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안녕하세요. 초보 웹 개발자입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012
글쓴 사람
조 (igbtkd at naver.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안녕하세요.
asp.net core로 grpc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grpc 서버를 웹 API와 같이 Remote 서버(52.231.48.141)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측(다른 ip)에서는 이 Remote Server와 연결하여 웹 서버를 구현하고 싶습니다.

구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https://mcilis.medium.com/how-to-publish-net-core-grpc-server-as-a-windows-service-dd562a1e263d

grpc 서비스는 http2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존에 제가 소유하고 있는 서버는 Window Server 2012여서 http2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azure에 vm을 하나 임대하여 Window Server 2019를 구축했습니다.
iis를 설정하고 도메인을 사서 설정하였으나,
grpc 서비스는 iis 환경에서 실행되지 않는다는 공식 홈페이지의 글을 보았습니다.
(window 참가자 빌드에서만 실행 가능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iis를 이용하지 않는 kestrel 환경에서 구축하려고 했습니다.

기존에 제가 가지고 있던 Window Server 2012 임대 서버는 Asp.net core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 exe 파일을 콘솔로 바탕화면에서 실행시키면
서버 아이피 혹은 도메인 명을 가지고 접속이 가능합니다.
(사진에 첨부한 Window Server 2012 임대 서버 : 119.207.78.147(https://daesungrobotek.com)의 프로젝트는 끄지 않고 서버 쪽에 켜두었습니다.)
(iis 서비스는 종료한 상태입니다.)

근데 Azure VM은 바탕화면에서 exe 파일을 실행시켜도 다른 컴퓨터에서 ip 혹은 도메인을 통해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사진에 첨부한 Azure VM 임대 서버 : 52.231.48.141(https://igbtkd.xyz)의 프로젝트 또한 서버 쪽에 켜두었습니다.)
(iis 서비스는 종료한 상태입니다.)

너무 정보를 적게 드린 것 같아 더 남길게요.

1.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샘플 프로젝트를 azure vm에서 kestrel 환경으로 실행할 수 있는 지 입니다!

1. vm 쪽은 원격데스크톱으로 52.231.48.141 비밀번호 [...]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어짜피 테스트 후 제거할 것이라 노출되어도 상관이 없습니다.

2. vm 환경에서 ipconfig를 해보니 가상환경이라 그런지 제대로 된 아이피가 보이지 않네요.

3. vm 쪽 포트는 모두 열어둔 상태입니다.

4. 실행했던 샘플 프로젝트를 같이 첨부합니다!

웹 쪽은 처음이라 며칠 밤을 새며 알아가고 있지만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네요. VM 쪽의 서버 설정을 추가로 해야할 것이 있는 지 알고 싶습니다.
혹시 조언좀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5/2021]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8-05 05시21분
계정 이름이 어떻게 되나요? 암호만 알려주시면 접속할 수 없습니다. ^^; 참고로, 당연히 kestrel이 azure vm에서 잘 돌아가야 합니다. 단지, kestrel이 기본 코드라면 localhost/127.0.0.1 이외에는 접속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관련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 https://www.sysnet.pe.kr/2/0/12499
정성태
2021-08-05 05시24분
[조] 아 계정을 안알려드렸군요... 죄송합니다... igbtkd입니다!!
[guest]
2021-08-05 05시25분
[조] 링크 주신 환경은 다 구성해놓은거 같습니다!

appsettings.json
{
  "Logging": {
    "LogLevel": {
      "Default": "Information",
      "Microsoft": "Warning",
      "Microsoft.Hosting.Lifetime": "Information"
    }
  },
  "AllowedHosts": "*",

  "Kestrel": {
    "Endpoints": {
      "Http": {
        "Url": "http://*:80"
      },
    "Https": {
        "Url": "https://*:443",
        "Certificate": {
          "Path": "ssl.pfx",
          "Password": "ch7514ch"
        }
      }
    }
  }
}
[guest]
2021-08-05 05시29분
[조] 저 아이디로 해보니 잘 동작이 안되어서 RDP 파일 올릴게요!!! 잠시만요!!
[guest]
2021-08-05 05시47분
[조] 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변경했지만 아쉽게 동작하지 않습니다..
ip 주소 : 52.231.48.141
아이디: igbtkd
비밀번호: [...]
입니다. 민폐끼쳐 죄송합니다.
[guest]
2021-08-05 06시21분
VM 윈도우 측의 방화벽을 해제하지 않아서 그런 것입니다. 일단 모두 풀어놓았으니, 80/443만 별도로 풀어놓는 설정으로 바꿔보세요. 첨부 파일에는 분명히 방화벽을 모두 내린 것처럼 하셨는데... ^^; 제 시간을 낭비하게 만드셨군요.
정성태
2021-08-05 06시27분
[조] 죄송합니다 선생님 ㅜㅜ
아직 배운게 많이 없는 초보라 어떻게 해결해야할 지 도무지 몰랐습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적은 돈이지만 도네이션했으니 마음푸셨으면 좋겠어요 ㅜㅜ
[guest]
2021-08-05 06시33분
[조] 아 그리고 댓글을 수정하고 싶은데
도네이션했으니 마음푸시라는 말씀이 아니라...
그냥 작은 성의를 받아주셨으면 한다는 말로 이해해주셨으면 좋겠어요 ㅜㅜ
[guest]
2021-08-05 07시35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몰랐다고 하셨지만, 어쨌든 절차상으로 보면 스스로 다 해결하신 것입니다. 단지, 윈도우의 방화벽 해제를 다시 막아놓은 실수로 인해 이렇게 질문까지 하시게 된 것입니다. (그 실수만 안 하셨어도 무난하게 작업을 계속 진행하셨을 것입니다.)

그리고, 저 그런 일로 삐치는 사람 아닙니다. ^^; 마음 풀라는 말을 두 번이나 하시니까 오히려 제가 더 이상한 사람이 되는 것 같습니다. ^^; 개인적으로, 질문 게시판이 썰렁해질 때 이렇게 질문이 올라오면 반갑기까지 합니다. ^^;

암튼, 개발 잘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기부를 너무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그만큼 질문을 많이 해서 상쇄해 주세요. 그래야 저도 부담이 없습니다.)
정성태
2021-08-05 08시41분
[조] 감사합니다. 선생님!
꼭 좋은결과 내서 다음에 다시 찾아뵐게요 ^-^
[gues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53폭풍코딩4/19/201216542스마트클라이언트 ctrl-c 복사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1]
1052에슈리온4/17/201232957ClickOnce 배포시 클라이언트의 설치경로를 지정할 수 없나요? [1]
1051최정수4/10/201219845WCF 클라이언트 비정상 종료 관련 [1]
1050에슈리온4/6/201222009관리자 권한과 ClickOnce, 그리고 Bootstrapper문제 [6]
1049김성혁4/4/201216587스마트클라이언트 stand-alone 방식의 배포 문제.. [1]
1048C#조으다3/27/201220149어셈블리 로드 / 언로드와 관련해서.. [6]
1047김우형3/23/201217737WCF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중 Exception 문의 [1]
1044임동찬2/29/201217610웹에서 COM Exception.. [2]
1043박성준2/24/201216140Lazy<T> 의 지연객체 생성 전에 실 객체의 Attribute분석 [2]파일 다운로드1
1042이성환2/20/201216576BlockingMethod에 빠진 스레드를 즉시 죽이고 싶습니다...;ㅅ; [2]파일 다운로드1
1039김재영2/15/201215901어셈블리에 사용자마다 다른 값을 적용하여 자동 빌드 방법이 있을까요? [2]
1037윈드로니2/12/201217326WPF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1035임동찬2/9/201215691XML, XSD, XMLCodeGenerator 관련 [2]
1033곽성현2/7/201216208훔..윈도우 디바이스 드라이버 관련 [1]
1030궁빈2/2/201218645msbuild를 이용한 웹게시 및 자동 Dist 방법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6]
1028신정환1/30/201215887기존 legacy Windows application이 WoA 환경에서 동작되지 않는 이유가 무얼까요? [2]
1026노현철1/19/201217858WPF가 XP에서 느리게 로딩되는 현상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1025궁그미1/18/201218821네이버 소켓 로그인 이해가 안되는점이 있는데요 [2]
1022선무당1/11/201216887TFS 에서 공통 Assembly 공유 방법에 대해서 해결책이 없을까요? [2]
1021김재영1/8/201215958대리자를 메소드 파라메터로 넘겨도 됩니까? [2]파일 다운로드1
1019남산골11/13/201918550안녕하세요!! 성태님~~ [3]
1018강한구12/29/201121866WPF ClickOnce 배포시 콤포넌트 dll 다운로드 문제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1]
1017임동찬12/28/201118769smart client와 xbop, silverlight [6]
1015개똥이12/22/201116182RMCLOCK 설정 관련 질문이요ㅜ [2]
1011사길수12/16/201116251hyper-v 이더넷 카드 관련 문의 좀 드립니다. [1]
1006루로니12/13/201118367윈도우7과 XP의 DLL후킹 처리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3]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