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블루투스 포트와 시리얼포트 연결시 에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365
글쓴 사람
장성욱 (lozen77 at naver.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안녕하세요 선생님

제가 요즘 c#으로 시리얼통신을 만들고 있는데, 테스트를 하다가 실수로 블루투스 시리얼 포트를 연결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제가 만든 시리얼 통신 gui의 버튼들 뿐만 아니라 gui가 멈추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저는 GUI를 만드는 사람으로써 다른 사용자에게 이 gui를 전달했고, 그 사용자도 마찬가지로 실수로 블루투스 포트와 연결해서 똑같은 멈춤현상이 나타났을때
이러한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아래 코드는 시리얼연결 부분 입니다.



private void COMnum_SelectedIndexChanged(object sender, EventArgs e) // com 포트 combobox를 누르면 새로고침이 되는 부분
        {
            COMnum.Items.Clear();
            foreach (var item in SerialPort.GetPortNames())
            {
                COMnum.Items.Add(item);
            }
        }

        private void Connec_BTN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Serial 포트 연결 부분
        {
            if (COMnum.Text == "")
            {
                return;
            }
            

            if (Connec_BTN.Focused)
            {
                btnStatus = !btnStatus;
            }

            if (btnStatus)
            {
                try
                {
                    if (serialPort1.IsOpen)
                    {
                        serialPort1.Close();
                    }
                    else
                    {
                        serialPort1.PortName = COMnum.SelectedItem.ToString();
                        serialPort1.BaudRate = 115200;
                        serialPort1.DataBits = 8;
                        serialPort1.StopBits = StopBits.One;
                        serialPort1.Parity = Parity.None;
                        serialPort1.DataReceived += new SerialDataReceivedEventHandler(serialPort1_DataReceived);
                        serialPort1.Open();
                        Connec_BTN.Text = "Disconnection";
                        richTextBox1.Text = richTextBox1.Text + "Serial Connected" + Environment.NewLine;
                        autoscroll();

                    }
                }
                catch (Exception)
                {
                    serialPort1.Close();
                    richTextBox1.Text = richTextBox1.Text + "Serial Port ERROR! 포트를 확인해주십시오!" + Environment.NewLine;
                    autoscroll();

                }

            }
            else
            {
                serialPort1.Close();
                Connec_BTN.Text = "Connection";
                richTextBox1.Text = richTextBox1.Text + "Serial Disconnected" + Environment.NewLine;
                autoscroll();
            }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7/2022]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6-07 05시27분
[장성욱] 추가로 궁금한게 j1c 시리얼 프로그램과 블루투스 포트를 연결했을때는 애초에 port를 연결할수 없다고 뜨는데, 이것처럼 만들고 싶습니다.
어떤것을 인식하여 애초에 포트를 연결할수없다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guest]
2022-06-07 10시49분
딱히 제가 시리얼 통신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 이에 대해서는 뭐라고 말씀드릴 것이 없군요. ^^; 혹시 나중에 해당 현상의 원인이 밝혀지면 공유부탁드립니다. ^^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411원격11/20/202015778visualstdio로 웹 사이트로 만들었을때 원격 디버깅이 가능한가요? [1]
5410최성재11/16/202016314vcpkg로 GDCM 내려받을 때 USE_VTK 설정하는 방법-2번째 질문 [1]파일 다운로드1
5409민성11/16/202019131혹시 다른 질문이긴 한데요 [1]
5408최성재11/16/202016030vcpkg로 GDCM 내려받을 때 USE_VTK 설정하는 방법 [1]
5407민성11/11/202014143안녕하세요 yield return에 대해서 [1]
5406질문자11/10/202015317안녕하세요 wcf nettcpbinding의 timeout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2]
5405민성11/9/202015154안녕하세요 이번에도 또 어려운 질문 같습니다. [1]
5404박진우11/6/202017973안녕하세요. SqlParameter 생성자 관련 질문 있습니다. [1]
5403민성11/5/202017664그리고 한가지만 죄송하지만 더 질문 드리겠습니다. [1]
5402민성11/5/202017458안녕하세요 책을 보고 질문하나만 드릴깨요 [2]
5401민성11/3/202016498안녕하세요 이번에도 질문 하나만 드리겠습니다. [2]
5400진우10/29/202016218SQL Server 관련 몇가지 문의 [2]
5399Wpf개...10/21/202016352Binding 된 항목의 갱신 시 간헐적 끊어짐 발생 문제. [2]
5397나그네10/15/202015515.net Core 3.1 에서 Entity Framework 와 ADO.NET 선택에 관해 여쭤봅니다. [2]
5396여정욱10/15/202015190CLR heap 관련 질문 2 [2]
5395여정욱10/14/202017874CLR heap 관련 질문 [2]
5394진우10/12/202021944닷넷코어 (닷넷5) winform wpf는 리눅스/맥에서도 가능한가요? [2]
5393김세용9/23/202017236C#에서 대량의 클래스를 빠르게 생성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6]
5392전경호9/22/202016769WPF에서 WindowsFormsHost의 메모리 누수 문제 때문에 문의드립니다. [1]파일 다운로드1
5391민성9/22/202016132안녕하세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하나 질문 드리겠습니다. [1]
5390alow...9/18/202019210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보호된메모리 부분 예외처리 [1]
5389C# 8...9/18/202016103후위 증감 연산자 오버로딩 방법 좀 알려주세요 [4]
5388영귤9/17/202020092Nullable reference type 에 Non-nullable reference type 을 대입해도 경고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2]
5387하태9/17/202016914안녕하세요! 비동기 통신과 관련하여 질문하나만 드리겠습니다! [3]
5386박민웅9/16/202020008정성태 스승님 안녕하세요 !! [1]
5385영귤9/12/2020159623항 연산자에 ref 지원?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