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POH 포스트에서 링크를 걸어 주셨던 https://github.com/dotnet/coreclr/blob/master/Documentation/design-docs/PinnedHeap.md 위 글에 보면 POPO(Promote Only Pinned Objects)에 대한 설명이 간단히 나오는데, Pinned Object가 Plug 주변에 있으면 어떻게 처리한다는 것인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Plug를 쪼개서 처리 한다는 걸까요? 어떻게 쪼개는건지도 잘 이해가 가지 않네요; 혹시 POPO와 관련해서 아시는 내용있으시면 가르침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글] 스레드와 스레드 안전한 객체 사용관련 문의드립니다. [이전 글] 대화상자에서 alt + tab 후킹 작업 [최초 등록일: 9/13/2022] [최종 수정일: 9/13/2022]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9-13 07시20분 저도 그 부분은 잘 이해가 안 됩니다. 문서를 쓴 분이, "plug"라고 표현을 했지만 문맥상으로 그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좋을지 해당 글만으로는 설명이 불충분합니다.어쨌든, pinning 개체로 인해 GC Heap 관리가 어렵고, 그 와중에 GC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Demotion"과 "POPO"와 같은 처리를 해가며 노력했다는 것으로 가볍게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demotion 처리에 대해서는 "https://devblogs.microsoft.com/dotnet/internals-of-the-poh" 글에서 그나마 상황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결국 문제는 pinning되는 개체를 미리 알 수 없었다는 점이 근본적인 원인이며, 이를 위해 .NET 5부터 할당 시점에 pinning 여부를 알 수 있는(개발자 입장에서는 지정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며, 이런 경우 해당 개체를 SOH/LOH가 아닌 POH에 분리시켜 관리한다... 라고 전체적인 이해만 해도 되겠습니다.혹시나, 나중에라도 알게 되면 기록으로 남기겠습니다. (또는, 질문하신 분이 먼저 알게 되시면 덧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정성태 2022-09-13 11시44분 [드리렁] 친절히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조금 더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손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5838랄랄라3/1/2023164event 사용 시 두 표현의 차이점이 있을까요? [1]5837감사...2/28/2023123오라클 DB서버 접속관련 문의 드립니다.(Load Balancing, HA Events) [2]5836박지범2/27/2023199static instance의 initialize 순서가 보장되나요? [6]5835주민호2/25/2023259Windows Software Development Kit - 최신버전 1개 남기고 다 삭제하면 안되는지요? [10]15834손님2/24/2023180Python IDE - 비주얼스튜디오 [2]5833무지남2/23/2023183Async 메서드 그리고 나서 Bool 메서드 [5]5832김지우2/21/2023270event와 delegate의 차이 , event를 써야하는 이유 [1]5831이우람2/20/2023325ref 전역변수가 pinned가 될수 있나요? [2]5830냉수...2/19/2023277C# GridView에 Column별 데이터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1]5829수박...2/19/2023321키움 API를 윈폼과 WPF의 네임스페이스 없이 콘솔이나 WinUI3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2]15828김재영2/19/2023310장기적으로는 this 구문을 안쓰는게 맞을까요? [2]5827lee2/18/2023243파이썬 설치 오류 질문입니다 [1]5826Sy...2/14/2023407Socket 관련 Leak (OverlappedAsyncResult, OverlappedData) 관련 문의 [7]15825박성원2/14/2023261Listview 컨트롤의 화면 전환 시 갱신 속도 [1]5823검은콩2/13/2023322catch(Exception ex)의 line번호를 쉽게 알 수 없는지요? [7]5822김지우2/11/2023340책을 보면서 sync, async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5]25821검은콩2/9/2023311Async 신뢰성과 소켓데이터 [4]5820차가워2/8/2023300다른 프로세스 실행 후 포커스 가져오기 [3]5819취준생2/7/2023479WPF 관련 실무가 궁금합니다. [3]5818윤길2/7/2023309ObservableCollection 에서 INotifyPropertyChanged 구현해야하나요? [2]5817흰털...2/7/2023291배포 시 winform 실행 콘솔로그 보는 방법 [1]5816흰털...2/6/2023280.net core json array validation 질문 드립니다. [1]5815김재영2/6/2023271종단간 암호화에 대해 시나리오인데 타당한 시나리오일까요? [2]5814한예지2/6/2023335decompile? [9]5813김재영2/5/2023261openssl genrsa 2048시 키 생성이 다르게 됩니다. - 파일첨부 [4]15812김재영2/5/2023239openssl genrsa 2048시 키 생성이 다르게 됩니다.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