridView의 MDB파일 함수? ArrayList? [1]파일 다운로드1
5120임우진1/30/20195714웹에서 응용프로그램 바로 실행하기 관련 브라우저에서 파라미터가 넘어오지 않습니다.ㅜㅜ [2]
5119손님1/29/20196223교재에 오탈자 있어 알려드리려 합니다 [1]
5118WP...1/26/20194896GetHashCode 메서드에 대해서 [1]
5117하주형1/25/20195136List<int>에 대한 이해가 잘안됩니다. [5]
5116게스트1/24/20194867asp.net 관련 gridview webform 질문 드립니다. [1]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