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Screen Capture 와.. Overlay 질문 좀 드릴게요 ㅠ.ㅠ ( 장문 주의..... )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7085
글쓴 사람
최선호 donator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익명으로.. 글 적었었는데...

로그인은 처음이네요...

일단 항상 도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 원격으로 스트리밍 제어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클라이언트 측에서 원격으로 제어 하는 도중에는 원격지의 모니터 화면을 안보이게 처리 해달라고 요구가 들어왔어요....

다른 점은 좀 안정화 되어 가는데... 이 부분에서.. 현재 일주일 넘게 막혀있습니다 ㅠ.ㅠ

한가하실때... 좋은 방안 있는지 생각 한번 부탁드릴게요...
(처음부터 사수 없이 코드만 받고 입문해서... 성태님 도움 항상 감사합니다... // 성태님 같으신 사수 한분 계시면.. 몸이 부셔지도록 열심히 할 자신 있는데요.......ㅠ.ㅠ)






일단 저는 현재 총 6가지 방법으로 시도 해봤습니다..!!


방법1. Ultra vnc 의 Blank Screen 기능 구현

       - 구현 방법

            1. Sendmessage 로 Monitor 절전 모드로 진입 시킨 후 ( 1.3초 주기 )
            2. Mouseevent 델타좌표 0,0 ( 제자리 ) 이벤트로 절전 모드 해제
            

            void Black_Proc()
            {
                    while (isRun)
                    {
                        if (mouse_cnt >= 13)
                        {
                            SendMessage(frm.Handle, WM_SYSCOMMAND, (IntPtr)SC_MONITORPOWER, (IntPtr)MonitorState.OFF);
                            mouse_cnt = 0;
                        }

                        mouse_event(MOUSEEVENTF_MOVE, 0, 0, 0, UIntPtr.Zero);
                        mouse_cnt++;

                        ScreenCapture_Proc();

                        Thread.Sleep(100);
                    }
            }
            
       - 결과 :
             1. DeskTop PC만 적용 가능 (노트북 / 태블릿 / 기타 적용 불가 / 특정 모니터 브랜드 및 기종의 경우 오작동 현상 발견 (Winlogon으로 넘어감...) )
             2. 절전 모드 진입 후 해제 하는 동안 Frame이 Drop 됨... (Cpu Load도 증가...)



방법2. TopMost & Black Backcolor Form 사용
       
       - 구현 방법

            1. Black Form의 Opacity = 0 설정 후 ( visible TransparencyKey Opacity 중 압도적으로 빠름... )
            2. ScreenCapture_Proc(); 호출하여 화면을 저장하고
            3. Black Form의 Opacity = 100 복구

            void Black_Proc()
            {
                    while (isRun)
                    {

                        blankFrm.Opacity = 0;
                        ScreenCapture_Proc();
                        blankFrm.Opacity = 100;

                        Thread.Sleep(100);
                    }
            }

       - 결과
            1. 캡처 시간동안 Black Form 사라지게 되어 보안 효과가 상실 됨...
               10ms (캡쳐 시간 ) * 30fps = 300ms (1초당 300ms 노출....)


방법3. DDC-CI Protocol 을 이용한 PNP Monitor (po전원wer) 제어..

       - 구현 방법
            1. DDC - CI 프로토콜이 지원 되는지 확인 해본다....
            2. 지원 되는 경우 전원을 끈다....

       - 결과
            1. DDC - CI 프로토콜이 지원 되는 경우 아주 아름답고 완벽한 구동이 이루어집니다....
            2. 하지만. (노트북 / DDC-CI 미지원 / 태블릿 불가...)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ㅠ.ㅠ



방법4. DDC-CI Protocol 을 이용한 PNP Monitor (모드 전환) 제어..

       - 구현 방법
            방법3. 과 비슷한 절차로 진행 모드 전환 버튼을 제어한다.
            (특정 모니터 중 전원 제어가 안되는 경우 Monitor의 VGA / DVI / HDMI 전환 감지 버튼을 1초 마다 눌러줘... 화면 표시를 불가 하게 함...)


       - 결과 : 방법3과 동일.....


방법5. DDC-CI Protocol 을 이용한 PNP Monitor (밝기) 제어..

       - 구현 방법
            방법3. 과 비슷 한 절차로 진행. 밝기를 제어 한다.
      
       - 결과
            태블릿 / 노트북을 포함한 엄청나게 많은 장치가 DDC-CI 밝기 제어는 지원한다.....
            하지만.. 잘 안보일뿐... 신경써서 보면 보인다 ㅠ.ㅠ


방법6. Mouse 커서를 이용한 편법...
       
       - 구현 방법
             Bitblt 호출 시 Mousecursor 가 캡쳐 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원격지 마우스 커서를 화면에 가득 찰 만큼... Black 색상의.. 엄청나게 큰 커서로 교체 하여... 원격지 화면은 마우스 커서 천지로 도배 하고...
             제어 피시에는 마우스 커서가 제외되어 정상적인 화면이 출력.

       - 결과
             모니터 드라이브가 PNP 모니터인 경우 불가 하고, 별도의 모니터 드라이브를 설치 해야함.
             설치된 모니터 드라이브에서 Hardware Mouse cursor를 지원 하지 않는 경우
             방법2. 의 결과와 증상이 동일.. ( 눈뽕 공격 당해요 ㅠ.ㅠ )


성태님 엄청나게 긴 글이라는거 알고 있지만...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 한번 슥 읽어 주시고...

제가 방향 잡을 수 있도록 키워드라도 주시면 감사합니다 ^_^




현재 구상 중인 것은....
( 윈도우 10 에 "Win + G" 키를 누르면.. 게임 캡쳐 도구가 출력 되는데.. 그 녀석은 DXGI에도... Bitblt에도... 캡쳐되지 않는데... )
( 하지만 왠지 구현을 하면.. 입력 장치를 "게임 캡쳐 도구"가 가져가게 되어... 제어는 불가 할 것 같습니다.............)
( 캡쳐는 되면서 모니터에는 출력되는 Hardware Direct Render 방법은 없을까요 +_+? )


이제 주말이 시작되는데... 혹시 성태님 번쩍이는 생각이나.. 조언 해주실 부분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좋은 주말 보내시고...

혹시나 위에 명시된 방법 중에 테스트 해보고 싶으신 거 있으시면, 제가 재현 코드 정리 해서 보내드릴꼐요 +ㅁ+


지금은... 고된 테스트와 엄청난 복사 / 붙여넣기가 난무 하여... 테스트 코드가 전쟁이 난 상태입니다..............

혹시 검토 해보고 싶으신 코드 있으시면 이쁘게 정리 해서 첨부 하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성태님 ~!~! +ㅁ+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8/2019]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10-18 10시29분
^^; 구현 시나리오에서 피냄새(?)가 나는군요. DDC-CI같은 거나 Mouse 커서를 이용하는 등의 기발한 ^^ 생각을 하셨다는 것에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그런데, 사실 이런 류의 - 즉, 운영체제가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기능들은 표준적인 방법이 없으므로 그런 편법들을 최대한 어색하지 않게 구현할 수 밖에 없고, 그렇다 해도 그게 잘 동작한다는 보장을 할 수가 없습니다. 일단은 가장 자연스러운 방법이라고 생각되는 것들을 나열하시고 하나씩 클라이언트 측의 PC에서 지원하는지 확인 후 안 되면 다음 방법을 이어서 적용하는 것이 최선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필요하다면 현실적인 타협도 해야 합니다. 가령 태블릿이나 노트북이라면 아예 원격 제어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명시를 하는 등의 제약을 두는 것입니다. 제품을 만들다 보면 그런 식의 제약을 두는 것도 한편으로는 꽤나 현실적인 방법일 수 있습니다.

어찌되었든 고생스러운 작업이군요. 뭐라고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써드리고 싶은데 저도 관련해서 딱히 아는 바가 없습니다. 그저 "화이팅~~~"이라고 응원하는 수밖에는 달리 도리가 없군요. ^^;
정성태
2019-10-18 11시22분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기다리는 동안 creatdesktop 으로
가상데스크톱 만들어서.... switchdesktop 으로 넘겨서...

HVNC 방식으로 테스트 중인데....

ZORDER 역순으로... 핸들별로.. 렌더링 하니까..

다른 데스크톱 화면까지는 가져왔는데...

Postmessage로 이걸또 제어 하려니... 재앙의 시작입니다 ㅜ ㅜ

확실히 된다는 보장도 없구요 ㅜ ㅡ ㅜ

일단 오늘은 좀 쉬구 내일 다시 도전 해야겠습니다 +.+

좋은 주말 보내세요 ^^ 감사합니다!!
최선호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754단테3/19/200811163실행파일의 아이콘을 프로그램 적으로 변경할 수 있을까요? [1]
753신동열3/12/200811626비스타의 권한 상승 관련 질문 있습니다. [2]
751김재영3/6/200811250스레드와 비스레드간의 대기상태 순서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2]파일 다운로드1
752정성태3/7/200810781    답변글 [답변]: 스레드와 비스레드 간의 대기 상태 순서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750김용현3/3/200810166스마트 클라이언트로 파일 다운로드시 파일의 크기가 0인 경우가 발생합니다. [2]
749임영한2/28/2008252832003서버에서 msxml3.dll 오류 "80070005" 문제입니다. [2]
748류재상2/27/200814823Remoting , Tcp Channel 사용시.. 외부에서 접근 보안문제... [3]
747한귀순2/20/200813239WinForm - DataGridView 소계 등 [3]
746박상영2/20/200811117리모팅 관련해서 [3]파일 다운로드1
745조승현2/20/200811972Response.Charset ANSI로 설정..하는부분이 어려워서요.. [1]
744오야2/5/200810447멤버십, 웹파트등의 생성테이블과 업무테이블간의 관계를 어떻게.. [2]
743김기룡1/29/200812509동일 이미지 판단 방법 관련 [2]파일 다운로드1
740경혜원1/28/200813975C#에서 이런게 가능 할런지요?
742정성태1/29/200812012    답변글 [답변]: C#에서 이런게 가능 할런지요? [1]
738임경훈1/25/200812854웹서비스에서 오라클DB에 연결할 때
741임경훈1/28/200812425    답변글 [답변]: 웹서비스에서 오라클DB에 연결할 때 [1]
737단테1/25/200813746안녕하세요 정성태님. C Run-time Library의 배포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3]
736김현기1/24/200811644XML 접두어 포함한 XmlElement 작성법? [1]
735정명원1/9/200811492ActiveX 사용시 ... [2]
734제영한12/17/200711427웹서비스에서 사용자 정의 예외 사용하기 [2]
732김기룡12/3/200714294WebRequest 요청시 일본어 인코딩 관련 문의파일 다운로드1
733김기룡12/3/200710802    답변글 일어가 깨졌네요..테스트 문자 추가합니다.^^;;파일 다운로드1
739adnim1/27/200811866    답변글 [답변]: WebRequest 요청시 일본어 인코딩 관련 문의 [1]
731우기11/27/20079381[질문] clickonce 배포시 .net framework 2.0, 3.0 설치 시간 줄일 수 있는 묘수없을까요?? [1]
730김재영11/10/200710013스레드에 사용되는 함수에 값을 같이 넘기는 방법이 있습니까?? [2]파일 다운로드1
727제영한10/24/20079298시스템 설계에 대한 문의드립니다.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