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왕초보] (2)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118
글쓴 사람
정유경
홈페이지
첨부 파일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temp = new int[7];
            Random rnd = new Random();


            int index0 = rnd.Next(0, 53); // 0~52 까지의 랜덤한 수(min <= random_number < max)
            temp[0] = index0;
            

            int index1 = rnd.Next(0, 53);
            while (index0 == index1)
            {
                index1 = rnd.Next(0, 53);
            }
            temp[1] = index1;

            //

            int index2 = rnd.Next(0, 53);
            while ((index0 == index2) || (index1 == index2))
            {
                index2 = rnd.Next(0, 53);
            }
            temp[2] = index2;

            //

            int index3 = rnd.Next(0, 53);
            while ((index0 == index3) || (index1 == index3) || (index2 == index3))
            {
                index3 = rnd.Next(0, 53);
            }
            temp[3] = index3;

            //

            int index4 = rnd.Next(0, 53);
            while ((index0 == index4) || (index1 == index4) || (index2 == index4) || (index3 == index4))
            {
                index4 = rnd.Next(0, 53);
            }
            temp[4] = index4;

            //

            int index5 = rnd.Next(0, 53);
            while ((index0 == index5) || (index1 == index5) || (index2 == index5) || (index3 == index5) || (index4 == index5))
            {
                index5 = rnd.Next(0, 53);
            }
            temp[5] = index5;

            //

            int index6 = rnd.Next(0, 53);
            while ((index0 == index6) || (index1 == index6) || (index2 == index6) || (index3 == index6) || (index4 == index6) || (index5 == index6))
            {
                index6 = rnd.Next(0, 53);
            }
            temp[6] = index6;


            Console.WriteLine($"{temp[0]}, {temp[1]}, {temp[2]}, {temp[3]}, {temp[4]}, {temp[5]}, {temp[6]}");

            Array.Sort(temp);
            Console.WriteLine($"{temp[0]}, {temp[1]}, {temp[2]}, {temp[3]}, {temp[4]}, {temp[5]}, {temp[6]}");




답변해주신 글 열심히 읽어보았어요. 감사드려요.

위에 코드는 제가 나름 열심히 써서 맨 마지막에 Console.Writing 으로 테스트 문구를 출력했는데, 중복되는 원소가 나오지 않고 오름차순으로 도열까지 되어서 완벽해요.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근데 위에 제가 쓴 코드가 조금... 그 무식하다고해야할까요. 좀 노가다 식으로 쓴게 느껴지시죠?

이걸 진짜 프로그래머 처럼 세련되게 다시 쓸 수 있는 법이 있을까요?

함수를 써야하는것은 알겠는데, 클래스를 써야할지 함수를 쓰는게 나을지. 그 둘의 차이점이 뭔지도 모르겠어요..

물어보는게 많아서 죄송합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6/2020]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2-06 06시13분
잘 하셨습니다. ^^ 일단, 중요한 것은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냐입니다. 무엇보다, 자신이 이해할 수 있어야 나중에 유지/보수를 해도 할 수 있습니다. 세련되게 하는 것은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이면 자연스럽게 익혀지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다음으로, "중복 코드"가 있는지를 봐야 합니다. 중복 코드가 있으면 나중에 유지/보수를 할 때도 중복된 곳을 찾아서 수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자칫 실수할 여지가 있습니다. 일단, 그냥 그 정도의 마인드로 연습을 하시면 되고... 참고로, 만약 위와 같은 코드를 제가 만들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딩했을 것이니, 참고만 하세요.

int[] temp = new int[7];
Random rnd = new Random();

int count = 0;

while (count != temp.Length)
{
    int index = rnd.Next(0, 53);
    bool found = false;

    for (int i = 0; i < count; i ++)
    {
        if (temp[i] == index)
        {
            found = true;
            break;
        }
    }

    if (found == false)
    {
        temp[count] = index;
        count++;
    }
}

Array.Sort(temp);
정성태
2020-12-07 01시18분
대단히 감사합니다.
정유경
2020-12-07 01시42분
한가지만 더 여쭤볼수 있을까요?

클래스와 함수를 공부하고 있는데요. 클래스를 왜 여러개 만들어야하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어요. 그냥 한 가지의 클래스안에 필요한 함수를 다 구겨넣어도 되지 않나요? 굳이 여러개의 클래스를 만들고 그 클래스를 통합하고 상속하고 복잡하게 하지 말고 그냥 한가지의 클래스안에서 함수와 변수를 전부다 선언하고 밀어넣어서 만들면 더 편하고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될거라고 생각하는데, 이것이 아니라고 하네요. 왜그런가요...?
정유경
2020-12-07 09시20분
폴더랑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지금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 디렉터리가 하나만 있고 모든 파일을 거기다 넣어 두었다고 생각해 보세요. 물론, 구조는 간단하긴 하겠지만 나중에 유지/보수하려면 보통 일이 아닙니다.

좋은 예가 있긴 한데, 클래스 구문을 지원하지 않는 C 언어이긴 하지만 아래의 sqlite3.c 소스 코드를 보시면 아마... 정내미가 떨어질 것입니다. ^^;

Browse the source code of qtbase/src/3rdparty/sqlite/sqlite3.c
; https://code.woboq.org/qt5/qtbase/src/3rdparty/sqlite/sqlite3.c.html

사실, 간단한 유형이라면 클래스나 메서드를 여러 개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단지, 프로그램의 규모가 커질수록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해 사람 입장에서 쉬운 구조로 나누는 식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381윤용한5/29/200611142    답변글 [답변]: ATL Event에서 스크립트가 값을 다시 돌려주는 방법은?
382윤용한5/29/200611760        답변글 [답변]: [답변]: ATL Event에서 스크립트가 값을 다시 돌려주는 방법은?
383정성태5/30/200612042            답변글 [답변]: [답변]: [답변]: ATL Event에서 스크립트가 값을 다시 돌려주는 방법은?
378guest5/26/200611522managed 와 unmanaged 의 차이가 뭐져?
379정성태5/26/200611834    답변글 [답변]: managed 와 unmanaged 의 차이가 뭐져? [1]
384guest5/30/200611322        답변글 감사합니다.
376노기도5/16/200611647vb6의 GetObjectContext 를 2005에서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나요? [3]
375이덕희5/15/200613723SmartClient 강좌를 보고... 엑박이 나옵니다... [2]파일 다운로드1
3745/12/200612681데이타셋을 레코드셋으로 변경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373아폴론5/12/200611477스마트 클라이언트.. 강좌대로 했는데.. 이런 에러가 나네요. [1]파일 다운로드1
372정보문5/11/200612242DHCP를 쓰는 이유 [1]
366임경훈5/8/200612077지정된 웹서버에서 ASP.NET 버전 1.1이 실행되고 있지 않아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 또는 웹서비스를 실행할수 없습니다 [2]
365꿈의공장5/8/200611809스마트 클라이언트 사용시 안보이는 현상 [1]
364조준현5/3/2006112362.0 스마트클라이언트에서.. public 메소드등을 스크립트에서 접근하는 방법이..? [2]
363혁이5/2/200613730스마트 클라이언트에 farpoint 컨트롤 올리기 2번째 질문입니다 [1]파일 다운로드1
361혁이4/28/200612265스마트 클라이언트에 FarPointSpread를 올렸는데요. 보이지가 않습니다..음.. [1]
360꿈의공장4/28/200612213스마트클라이언트와 오라클에 연결 [1]
359박호성4/28/200611550ASP.NET에서 COM Object를 사용하려면? [1]
358임동오4/27/200612177ASP -> COM+ Proxy 연결문제입니다. 151초동안 아무응답없습니다. ㅠㅠ
362정성태4/30/200613738    답변글 [답변]: ASP -> COM+ Proxy 연결문제입니다. 151초동안 아무응답없습니다. ㅠㅠ
354노기도4/24/200611468시스템 구성에 대해 의견을 듣고 십습니다.
355정성태4/25/200611494    답변글 [답변]: 시스템 구성에 대해 의견을 듣고 십습니다.
356노기도4/25/200610860        답변글 [답변]: 귀찮게 해드려 죄송스럽지만.
357정성태4/25/200611322            답변글 [답변]: [답변]: 귀찮게 해드려 죄송스럽지만. [1]
352산들바람4/19/200611008이번겨울방학때세도나를 여행하려구하는데요,,,
353정성태4/20/200617907    답변글 [답변]: 이번겨울방학때세도나를 여행하려구하는데요,,,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