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프로젝트를 wpf로 작업하고 있는데 쉽지 않네요 ㅎ vs2019를 사용중이고요. 메인 프로그램은 x64, UserControl dll은 x64 또는 AnyCPU로 빌드해서 테스트 해봤습니다. 메인 프로그램을 AnyCPU로하면 디자이너에서 잘 보이던 컨트롤 속성이 x64로 전환하면 디자이너 화면에 안보이는 문제가 있는데.. user control dll을 x64로 하든지 AnyCPU로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해서 원인이나 해결할 방법 아시면 도움 말씀 부탁드립니다. 이해 안되실듯 하여 문제 상황을 동영상으로 만들어봤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7wFzBIXn9E 프로젝트 소스 파일을 첨부했습니다. (프로젝트 2개). 동영상과 코드가 다른 것은 DependencyProperty로 해결이 될까해서 한번 테스트해본 것이 있습니다. 동영상에서는 Description 속성을 그대로 사용했고요. 성태님이 올린 게시판 글 중에는 다음 내용이 가장 비슷한 내용인데 https://www.sysnet.pe.kr/2/0/12602 winform과 wpf 차이와 dll을 AnyCPU로 해도 마찮가지라는 점이 차이가 있네요. [다음 글] 제어관련 고민을하다가 소캣방식 선택[이전 글] 제가 만든 배포파일은 window에서 막는걸까요? [연관 글] 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최초 등록일: 7/7/2021] [최종 수정일: 7/13/2021]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7-07 01시09분 [이승준] https://www.sysnet.pe.kr/2/0/12602정성태님이 이미 관련 문제를 다룬적이 있습니다. [guest] 2021-07-07 01시15분 승준님 본문에도 그 게시물에 대해 언급 했습니다만 dll 유저 컨트롤 프로젝트 부분을 AnyCPU로 해도 문제가 나타나서 질문을 드린 사항입니다. 이성열 2021-07-07 01시39분 재미있는 문제군요, 그렇다 해도 아마 (분석하지 않은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그 문제도 "https://www.sysnet.pe.kr/2/0/12602" 글과 유사한 문제일 듯합니다. 12602 글의 경우 아예 exception을 발생시켜 디자이너가 실패했지만, Property 정도는 32비트 devenv.exe 내에서 64비트 (디자인이 아닌) 내부 코드를 실행시키는 과정에 오류가 발생했거나... 아니면 아예 실행을 안 시켰을 것입니다.그래도 이것을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합니다. 현재 Visual Studio 2019의 경우 "Tools" / "Options" 메뉴의 "Environment" / "Preview Features" 범주에 보면 "New WPF XAML Designer for .NET Framework (requires restart)" 기능이 제공되고 이를 체크해 Visual Studio를 재시작하면 정상적으로 디자인이 됩니다.아니면, 약간 시기상조이지만 Visual Studio 2022 Preview 버전("https://www.sysnet.pe.kr/2/0/12683")을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정성태 2021-07-07 01시54분 [이승준] 원인은 정성태님글의 내용일겁니다.다만 이건 약간 버그성인듯 한것이속성에서 Any CPU의 32비트 기본사용을 체크 해제하면 정상적으로 뜹니다.64비트로 개발하시면서 디자이너를 보시려면 이렇게 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guest] 2021-07-07 01시59분 승준님/ 네. 위에 성태님도 쓰셨듯이 원인은 비슷할것 같고요. dll 프로젝트에서 AnyCPU로 설정했을때는 메인 프로젝트를 따라가기 때문에 32비트 기본이 체크가 안됩니다. 제 vs2019에서는 그런데 혹시 다른 버전은 모르겠지만요. 성태님이 말씀하신 옵션을 찾아보고 안보여서 vs 2019 업데이트 중입니다. 이성열 2021-07-07 02시39분 [이승준] dll은 원래 32비트 기본사용 디저블 되 있습니다.메인만 체크해제하면 됩니다. [guest] 2021-07-07 02시45분 승준님/ 제 글을 다시 보시면 기본 문제가 메인 프로그램을 x64로 했을때의 문제이기 때문에 메인을 AnyCPU로 하면 체크옵션과 상관없이 원래부터 아무 문제가 없었습니다. 이성열 2021-07-07 02시45분 성태님이 알려주신 옵션으로 잘 보이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성열 2021-07-13 07시20분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셔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편하신 것으로.)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https://www.sysnet.pe.kr/2/0/12705 정성태 2021-07-13 08시00분 지난번에 알려주신 옵션으로 아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WPF XAML 디자이너 옵션을 켜 놓고 사용해보니 Visual Studio가 좀 버벅거린다는 느낌을 살짝 받고 있었는데 (질문은 아닙니다^^)이렇게 다른 대안까지 제시해 주시니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저도 빌드이벤트는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도 사용할 수 있다니 아이디어가 좋네요^^ 이성열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2조광훈2/13/201416113ISAPI 필터에서 커스텀 헤더 정보 추가 [1]11211조광훈2/12/201420174isapi 필터 로드 오류 [2]1208박지호2/9/201424226[오타]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p.267 ~ 350 [1]1207임동찬2/5/201418375Web페이지에서 .net application 실행시키는 방법 [3]1206신지환2/3/201419767visual sourcesafe(internet) 체크인 에러 [1]1205박지호2/2/201422112[오타]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p.199 ~ 202 [1]1204김태훈1/27/201433084Windows Service 오류 문의입니다. [2]1203박지호1/26/201423763[오타]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p.131, 157, 180 [1]1202이창주1/24/201425433[질문] Windows Error Reporting [8]1201김나리1/21/201418369[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비동기 호출 [1]1200박지호1/19/201423449[오타]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p.76 [1]1199윤종현1/9/201419043p654 의 비동기 관련 설명 [3]1198초이1/4/201418765웹서비스 WSDL 생성및 프록시 클래스 생성 관련 질문입니다. [1]1196박현수1/2/201417487[WCF] Client 호출 방법 [2]1195박현수12/23/201317446[WCF] 클라이언트의 호출실패(IIS이용) [4]11191박주만12/18/201324470C++ Dll 에서 C# 의 PictureBox이미지 변경문제 [1]1193박주만12/19/201318503 [답변]: C++ Dll 에서 C# 의 PictureBox이미지 변경문제 [2]11190정진호12/10/201316616비동기로 실행할수 있도록 Custom Attribute 를 만들고 싶습니다. [1]1189Youn...12/10/201316945책을 사기전에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1]1188이민석12/5/201318260ocx 를 C#에서 마샬링관련 질문입니다.. [2]11187이성환12/3/201319474WPF WebBrowser control의 자식 창이 close 되기 전 Navgate 재호출 문제 [2]11186박종혁12/2/201317448책의 예제 중에 result 변수가 할당 되었지만 사용되지 않았다고 오류가 납니다!! [1]1185박은희11/27/201320584멀티바이트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유니코드로 변경시 쉽게 처리 하는법 [2]11183박현수11/20/201317406WCF에서 web.config appsetting 읽기 [1]1184박현수11/20/201318244 [답변]: WCF에서 web.config appsetting 읽기 [3]11182유창우11/16/201327270자마린이 궁금... [8]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